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in Adhesive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초

치과용 접착제가 복합레진 인레이와 레진시멘트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DHESIVE APPLICATION ON SHEAR BOND STRENGTH OF THE RESIN CEMENT TO INDIRECT RESIN COMPOSITE)

  • 송미혜;박수정;조현구;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5호
    • /
    • pp.419-427
    • /
    • 2008
  • 본 연구는 레진시멘트의 레진인레이에 대한 접착 시 접착제 혹은 primer의 사용이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직경 5mm,높이 4.5mm의 원기둥 형태로 제작한 레진인레이 (Tescera, Bisco, USA)의 표면을 1000번, 1500번 그리고 2000번 사포로 주수 하에서 연마하여 평편한 면을 형성한 후 레진인레이의 표면에 sandblasting을 시행한 후 표면에 1분 동안 silane을 도포하였다. 2군으로 나누어 한 군은 대조군으로, 다른 한 군은 표면에 동일한 제조사의 접착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중합하였다. 레진인레이 상에 3mm 직경의 구멍이 형성된 아크릴판을 고정하고, 구멍에 레진 시멘트를 주입하여 경화시켰다. 레진 시멘트는 Panavia-F (Kurary), Varolink-II(Ivoclar-Vivadent), RelyX Unicem(3M ESPE), Duolink(Bisco)와 자가중합형인 Multilink (Ivoclar-Vivadent)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시편을 만능물성시험기에 위치시고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접착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다 (p<0.05). 하지만 Variolink-II와 Panavia-F는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조군에서는 각 레진 시멘트간에 전단결합강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1) Variolink-II가 가장 높은 결합강도를 보인 반면, 자가중합형인 Multilink가 가장 낮은 결합강도를 보였다. 하지만, 접착제나 프라이머를 도포한 군에서는 각 제품간에 전단결합강토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이원중합형이나 자가중합형 레진시멘을 이용하여 레진인레이 부착 시 silane 처리 후 접착제나 프라이머의 도포가 결합 강도의 증가를 위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레진코팅된 상아질 표면과 레진인레이간 결합에 임시가봉재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ORARY FILLING MATERIALS ON THE ADHESION BETWEEN DENTIN ADHESIVE-COATED SURFACE AND RESIN INLAY)

  • 김태균;이광원;유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6호
    • /
    • pp.553-559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레진 코팅된 표면과 레진인레이 사이의 자가-접착 레진시멘트를 이용한 결합 시 임시가봉제에 따른 미세인장결합강도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aviton(GC, Tokyo, Japan),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Provifil(Promedica, Neumunster Germany) & petrolatum, and Eugenol-based cement, Tembond(Kerr, Orange. CA, USA) 이 임시가봉재로 사용되었다. Tescera(Bisco, Schamburg IL, USA) 로 제작하였고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인 Rely X unicem (3M, St. Paul. Minn, USA) 를 이용하여 접착하였다. 이후 미세인 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고 one-way anova 와 Duncan tes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Caviton 군이 다른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Provifil, Provifil & petrolatum, Tembond 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생활치 표백술 후 수종의 자유 산소기 제거제 처리가 복합 레진-법랑질 전단 접착 강도 및 파절 양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MOVAL OF RESIDUAL PEROXIDE ON THE SHEAR BOND STRENGTH AND THE FRACTURE MODE OF COMPOSITE RESIN-ENAMEL AFTER TOOTH BLEACHING)

  • 임경란;금기연;김애리;장수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5호
    • /
    • pp.399-408
    • /
    • 2001
  • Tooth bleaching has been prevailing recently for its ability to recover the color and shape of natural teeth without reduction of tooth material.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bleaching procedure adversely affects the adhesiv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o tooth. At the same time the bond strength was reported to be regained by application of some chemical agents.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moval of residual peroxide on the composite- enamel adhesion and also evaluated fracture mode between resin and enamel after bleaching. Sixty extracted human anterior and premolars teeth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bleached by combined technique using of office bleaching with 35 % hydrogen peroxide and matrix bleaching with 10% carbamide peroxide for 4 weeks. After bleaching, the labial surfaces of each tooth were treated with catalase, 70% ethyl alcohol, distilled water and filled with composite resin.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and the fractured surfaces were also examined with SEM.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bond strength values. (p<0.05) for catalase-treated specimens, but water-treated specimens showed reduction of bond strength, alcohol- treated specimens had medium value between the two groups(p<0.05). The fracture mode was shown that the catalase group and the alcohol group had cohesive failure but the water sprayed group had adhesive failure. It was concluded that the peroxide residues in tooth after bleaching seems to be removed by gradual diffusion and the free radical oxygen from peroxide prevents polymerization by combining catalyst in the resin monomer.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eliminate the adverse effect on the adhesion of composite resin to enamel after bleaching by using water displacement solution or dentin bonding agent including it for effective removal of residual peroxide.

