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sign floods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9초

Raising Public Recognition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o Ensure Food Safety

  • Cho, Sun-Duk;Lee, Hwa Jung;Kim, Gun-Hee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7-212
    • /
    • 2013
  • Recent changes in the global climate environment have resulted in a wide variety of climate-related disasters, including floods, tidal waves, forest fires, droughts, etc. In addition, global warming raises the risk of food poisoning, which may increase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alter their structure.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urate and persuasive information to consumers so that they can be fully informed of climate change and alter their behavior accordingly. Therefore, the intention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osters and contents for image production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food safety. The posters are focused on consumers with headings such as "Climate Change Threatening Food Safety", "Earth getting warmer, your dining table is at risk", "Warning signs ahead for the globe", and more. Five poster drafts were selected initially, and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st 1,087 people regarding their preferences, with the most preferred design chosen. The images related to climate change and food safety defined climate change, how it relates to food safety, the risks it poses to the food industry, and lastly, how the public can respond in the future. Therefore, to further communicate the importance of food safety to consumers, the development, education, and promotion of these contents should be performed to provide safety information to consumers in the future.

초지지붕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식생변화 (Changes in Plant Species on a Grass Roof over Time)

  • 이영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9-53
    • /
    • 2007
  • Unlike conventional roof landscaping, where various kinds of plants and structures are employed, a grass roof is a roof on which herbaceous plants are grown in planting medium and which is not accessed or maintained, mainly because it doesn't have sufficient load capacity to support a regular roof garden. They are mostly built on existing roofs, whether flat slab or gabled. Planting on roofs has numerous advantages, such as creating a biotope, purifying urban air, adding moisture to the atmosphere, storing rain water, preventing flash floods, reducing energy use fo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enhancing the urban landscape and providing relaxation to the city dwellers, not to mention the alleviation of global warming by absorbing $CO_2$. In addition to the general merits of roof planting, the grass roof has its own unique qualities. Only herbaceous species are planted on the roof, resulting in light weight which allows roofs of existing buildings to be planted without structural reinforcement. The species chosen are mostly short, tough perennials that don't need to be maintained. These conditions provide an ideal situation where massive planting can be done in urban areas where roofs are often the only and definitely the largest space available to be planted. If roofs are planted on a massive scale they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alleviating global warming, heat island effects and energy shortages. Despite the advantages of grass roofs, there are some problems.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is the invasion of neighboring plants. They may be brought in with the planting medium, by birds or by wind. These plants have little aesthetic value comparing to the chosen species and are usually taller. Eventually they dominate and prevail over the original species. The intended planting design disappears and the roof comes to look wild. Since the primary value of a grass roof is ecological, a change in attitude towards what constitutes beauty on the roofscape is necessary. Instead of keeping the roof neat through constant maintenance, people must learn that the wild grass with bird's nests on their roof is more beautiful as it is.

일 지역 대학생의 재난경험과 재난대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 강경희;엄동춘;남은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24-43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aster experience (accidents, education etc) and the concern for disaster preparedness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1, 2011 to December 30, 2011 and analyzed by the SPSS PASW statistics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major (p<.050), grade(p<.001), and a completed disaster class(p<.001)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ncern for disaster preparedness. The major disaster events that occurred from 2003 to 2010 in Korea were the 2007 Taean oil spill (85.4%), the 2003 Daegu subway fire (82.7%), and the 2008 Sungnyemun fire (62.9%). The possible disaster events in Korea were hurricanes, floods, fires (including wildfire), and the shutdown of communication lines. Subjects learned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18.2%), first aid for bleeding and fractures (17.8%), a fire drill (14.3%), and an escape drill for an earthquake (14.0%). They wanted to learn the fire drill (11.33%), the escape drill for an earthquake (9.7%), a war drill (9.0%), a disaster confrontation drill on the subway (8.6%), and a fire and explosion evacuation drill (8.4%). Half of subjects were not prepared with emergency supplies for disasters because they thought that a disaster would not occu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isaster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subject's demands in Korea.

