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letion parameter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Terra MODIS 위성영상과 SWAT 모형을 이용한 융설이 충주댐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Assessment of Snowmelt Impact on Chungju Dam Watershed Inflow Using Terra MODIS Data and SWAT Model)

  • 김샛별;안소라;신형진;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457-46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유역($6,642.0km^2$)을 대상으로 Terra MODIS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영상과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융설이 댐유입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SWAT 모형의 융설 매개변수인 적설면적 감소곡선(Snow Cover Depletion Curve; SCDC)을 결정하기 위해 10 sets (2000-2010)의 Terra MODIS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적설분포도와 지상 강설자료를 이용하여 구축한 적설심분포도(snow depth distribution; SDD)를 도출한 결과, 50% 적설면적일 때의 적설면적감소계수(sno50cov)는 0.4~0.7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년의 융설 매개변수를 적용하여 융설기간 (11~4월)동안의 유출을 보정한 결과 평균 $R^2$는 0.54이었다. 10년 동안 융설기간의 유출량은 평균 104.3 mm로 연 유출량의 12.0%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수로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열부하 평가를 위한 연소조건 인자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Depletion Parameters for Heat Load Evaluation of PWR Spent Fuel Storage Pool)

  • 김인영;이은철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37-245
    • /
    • 2011
  • 후쿠시마 사고 이후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안전성 재검증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재검증 결과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열부하 평가결과의 정확도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저평가되었던, 저장시나리오, 연소조건 관련 인자와 같이 붕괴열 및 열부하 평가 영향인자를 도출하고, 고리 4호기를 대상으로 ORIGEN2 코드를 이용해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표 저장시나리오에 대한 열부하 평가 결과, 최후 방출 핵연료의 붕괴열은 시나리오에 따라 전체 열부하의 최대 80.42%를 차지해 저장시설 열부하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또한 연소조건 인자로 선택된 축 방향 연소 효과, 연소이력, 비출력 효과에 대한 민감도 분석 수행 결과, 냉각기간이 짧을수록 각 인자의 붕괴열에 대한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인자별로는 비출력, 연소이력, 축 방향 연소 효과의 순으로 붕괴열에 대한 영향력이 컸으며, 특히 비출력의 경우 방출 직후 평균값의 0.34에서 1.66배, 방출 1년 후에는 평균 대비 0.55에서 1.37배까지 붕괴열 변화를 초래함이 확인되었다. 즉, 저장시설의 열부하 평가와 같이 냉각기간이 짧은 핵연료에 대한 해석 시 비출력, 연소이력과 같은 연소조건인자가 해석결과에 매우 큰 차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해석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기존 해석자의 공학적 판단에 의거한 임의 인자 대표성 핵연료 선택방식 대신 실제 운전 데이터의 적용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열부하 해석 결과의 정확도 향상 및 불확실도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mpact Gate Capacitance Model with Polysilicon Depletion Effect for MOS Device

  • Abebe, H.;Morris, H.;Cumberbatch, E.;Tyree, V.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09-213
    • /
    • 2007
  • The MOS gate capacitance model presented here is determined by directly solving the coupled Poisson equations on the poly and silicon sides, and includes the polysilicon (poly) gate depletion effect. Our compact gate capacitance model exhibits an excellent fit with measured data and parameter values extracted from data are physically acceptable. The data are collected from 0.5, 0.35, 0.25 and $0.18{\mu}m$ CMOS technologies.

NOAA AVHRR 영상 및 GIS 기법을 이용한 국내 5대강 유역의 융설 매개변수 추출 (Extraction of Snowmelt Parameters using NOAA AVHRR and GIS Technique for 5 River Basins in South Korea)

  • 신형진;박근애;김성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9-124
    • /
    • 2007
  • 융설 모형의 중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은 실제 우리나라에서 적설과 관련한 관측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매개변수 추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원격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97년부터 2006년까지의 겨울철 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의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위성영상의 8 sets의 총 108개 영상을 이용하여 적설분포면적을 추출하였고, 기상청의 지상기상관측소의 최심적설심 자료를 이용하여 GIS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적설심의 공간적 분포를 추출하였다. 이를 국내 5대유역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유역에 대하여 융설모형의 주요 매개변수인 적설분포면적, 유역 평균, 최대 적설심과 적설분포감소비곡선을 구축하였다. 그 중 적설분포면적감소곡선 (SDC : Snow cover Depletion Curve)는 적설분포면적의 감소형태를 나타내주는 지표로써 융설의 가장 민감한 매개변수이다. 이를 국내 5대강 유역에 대해 구축하여 정량화하였다.

열화된 스테인리스강의 비커스 경도에 대한 와이블 확률 통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ibull Probability Statistics Characteristics for Vickers Hardness of Degraded Stainless Steel)

  • 남기우;조승덕;김선진;안석환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9-85
    • /
    • 2017
  • Vickers hardness is an important material in the design and reliability is required. Therefore, these values are very important as the basic data for design, manufacture and development, and the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probability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such as mean and dispersion is a very important parameter in design. In this study,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after artificially heat-treated in the temperature range 753K, where chrome depletion near the grain boundary occurred for three kinds of stainless steels, and the Vickers hardness were evaluated. From the results, Vickers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 Weibull distribution for Vickers hardness, the dispersion of STS310S at 813K and 873K was small, and the dispersion of STS316L at 753K, 933K and 993K was small. Also, STS347H exhibited the lowest dispersion at 753K in three kinds of stainless steels. The scale parameter increased with increasing heat treatment temperature in three kinds of stainless steels.