  • PDF

접착성(接着性) 레진이 가견치수조직(家犬齒髓組織)에 미치는 독성(毒性)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OXIC EFFECT OF ADHESIVE RESINS ON THE DOG'S PULP TISSUE)

  • 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0권1호
    • /
    • pp.31-42
    • /
    • 1984
  • The toxic effect of adhesive resins on the dog's pulp tissue was studied with 70 teeth from 5 dogs. The experimental materials were Clearfil, a mixture of Clearfil with calcium hydroxide powder, Panavia-EX, and a mixture of Panavia-EX with calcium hydroxide powder. As a control group, calcium hydroxide powder was used. Each material was placed on the pulpotomized tissue surface. After 3 days, 1, 2,4, and 6 weeks, the teeth and apical tissue were processed routinly and 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Pathological tissue changes due to the toxicity of adhesive resins were observed by light microscope, and the pH of Panavia-EX and the Bonding agent of Clearfil were measured. Following were the results; 1. In the group of calcium hydroxide powder, slight inflammatory change was observed in the pulpotomized surface and adjacent pulp tissue on 3 day. 1 week case showed incomplete dentin bridge. The remaining pulp tissue was normalized according to the days elapsed. 2. In the group of Clearfil, early inflammatory change revealed in the superificial portion of the remaining pulp tissue on 3 day. The inflammation spreaded over the total pulp tissue and partial necrosis was observed in 1 week and 2 week cases. Total necrosis of pulp tissue and moderate inflammatory change at the apical tissue was noticed in 4 week and 6 week cases. 3. In the group of Panavia-EX, moderate inflammatory change appeared in the superficial pulp tissue on 3 day, and severe inflammatory change over all pulp tissue found in 1 week case. Pulp necrosis was obvious in 2 week case. 4 week and 6 week cases were totally necrotized up to the periapical tissue. 4. In the groups of mixtures with calcium hydroxide powder, the pulp tissue destruction was retarded, compared with the groups of Clearfil and Panavia-EX. 5. Panavia-EX was more destructive than Clearfil. 6. The acidity of freshly mixed Bonding agent of Cleafil was pH 4.0, and that of Panavia-EX was pH 2.0.

  • PDF

Effects of dentin moisture on the push-out bond strength of a fiber post luted with different self-adhesive resin cements

  • Turker, Sevinc Aktemur;Uzunoglu, Emel;Yilmaz, Zelih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8권4호
    • /
    • pp.234-240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intraradicular moisture on the pushout bond strength of a fibre post luted with several self-adhesive resin cements. Materials and Methods: Endodontically treated root canals were treated with one of three luting cements: (1) RelyX U100, (2) Clearfil SA, and (3) G-Cem. Roots were then divided into four subgroups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dition tested: (I) dry: excess water removed with paper points followed by dehydration with 95% ethanol, (II) normal moisture: canals blot-dried with paper points until appearing dry, (III) moist: canals dried by low vacuum using a Luer adapter, and (IV) wet: canals remained totally flooded. Two 1-mm-thick slices were obtained from each root sample and 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 push-out test setup.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Bonferroni post hoc test with p = 0.05.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moisture leve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ond strength of luting cements (p < 0.05), with the exception of G-Cem. RelyX U100 displayed the highest bond strength under moist conditions (III). Clearfil SA had the highest bond strength under normal moisture conditions (II). Statistical ranking of bond strength values was as follows: RelyX U100 > Clearfil SA > G-Cem. Conclusions: The degree of residual moistu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adhesion of luting cements to radicular dentine.