다단식(多段式) 유연성 토석류 방지시설에 관한 적용성 검토 연구 (Hazard Prevention Using Multi-Level Debris Flow Barriers)

  • 백용;최영철;권오일;최승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8호
    • /
    • pp.15-23
    • /
    • 2010
  • 토석류는 사면 붕괴, 산사태, 홍수 등과 같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수반하는 자연재해의 일종이다. 2006년 7월 집중호우로 인하여 대규모 토석류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따라 고속국도, 일반국도, 철도 등의 국가 기간망이 통제되어 언론에 보도되는 사태가 발생하곤 하였다. 토석류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충실히 수행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원인으로는 예측이 매우 어려웠을 뿐 아니라, 발생위치가 산지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도심지 및 주택가에서 발생하지 않아 국민들에게 부각되지 않았던 이유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방댐 등의 대책방안이 수립되어 적용되어 오고 있으나, 단점 및 보완점을 개발하여 새로운 기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계곡부의 특성 및 형상에 따라 다단계의 유연성 시설물을 설치함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대상지역을 2개소 선정하여 적용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결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Site A, B 지역에 토석류 방지시설이 각각 17개와 13개가 설치요구되었다. 향후 토석류에 대한 체계적인 지침 및 방안에 대하여 정립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배수펌프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퍼지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Fuzzy Model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mping Station)

  • 김윤태;심재현;정재학;안재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51-60
    • /
    • 2004
  • 최근 도시지역의 수해요인은 내수침수불량에 기인하기 때문에 유수지 및 배수펌프장을 신설하여 유수지로 유입되는 유출량을 하천으로 강제배수하게 된다. 그러나 하수관거의 용량이 부족하여 유수지로 미처 유입되기 전에 하수관거의 역류로 침수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배수 체계의 조사방법을 제시, 하수관거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배수펌프의 가동대수를 단순한 수위기준에서 변화시켜 실무에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전산모형 8개를 개발하여 제시하였고, 지속기간, 설계빈도, 시간분포 등을 변화시켜 유수지 수위의 적정 조절여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강제적인 배수에 의해 하류부의 수위영향이 예견되기 때문에 해당 유역의 수위를 안전하게 유지하면서도 하류부에 수위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Fuzzy 모형이 기존의 운영방법보다 더 효과적으로 유수지의 수위를 저하시킬 수 있었으며, 하류부 수위는 약 8cm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FLO-2D를 활용한 경사지 형상에 따른 토석류 흐름양상에 대한 수치모의 (Simulation of the Debris Flow Using FLO-2D According to Curve-shape Changes in Bed Slopes)

  • 정효준;유형주;이승오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5-58
    • /
    • 2020
  • 국내 지형특성은 산지의 비율이 높아 토석류로 인한 피해 위험이 높다. 또한 기후변동성으로 인한 게릴라 국지성 호우는 토석류 재해의 발생빈도와 잠재적 위협을 증가시킨다. 토석류는 발생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 거동특성을 분석하여 사전에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공차와 평균경사가 각각 다른 경사지 형상을 FLO-2D를 사용하여 전파면과 경사면에 대해 발생하는 피해규모를 연구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해 계산된 유속, 수심, 충격응력, 도달거리, 전파형상을 분석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평균경사가 낮을수록 경사형상이 토석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층격응력, 유속에서 분명한 차이를 나타낸다. 본 연구결과는 산지 주변 구조물 설계 및 시공 시 토석류 발생 피해 및 대비에 대해 참고할 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A Study at Investigating the Climate Change in East Asia with Changing Sea Surface Temperature

