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sign education method

Search Result 1,97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국내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 수행을 위한 기업 역량 평가 (Evaluation of Capability for Practicing CM at Risk in Korea)

  • 류한국;이상원;최재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79-87
    • /
    • 2020
  • 국내 시공책임형 건설사업관리(CMAR) 시장은 2019년 12월 현재 국토교통부 주도하에 수행된 시범사업을 종료하고 본 사업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있으며, 발주방식의 다각화와 건설기술의 고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건설사의 CMAR 수행을 위한 자가 역량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역량 수준을 평가함으로써, 수행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CMAR 시범사업에 참여한 기업을 대상으로 수행단계와 관리영역에 따라 표준 핵심역량과 요소 기술역량을 규정하여 평가한 결과, 설계전단계 및 계약구매단계의 사업관리일반 역량이 시공단계에 비해, 설계이전 단계의 품질관리 영역이 타 영역에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또한 GMP를 기초로 한 시공단계의 사업비 관리영역은 높은 중요도에 비해 역량수준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요소기술 역량에 해당하는 의사조정, 수행절차 최적화, 목표가치 달성역량 등도 초기 기술 적용수준으로 평가되어, 지속적인 역량향상이 요구된다.

등온 미세열량계를 이용한 n-Hexane-알칸계 이성분 혼합물 및 NaOH/Water/Ethanol계의 과잉 엔탈피 측정 및 계산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Excess Enthalpies for n-Hexane/Alkane series and NaOH/Water/Ethanol System using Isothermal Microcalorimeter)

  • 최인규;유성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5호
    • /
    • pp.660-667
    • /
    • 2017
  • 화학공정에서 증류 또는 추출 등 분리 장치의 설계 및 조업에 있어서 혼합물의 평형데이터는 필수적이다. 이들 평형데이터는 실험을 통해서 얻거나 알려진 이성분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모델에 의한 계산으로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매개변수를 구하기 위해서 기-액, 액-액 등의 상평형 실험 데이터를 주로 이용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서 흐름형 미세열량계를 이용하여 혼합물의 과잉엔탈피 실험데이터를 얻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여러 이론들의 매개변수를 구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알칸계의 경우 탄소의 사슬길이와 엔탈피 그리고 이성분 매개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므로 n-hexane + alkane (n-pentane, n-heptane, n-octane, n-dodecane)계들에 대해서 298.15 K에서 과잉엔탈피를 측정하였으며, 이 실험데이터로부터 Wilson, NRTL, UNIQUAC의 매개변수를 구하였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전해질 계의 상호작용 및 회합현상에 대한 기본정보를 과잉엔탈피 실험 데이터들과 기존 이론을 이용하여 얻고자 하였다. 우선은 기초적인 실험으로서 NaOH/Water/Ethanol 계에 대한 과잉 엔탈피를 측정하고, electrolyte-NRTL(eNRTL) 이론을 이용하여 응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모유수유관리 프로그램이 모유수유지속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Breastfeeding Management Program on Breastfeeding Duration)

  • 최양자;김미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5-25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s of a breastfeeding management program for promotion of breastfeeding. Method: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The study subjects were pregnant women receiving a breastfeeding education class in one hospital in Ilsan. The total number of study subjects was 153 pregnant women, namely 75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78 in the control group. Data was collected between June and November, 2006. A breastfeeding management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admitted for delivery, and in weeks 2, 4, 8, 12, 16, 20, and 24 of the postpartum period. The rates of breastfeeding were measured in weeks 2, 4, 8, 12, 16, 20, and 24 of the postpartum period.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rate of breastfeeding between the two groups(all cases), which were 93.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5.8 in the control group at week 4; 88.1 vs 71.8 at week 8; 83.4 vs 56.7 at week 12; 71.4 vs 53.9 at week 16; and 65.7 vs 48.4 at week 20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rate of breast-feeding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were 97.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96.0 in the control group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at week 2, and 59.6 vs 45.3 at week 24. Add to this, the study analyzed only people who had jobs. As a result, the scores of rate of breastfeeding were 94.8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88.5 in the control group at week 4; 93.2 vs 73.3 at week 8; 89.6 vs 57.2 at week 12; and 75.0 vs 46.0 at week 20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t week 2, week 16 and week 24.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breastfeeding management program during the last trimester of the perinatal period and postpartum period may increase the duration of breastfeeding in postpartum clients who intend to breastfeed. This study supports the literature which found that prenatal education and postpartum support are important to the outcome of breastfeeding.