복합 레진으로 수복된 세 가지 첨와형태 와동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FRACTURE RESISTANCE OF THE THREE TYPES OF UNDERMINED CAVIT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 최훈수;신동훈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177-183
    • /
    • 2008
  • 심미성 복합레진은 자연 치질을 보존시키며 나아가 잔존 치질의 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복합레진 수복시 더 많은 치질을 남기기 위해 첨와 (undercut) 형태의 교합면 치질을 남긴 채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느 정도 강도가 복원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첨와 형태의 와동을 잔존치질의 두께 (법랑질 /법랑질과 상아질)에 따라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을 손상이 없는 자연치와 비교 평가하였다. 상악 대구치 40개의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한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대상 치아를 각 10개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sim}3$군은 실험군으로 모두 협측에 깊이 7 mm, 근원심 폭경 5 mm의 첨와 형태 와동을 형성하였고, 와동저에서 치수각까지의 거리를 약 0.5 mm로 유지하였으며 교합면쪽의 치질 두께를 달리하였다. 1군은 법랑질과 소량의 상아질로 구성된 치질 두께를 1 mm, 2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1.5 mm, 3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2 mm가 되도록 하였고, 4군은 건전한 자연치를 와동형성 없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은 방사선 사진을 스캔한 후 길이 확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와동을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다음 단일병 접착제 Single $Bond^{TM}$ (3M/ESPE, USA)를 적용하였고 혼합형 복합레진 Filtek $Z-250^{T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적층 충전하였다.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이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교합면을 기저부에 평행한 상태로 치근부를 매몰한 다음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Z010, Germany)에서 지름 3 mm의 staineless steel rod를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95% 유의 수준의 One-way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와동 형성 후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약 75%의 파절 강도를 보였다. 2. 교합면쪽 잔존 치질의 두께에 따른 파절 저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첨와 형태의 와동을 수복한 후 파절 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전 치아보다는 강도가 낮았지만, 상부의 잔존 치질이 대부분 법랑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면 건전 치아 파절 강도의 75%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복합 레진으로 수복된 세 가지 첨와형태 와동의 파절 저항성에 관한 연구 (FRACTURE RESISTANCE OF THE THREE TYPES OF UNDERMINED CAVITY FILLED WITH COMPOSITE RESIN)