  • Park, Geun-Yeong;Lim, Yong-Jae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27-33
    • /
    • 2020
  • The unsustainable human activities like increased use of automobiles, heavy industrialization and the use of large volumes of fertilizers, chemicals and pesticides in the agricultural land cause climate change problems in one way or another.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 heat radiations from the sun will be reflected back. An excessive volume of GHGs in the atmosphere would prevent these radiations from reflecting back. East Asia is facing severe climate change issues in recent times. A lot of climate change problems such as hurricanes and floods have been reported from this region in the last couple of decades. The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climate change in East Asia with changing Sea Surface Temperature (SST). The study adopted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with a case study research design where a deliberate focus was made on the East Asia Region. Secondary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to yield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impact of East Asia Climate variability was significant mainly for some extreme events. Also, the study conclud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link between the change of the East Asia climate variability and that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Further, the study concluded that a linear relationship existed betwe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e climate of East Asia. Hence, a linear regress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East Asia Climate (EAC) based on changing sea surface temperature. The model revealed that 37.4% of the variations in the climate change index were explained by the changes i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The climate was expected to change with a value of 49.48 for a unit change i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수도권 국도교량 세굴위험도 평가 및 등급화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Bridge Scour Vulnerability Evaluation and Prioritization for National Highway Bridge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 박재현;김정훈;안성철;이주형;정문경;곽기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7-21
    • /
    • 2008
  • 홍수 시 세굴로 인한 교량 기초의 파괴는 국내외적으로 교량 붕괴의 첫 번째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실제 국도교량에 대하여 세굴 위험도 평가 및 등급화를 수행하였다. 30개소 교량을 선정하여 지반 시추조사를 포함한 현장조사, 설계 홍수량에 대한 교량세굴 해석, 그에 따른 교량기초의 지지력 평가 및 위험도 분석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량세굴 위험도를 등급화 하였다. 위험도 평가 결과 직접확대기초 교량 26개소 중 9개소 교량이 장래 세굴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17개소 교량은 안정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말뚝기초 교량 4개소 중 3개소의 교량이 유의할 만한 수준으로 지지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치수 안전성과 환경성을 고려한 새로운 식생호안 공법의 적용 및 평가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New Vegetation Revetment Techniques Considering Safety against Flood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 이동섭;안홍규;우효섭;권보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2호
    • /
    • pp.125-13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수안정성을 고려하여 새롭게 개발된 식생 호안 공법들의 적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호안의 적용성은 치수 안전성과 환경성의 두 가지 측면을 통하여 검토되었다. 치수 안정성은 파주시에 위치한 동문천에서의 현장 실험과 수로 실험을 통하여 검토하였으며, 환경성은 동문천 시험 시공 지점에 대한 2년간의 식생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식생 호안 모두 적절한 치수 안전성과 우수한 녹화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분석을 통하여 평균 유속과 평균 소류력에 대하여 개별 호안의 최대 적용 범위를 제시하였다.

원격탐사와 공간정보를 활용한 미계측 유역 홍수범람 해석에 관한 연구(I) - 홍수량 산정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Flood in an Ungauged Watershed using Remotely Sensed and Geospatial Datasets (I) - Focus on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

  • 손아롱;김종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5_2호
    • /
    • pp.781-7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6년 8월 태풍 "라이언록"으로 인해 극심한 피해를 입었던 회령시, 무산군 일대를 포함하고 있는 두만강 유역에 대하여 홍수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만강 유역은 수문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미계측 유역이므로 원격탐사 자료를 통하여 유역특성 및 유출인자를 추정하여 홍수량 분석에 활용하였다. 대상유역에 대한 적용에 앞서 두만강 유역과 비교적 유역특성이 유사하고 계측자료 확보가 용이한 소양강댐 유역에 대하여 홍수유출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본 연구의 분석방법 및 자료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태풍 "라이언록"으로 인한 홍수량은 3~5년 빈도 설계홍수량에 해당되는 것으로 향후에도 이 지역에 비슷한 수준의 홍수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수문관측자료가 부재한 미계측 지역에 대한 홍수량 산정시 원격탐사와 공간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