• 제목/요약/키워드: Design-game

검색결과 1,506건 처리시간 0.033초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적응적 N-스크린 게임 시스템 (Network-Adaptive N-Screen Game System o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 류은석;강신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59-68
    • /
    • 2012
  • 본 논문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새로운 네트워크 적응적 N-스크린 게임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목표하는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에서 연산된 게임 화면을 가정에 설치된 게임서버를 통해 한대 이상의 게임 단말로 전송해야 한다. 하지만, 하나의 게임 영상을 가지고 서로 다른 해상도를 가진 N-스크린을 지원하는 것은 어렵고,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게임 사용자 이동은 영상 화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 기술과 채널 코드 기술인 랩터 코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적응적 게임 영상 추출 및 전송 기술을 개발하였다. 실제 게임 영상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하는 영상 기술의 효율성을 입증한다.

현대패션에 포함된 게임 캐릭터 의상의 조형성 (The Ways in which Clothes worn by Game Characters as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 이효진;양아랑
    • 복식
    • /
    • 제58권4호
    • /
    • pp.86-98
    • /
    • 2008
  • This study is purpo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mporary fashion and game characters' clothes and to analyze the formative property of the game characters' clothes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 temporal scope of this study is from 2004 to 2007 based on general online game ranks, while the game type is limited to 3D-online role playing game. The most popular clothes of game characters are analyzed and found to have imaginary, sensualistic, and cross-sexual features. These are also expressed as Cyber resistance image, Femme fatal image and Asexual image in the contemporary fashion. Firstly, the Cyber resistance image in the recent fashion is shown as belligerent, destructive and surrealistic image in contemporary fashion. Secondly, the Femme fatal image represents bewitching, brutal and narcissistic image with sleek materials and glowing colors in contemporary fashion. Thirdly, the Asexual image means the concept of sex as the neuter gender. Especially, this image has been introduced by simple and straight silhouette, black, silver, khaki colors in fashion. Accordingly, the clothes of game characters with the popularity and formative property have close correlation with contemporary fashion even if they do not pursue for practical creativity. In this respect, they can consolidate the position as a new fashion trend if they are developed with various design ideas.

사이버불링 예방 기능성 게임 "해피 클래스" 개발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erious Game "Happy Class" for Preventing Cyber Bullying)

  • 윤형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5-60
    • /
    • 2020
  • 최근 사이버 불링 현상은 계속 증가하고 있고 학교 폭력이나 사이버 범죄까지 야기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는 컴퓨터 게임에 익숙한 청소년층에게 적합한 기능성 게임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시범 교육 결과, 교육적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사이버 불링 예방 교육에는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기능성 게임이 적합한 교육 매체라는 것이다. 둘째, 교육내용의 적절성은 피교육자에 의해 실험 되고 검증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사이버 불릴 예방 교육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이며, 게임 기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도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Design of Contactless Gesture-based Rhythm Action Game Interface for Smart Mobile Devices

  • Ju, Da-Young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85-591
    • /
    • 2012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tactless gesture-based interface on smart mobile devices for especially rhythm action games. Background: Most existing approaches about interactions of smart mobile games are tab on the touch screen. However that way is such undesirable for someone or for sometimes, because of the disabled person, or the inconvenience that users need to touch/tab specific devices. Moreover more importantly, new interaction can derive new possibilities from stranded game genre. Method: In this paper, I present a smart mobile game with contactless gesture-based interaction and the interfaces using computer vision technology. Discovering the gestures which are easy to recognize and research of interaction system that fits to game on smart mobile device are conducted as previous studies. A combination between augmented reality technique and contactless gesture interaction is also tried. Results: The rhythm game allows a user to interact with smart mobile devices using hand gestures, without touching or tabbing the screen. Moreover users can feel fun in the game as other games. Conclusion: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users make low failure numbers, and the game is able to recognize gestures with quite high precision in real time. Therefore the contactless gesture-based interaction has potentials to smart mobile game. Application: The results are applied to the commercial game application.