  • PDF

예술창조 매커니즘을 통한 창조적 공학인의 육성 방안 연구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method about Improving engineer by YeGamChang creating mechanism)

  • 권영랑;이경환;김수정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1-17
    • /
    • 2011
  • 사회변화의 속도와 경쟁의 속도는 급격히 빨라지고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과 서비스 발전의 속도는 공급자의 속도가 따라잡을 수 없을 만큼 초 스피드로 성장하고 있다. 기업의 구체적 상품, 서비스를 구상하고 개발하고 제조하는 공학인은 이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스피드한 창조 이행 능력을 발휘하는 상황으로 내몰려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집단 시스템이 따라 잡을 수 없는 고객 변화 속도를 개인 창조성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개인 창조 이런 관점에서 창조성 개발, 향상은 사회적 변화와 특성을 소화해 내야 하는 공학인에게는 필수 자격 요건으로 받아 들여져야 한다. 즉 공학이 기존의 발명공학에 의존한 제품의 대량 양산 체제에서 기초 원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관련 응용 제품을 발명 생산함은 물론 사회 구조의 변화에 대한 대응 서비스를 발명 생산하는 사회 공학적인 상품을 발명 생산하는 능력 까지 갖추어 대응해 줄 것을 요구 받게 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학인은 이전의 전문 지식 습득과 고도화 뿐만 아니라, 고객층의 사회 변화와 생활 변화 속에서 새롭게 출현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간 공학, 심리, 감성, 생활 패턴 등을 융합하여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안하여 재현하는 창조인이 되어야 한다. 이질적이고 영향력이 있는 무언가를 융합 창조해야만 하는 독창적이고 매우 흥미 있는 융합 창조인의 삶으로 이동하기를 요구당하고 있는 것이다. "융합창조인이란 고객 각자의 주관적이며 독창적인 욕구에 대하여, 치밀한 논리와 감각적인 정서의 대응은 물론 이슈를 둘러싼 관계망을 꿰뚫는 초월적 통찰력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을 말한다. 본 논문은 "창조적 이행"을 촉진하기 위한 창조성 융합개발 프로그램이 기존 공학인에게 주는 가치가 어떤 것이며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좋은가를 17주간에 걸쳐 이루어진 실험을 바탕으로 연구, 정리, 구성된 것이다. 60 시간의 예술창작 과정은 예술창조 매카니즘에 공학 가치창조 매커니즘이 결합하여 만들어낼 수 있는 창조이행의 성공적이며 비전있는 결과를 실험을 통하여 증명된 형태로 제시한다. "예술을 통한 융합, 창조인" 만들기 과정은 S그룹을 대상으로 하여 이미 검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더 속도 있는 사회 대응을 이루어낼 창조성 이행촉진을 이루는 더 깊은 연구방향과 활용방향을 준비하고, 그 준비된 미래를 이야기 하고자 한다.

  • PDF

The Additivity of True or Apparent Phosphorus Digestibility Values in Some Feed Ingredients for Growing Pigs