HCFC-123의 수평 평활관내 응축 전열 특성에 관한 연구 (Condens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CFC - 123 inside Horizontal Smooth Tube)

  • 권옥배;오후규;오종택;김성규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24-32
    • /
    • 1993
  • Experimental data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CFC-123 and CFC-11 during condensation in horizontal smooth tube are presented. The experimental apparatus consisted of a closed working fluid loop, coolant loop, and measuring system. The major components of the working fluid loop made of a refrigerant pump, boiler, superheater, refrigerant flow meter, receiver and test section. The tube-in-tube type test section was made of smooth tube which were constructed form 9.52 mm outer diameter of smooth copper tube with 50 mm outside diameter of PVC tube duct. The ranges of parameter, such as refrigerant mass velocity, coolant flow rate, and quality were 90-325kg/($m^2$.s), 60-360kg/h, 5-95% respectively. Data were obtained under steady state condition for annular flow. As a result of these,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s for HCFC-123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CFC-11 from 8% to 15% inside horizontal smooth tube. Furthermore, a new generalized correlation for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of HCFC-123 and CFC-11 during condensation inside horizontal smooth tube is proposed.

  • PDF

수력학을 고려한 평판형 광생물 반응기의 스케일업에 관한 연구 (Scale-up of Flat Panel Photobioreactor considering Hydrodynamics)

  • 김광호;이동운;정상화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8-56
    • /
    • 2018
  • Due to the growing concerns of energy resource depletion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the mass production of microalgae has been studied. The scale-up of a photobioreactor (PBR) is required for the mass production of biomass. In this paper, the geometric parameters and oxygen transfer rate (OTR) are considered, to scale up a flat panel photobioreactor (FP PBR). The PBR is designed using the goal-driven optimization (GDO) method to accomplish the scale-up. The local sensitivity of each output parameter with respect to the input parameter is analyzed through the design of experiment (DOE), and the design candidates are evaluated with the screening sampling method. The volumetric mass transfer coefficient is measured by the dynamic method.

Comparison of Alternate Approaches for Reversible Geminate Recombination

  • Khokhlova, Svetlana S.;Agmon, Noam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3호
    • /
    • pp.1020-1028
    • /
    • 2012
  • This work compares various models for geminate reversible diffusion influenced reactions. The commonly utilized contact reactivity model (an extension of the Collins-Kimball radiation boundary condition) is augmented here by a volume reactivity model, which extends the celebrated Feynman-Kac equation for irreversible depletion within a reaction sphere. We obtain the exact analytic solution in Laplace space for an initially bound pair, which can dissociate, diffuse or undergo "sticky" recombination. We show that the same expression for the binding probability holds also for "mixed" reaction products. Two different derivations are pursued, yielding seemingly different expressions, which nevertheless coincide numerically. These binding probabilities and their Laplace transforms are compared graphically with those from the contact reactivity model and a previously suggested coarse grained approximation. Mathematically, all these Laplace transforms conform to a single generic equation, in which different reactionless Green's functions, g(s), are incorporated. In most of parameter space the sensitivity to g(s) is not large, so that the binding probabilities for the volume and contact reactivity models are rather similar.

Punchthrough 원통형 접합이 항복전압에 대한 해석적 모델 (An Analytic Model for Punchthrough Limited Breakdown Voltage of Cylindrical Junctions)

  • 배동건;정상구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4호
    • /
    • pp.70-76
    • /
    • 1999
  • Punchthroush 원통형 접합의 항복전압에 대한 해석적 모델을 에피층의 두께와 nonpunchthrough 원통형 접합의 항복시 임계공핍영역폭이 함수로 제안하였다. 이 해석적 모델에서의 모든 거리변수와 전계 및 전위식을 정규화된 형태로 사용하므로써 항복전압을 소자의 물리적 parameter에 관계없이 쉽게 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계산결과를 2차원 소자 Simulation Program인 MEDICI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와 비교하여 매우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

Comparison of Gate Thickness Measurement

  • 장효식;황현상;김현경;문대원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1999년도 제17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197-197
    • /
    • 1999
  • Gate oxide 의 두께 감소는 gate의 캐패시턴스를 증가시켜 트랜지스터의 속도를 빠르게 하며, 동시에 저전압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gate oxide 두께는 MOS 공정 세대가 진행되어감에 따라 계속 감소할 것이다. 이러한 얇은 산화막은 device design에 명시된 두께의 특성을 나타내야 한다. Gate oxide의 두께가 작아질수록 gate oxide와 crystalline silicon간의 계면효과가 박막의 두께의 결정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확한 두께 계측이 어렵다. 이러한 영향과 계측방법에 따라서 두께 계측의 차이가 나타난다. XTEM은 사용한 parameter에, Ellipsometer는 refractive index에, MEIS(Medium) Energy Ion Scattering)은 에너지 분해능에, Capacitor-Voltage 측정은 depletion effect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우리는 계면의 원자분해능 분석에 통상 사용되어온 High Resolution TEM을 이용하여 약 30~70$\AA$ SiO2층의 두께와 계면 구조에 대한 분석을 하여 이를 MEIS와 0.015nm의 고감도를 가진 SE(Spectroscopy Ellipsometer), C-V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가장 좋은 두께 계측 방법을 찾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