신뢰도와 호환성을 위한 기능성게임 메타데이터 스키마 설계 (A Design of Serious Game Metadata Schema for Reliability and Compatibility)

  • 윤선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73-82
    • /
    • 2010
  • 메타데이터는 핵심 정보의 재사용, 유통 및 관리, 저작권 보호, 중복 투자의 방지 등을 위해 사용된다. 기능성게임은 다계층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용목적에 따른 선택을 위해 품질정보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특성정보와 영역별 계량적인 품질 정보를 포함한 기능성게임의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는 기능성게임 이용자들 에게 품질정보를 통해 신뢰도를 제공하고 멀티미디어 특성정보를 통해 관련분야 메타데이터와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시스템 개발의 토대가 될 것이다. 나아가 기능성게임 산업의 안정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어드벤처 게임에서 플레이어 경험수준별 미적경험 반응코드 차이 (Differences of Aesthetic Experience Response Code by Player's Experience Level in Adventure Game)

  • 최규혁;김미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12
    • /
    • 2020
  • 플레이어 경험연구는 게임콘텐츠에 대한 플레이어의 행동과 심리적 반응을 포함하며, 포괄적인 게임경험보다는 특정 게임요소에 대한 플레이어의 미적경험에 집중하고 있다. 본 논문은 게임플레이 과정에서 도출되는 플레이어의 미적경험 데이터를 코드로 제시하고 어드벤처 게임을 대상으로 플레이어 경험수준별 미적경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 게임분석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며, 창작자가 게임디자인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용 온라인 게임의 구성요소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 중심으로 - (A Study on analysis component and reformative plan for Educational On-Line Game - especially on the User Interface Design elements -)

  • 성경;김효숙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955-960
    • /
    • 2008
  • 온라인 게임에 있어서 유저인터페이스는 온라인상에서 인간과 컴퓨터의 인터렉티브(Interactive)관계를 촉발시키고, 게임 진행 정보영역요소를 제공하여, 게이머가 자신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게임을 이끌어 나가게 하기 위해서 반드시 있어야 하는 중요한 존재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온라인 퀴즈게임의 레이아웃 구성요소 분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인별로 분석하여 이상적인 교육용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System for War game Simulation System

  • Song Jong Seok;Li Chu Yu;Jin Long;Ryu Keun 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712-715
    • /
    • 2004
  • War game Simulation System is a simulation system of military operation. In order to ensure all of the data that are running are secure, this system has to emphasize the security polic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unning environment and the weakness of the security about exiting system. For improving the weakness, we design and implement this security system that is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Authentication System, Encryption System and Network Security System. Therefore, we can apply War game Simulation System to security system and improve the secure performance of this one.

  • PDF

게임 괴물 캐릭터 조형의 접목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the graft method related to the design of monster character in games)

  • 손서평;이동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57-364
    • /
    • 2015
  • 게임에서 괴물의 독특한 이미지와 사람들이 가지는 미지 사물에 대한 호기심 때문에 게이머들은 평범한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가상의 공간에서 게임의 새로운 세상을 탐구하게 한다. 게이머들은 현실 세계에 없는 괴물 캐릭터와 상대하면서 즐거움과 신선함을 느끼고, 이러한 독특한 캐릭터들은 게이머들에게 인기가 많다. 현재까지 게임 괴물 캐릭터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고 사료되어진다, 또한 현재 많은 게임캐릭터들 중에 괴물 캐릭터디자인을 단순한 조형적 디자인에 제한하여 단순디자인을 하는, 조형적 단순함을 표현한 괴물 캐릭터 디자인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사료된다. 괴물캐릭터의 융복합 디자인을 다방면으로 분석하여 괴물캐릭터의 디자인에 조형적 적용사려를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괴물 캐릭터 이미지를 바탕으로 괴물 이미지의 접목 방식을 다방면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국내 모바일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 사용성 개선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action Design for Improving Usability of Random item box in Korean Mobile Game)

  • 최성훈;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37-143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모바일 게임에서 게임 내 콘텐츠로 활용하고 있는 확률형 아이템의 사용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이다. 현재 국내 모바일 게임은 지속적인 매출의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그 중심에는 확률형 아이템 판매라는 모바일 게임의 대표적인 수익 모델이 있다. 확률형 아이템 사용의 문제점은 지속해서 제기되어 왔고, 현재 법적인 규제안까지 상정 되어있는 상태다. 확률형 아이템은 현재 모바일 게임 이용자가 아이템 사용 시 정확한 확률을 알 수 없으며 한탕주의와 같은 사행성을 표방한다는 우려도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확률형 아이템 사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을 연구하여 모바일 게임 이용자들에게 더 나은 게임 사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온라인 설문과 심층 면접 조사를 시행했다. 연구 결과 확률형 아이템 사용 시 확률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사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률형 아이템 사용 시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