  • Fang, R.J.;Li, T.J.;Yin, F.G.;Yin, Y.L.;Kong, X.F.;Wang, K.N.;Yuan, Z.;Wu, G.Y.;He, J.H.;Deng, Z.Y.;Fan, M.Z.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7호
    • /
    • pp.1092-1099
    • /
    • 2007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additivity of apparent or true digestibility of phosphorus (P) in soybean meal (SBM), peas, faba beans, corn, oats, broken rice meal, rough rice meal, buckwheat, and sorghum for growing pigs. Chromic oxide (0.3%) was used as a digestion marker in both experiments. Each experiment lasted for 12 d, which consisted of a 7-d dietary adaptation period followed by a 5-d fecal collection period. Experiment 1 involved 6 diets: the SBM-based control diet; 4 diets with corn, oats, rough rice meal and broken rice meal substituted for SBM; and an additional diet with a representative mixture of the 5 ingredients. In Experiment 2, 6 diets were prepared similarly, except that the tested ingredients besides SBM were faba beans, peas, buckwheat, and sorghum. In each experiment, six barrows with an initial average individual BW of 20.5 kg were fed one of the six diets according to a $6{\times}6$ Latin square design. The apparent and true P digestibility values for the nine tested ingredients were determined by the substitution method.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between the determined and the predicted true P digestibility values for the mixture of ingredients in Experiments 1 and 2. However, the determined and the predicted apparent P digestibility values for the mixture of ingredients differed (p = 0.059) in Experiment 1, but not in Experiment 2.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ue P digestibility values are additive in ingredients containing low levels of phytate phosphoru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whereas the apparent P digestibility values are not always additive in single feed ingredients for growing pigs.

전염성 확산 차단을 위한 음성인식 기반의 출입통제시스템 설계 (Design for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Voice Recognition for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 문형진;한군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9-24
    • /
    • 2020
  • WHO는 3월 11일 코로나 19에 대한 세계적 대유행, 팬더믹(pandemic)을 선언하였다. 하지만 경제 및 사회적 활동으로 인하여 면대면 교육이나 세미나를 위해 건물 출입을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코로나 19의 감염여부의 1차 체크 방법으로 체온 측정이 있어 근거리 체온 측정을 통해 1차적인 출입 차단을 실시하고 있다. 그로 인해 일일이 직접 체크하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열화상 카메라를 건물 입구에 설치하고,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체온을 측정하여 출입 통제를 하고 있다. 중고교나 대학 및 평생교육의 경우 출석체크 등과의 연동이 가능하고, 마스크 착용 여부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수강생의 인증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제안시스템은 스마트미러에 탐재된 카메라로 마스크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음성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건물안으로 들어오고자 하는 사용자의 목소리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고, 출입 여부를 결정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 시스템은 근거리 온도 측정과 수강생의 스마트 폰의 출석체크 APP와 연동을 하게 되면 출석체크도 가능하다.

An Evaluation of Transfer of Training Effects on Nuclear Power Plant MCR Operators

  • Kim, Jung Ho;Byun, Seong Nam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7-85
    • /
    • 201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sets factors from previous research known to impact transfer effects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examines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near transfer effects and far transfer effects. Background: Transfer of Training refers to the application of what learners acquire knowledge and skills in training programs to their job. The ultimate goal of training is to apply what employees learn in training sessions to their workplace. In this sense, transfer of training has been a vital concern for training effectiveness. For training to be effective, trainees(learners) should be able to use what they learn in training program back on the job. Method: For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170 nuclear operators in nuclear education and training center. Of these, survey result from the 167 recruits were sampled. Theoretical model of this study is based on Holton & Baldwin's(2003) distance model of transfer effects. This study sets transfer effects(near transfer, far transfer) as the main dependent variables. Meanwhil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rainee characteristics, training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Each independent variable has subordinate variables. Subordinate variables of trainee characteristics are self-efficacy, motivation to learn, motivation to transfer and ability to transfer. Subordinate variables of training characteristics are training contents, ability of trainers, training design, training climate. The last Subordinat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are support of supervisors, support of peer, support of organization. Conclusion: As a analysis result, trainee characteristics appeared to be in effect only significant influence near far transfer of training, the effect of the far transfer of training, there is no significant. In addition, the training characteristics appeared to be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near and far transfer effects. Organizational transfer climate appeared to be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near and far transfer effects. Finally, near transfer effect appeared to be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far transfer effects. Application: Results of this analysis in the study to training organization and training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environment effects on nuclear power institutions and operators training organization having a significant impact that says.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technology, as well as that can be applied to a new situation in te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ptimal Cultivation Time for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in Fermented Milk and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Meal on Rumen Degradability Using Nylon Bag Technique

  • Polyorach, S.;Poungchompu, O.;Wanapat, M.;Kang, S.;Cherdthong,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9호
    • /
    • pp.1273-1279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an optimal cultivation time for populations of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co-cultured in fermented milk and effects of soybean meal fermented milk (SBMFM) supplementation on rumen degradability in beef cattle using nylon bag technique. The study on an optimal cultivation time for yeast and LAB growth in fermented milk was determined at 0, 4, 8, 24, 48, 72, and 96 h post-cultivation. After fermenting for 4 days, an optimal cultivation time of yeast and LAB in fermented milk was selected and used for making the SBMFM product to study nylon bag technique. Two ruminal fistulated beef cattle ($410{\pm}10kg$) were used to study on the effect of SBMFM supplementation (0%, 3%, and 5% of total concentrate substrate) on rumen degradability using in situ method at incubation times of 0, 2, 4, 6, 12, 24, 48, and 72 h according to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st yeast and LAB population culture in fermented milk was found at 72 h-post cultivation. From in situ study, the soluble fractions at time zero (a), potential degradability (a+b) and effective degradability of dry matter (EDDM) linearly (p<0.01)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supplemental levels and the highest was in the 5% SBMFM supplemented group.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SBMFM supplement on insoluble degradability fractions (b) and rate of degradation (c). In conclusion, the optimal fermented time for fermented milk with yeast and LAB was at 72 h-post cultivation and supplementation of SBMFM at 5% of total concentrate substrate could improve rumen degradability of beef cattle. However, further research on effect of SBMFM on rumen ecology and production performance in meat and milk should be conducted using in vivo both digestion and feeding trials.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Efficacy of Well-dying Program for Meaning of life, Self-efficiency, and Successive aging in the Elderly)

  • 변미경;현혜진;박선정;최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13-422
    • /
    • 2017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삶의 의미, 자기 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웰다잉 프로그램 교육은 주1회에 120분씩 8주 동안 8회기에 걸쳐서 이루어진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자료 분석은 ${\chi}^2$-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rank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웰다잉 프로그램 교육을 받기 전보다 받은 후에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웰다잉 프로그램은 노인들의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성공적노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이 자신의 죽음에 대해 의미 부여와 함께 올바른 죽음에 대한 가치관 정립에 도움을 주며 삶을 행복하게 유지 할 수 있는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는 유용한 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들에게 필요한 웰다잉 프로그램 개발 빛 적용 관리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청년들의 사회적 경제 인식 분석을 통한 청년 진로교육에 관한 연구: 포토보이스 (Photovoice) 방법론 활용 (A Study on Youth Career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Social Economic Perception of Young People: Using Photovoice Methodology)

  • 박재환;이일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83-9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으로서 대학생들이 사회적 경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와 진로에 대한 기피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 대학의 SEN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5명의 대학생과 함께 2주 간격으로 3회 진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 참여하는 연구기법인 포토보이스 (Photovoice)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사회적 경제라는 대주제 하에 참여자들이 선정하여 다룬 세 가지 주제는'내가 생각하는 사회적 경제란','나에게 SEN이란','나의 향후 진로는'이였으며, 각 주제별로 참여자가 사진을 통해 본인의 생각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청취하여 공유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사회적 경제에 대하여 사회의'다양성','배려', '협동','협력','도움','이해상충'등으로 찍은 사진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 대학생들은 SEN에 대하여'즐거움','행복','희망','공동체','소속감','애증'등으로 찍은 사진의 의미를 부여 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 대학생들은 향후 진로에 대하여 '막막함', '하고 싶은 일', '공공에 대한 진로' 등으로 찍은 사진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졸업생들의 진로에 대한 심층인터뷰 결과를 살펴보면 현실적으로 사회경제적 조직으로 진출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제고와 청년층의 진로에 대한 과제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