  • 최훈수;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177-183
    • /
    • 2008
  • 심미성 복합레진은 자연 치질을 보존시키며 나아가 잔존 치질의 강도를 강화시켜 준다. 복합레진 수복시 더 많은 치질을 남기기 위해 첨와 (undercut) 형태의 교합면 치질을 남긴 채 복합레진으로 수복하는 경우가 많으나, 어느 정도 강도가 복원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첨와 형태의 와동을 잔존 치질의 두께 (법랑질 / 법랑질과 상아질)에 따라 형성하고 복합레진으로 충전한 경우,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을 손상이 없는 자연치와 비교평가하였다. 상악 대구치 40개의 교합면을 편평하게 삭제한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수각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대상 치아를 각 10개씩 4개군으로 분류하였으며, 1$\sim$3군은 실험군으로 모두 협측에 깊이 7 mm, 근원심 폭경 5 mm의 첨와 형태 와동을 형성하였고, 와동저에서 치수각까지의 거리를 약 0.5 mm로 유지하였으며 교합면쪽의 치질 두께를 달리하였다. 1군은 법랑질과 소량의 상아질로 구성된 치질 두께를 1 mm, 2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1.5 mm, 3군은 법랑질과 상아질의 두께를 2 mm가 되도록 하였고, 4군은 건전한 자연치를 와동형성 없이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두께 측정은 방사선 사진을 스캔한 후 길이 확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와동을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다음 단일병 접착제 Single $Bond^{TM}$ (3M/ESPE, USA)를 적용하였고 혼합형 복합레진 Filtek $SZ-250^{T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적층 충전하였다. 치아를 실온에서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Sof-Lex system (3M/ESPE, USA)을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이후 자가중합형 레진에 교합면을 기저부에 평행한 상태로 치근부를 매몰한 다음 Universal testing machine (Zwick Z010, Germany)에서 지름 3 mm의 staineless steel rod를 1 mm/min의 cross-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은 95% 유의 수준의 One-way ANOVA와 Tukey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와동 형성 후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들은 대조군에 비해 약 75%의 파절 강도를 보였다. 2. 교합면쪽 잔존 치질의 두께에 따른 파절 저항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복합레진을 이용하여 첨와 형태의 와동을 수복한 후 파절 강도를 측정한 결과 건전 치아보다는 강도가 낮았지만, 상부의 잔존 치질이 대부분 법랑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복합 레진으로 수복하면 건전 치아 파절 강도의 75%까지 유지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Chlorhexidine 처리가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HEXIDIN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 오은화;최경규;김종률;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2호
    • /
    • pp.148-161
    • /
    • 2008
  • 본 연구는 상아질 혼성층의 교원섬유를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MMPs (Matrix metalloproteinses)의 억제제로 알려진 chlorhexidine (CHX)을 적용 후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각각 열순환 처리 후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접착계면에서의 파괴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우식이 없는 발거한 32개의 제3대구치의 교합면 상아질을 노출시키고 GI그룹에서는 dentin conditioner를 처리 후 2% chlorhexidine을 적용시키고, 산부식 접착제 그룹에서는 인산 산부식을 시행하고 2% chlorhexidine을 적용 후 3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 (Scotchbond Multipurpose, SM), 2단계 산부식형 상아질 접착제 (Single Bond, SB)를 도포하고, 자가부식 접착제 그룹에서는 2% chlorhexidine 적용 후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 (Clearfil Tri-S, TS)를 도포한다. 이후 복합 레진 (Z-250)과 GI (Fuji-II LC)를 충전한 시편을 $1\;mm^2$의 단면을 갖는 beam으로 제작하여 열순환 하지 않거나, 10,000회 열순환 ($5\;{\sim}\;55^{\circ}C$)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 (EZ-test; Shimadzu, Japan)에서 cross head speed 1 mm/min로 인장력을 가하여,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유의수준 0.05 level에서 two-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그 후 파절된 시편의 파괴 양상을 현미경 (SEM)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 CHX을 적용한 모든 실험군에서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증가하였고, 열순환은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감소시켰다 (P > 0.05). 2. CHX 적용 후 열순환 한 군은 CHX을 적용하지 않고 열순환한 군에 비하여 상아질과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높았으며, 특히 GI와 TS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 < 0.05). 3. 파괴 양상 분석 결과, 혼성층에서의 접착성 파괴를 보이며, CHX을 적용하면 혼성층 기저부에서 상부로 파괴 부위가 옮겨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MMPs 억제제인 2% CHX은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와 상아질 접착제의 초기 미세인장결합강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CHX 적용이 접착내구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Er:YAG 레이저를 활용한 와동형성시 컴포짓 결합강도 (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Treated with Er:YAG Laser)

  • 신민;지영덕;류성호;조진형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2호
    • /
    • pp.269-276
    • /
    • 2005
  • 재래의 고속핸드피스 bur를 이용한 와동 형성시 레진 접착력과 레이저를 사용한 와동형성시 접착력을 비교하여 레이저의 임상적용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총 96개 치아 표본의 법랑질 협면과 상아질 mid-coronal 부에 Er:YAG laser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사전에 산부식을 시킨 군(48개)과 부식시키지 않은 군(48개)으로 구별하고 각각 flowable 접착시스템(Metafil Flo)과 자가중합 시스템(Clearfil FII New Bond)를 레진에 접착시켰다. 37$^{\circ}C$ 증류수에서 24시간동안 보관한 후 미세 결합강도(micro-tensile shear strength)를 만능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법랑질과 상아질 모두 산부식 전처리를 한 경우에 산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결합강도가 높았고, 레이저 처리 표본에서도 마찬가지여서 레이저만으로 처리하는 것보다는 산부식 처리를 하는 것이 강도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법랑질의 경우 레이저 처치한 경우가 bur로 삭제한 경우보다 두 레진군 모두에서 결합강도가 낮았으나(P<0.05), 상아질의 경우에는 flowable 레진군에서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3. 레이저 처치군내에서 상아질의 경우, 광중합 flowable 레진의 결합강도가 자가중합형 레진의 강도보다 높았으나, 법랑질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레이저를 활용하여 와동을 형성하는 것은 상아질까지 확대된 와동의 경우에 법랑질에 국한된 경우보다 결합강도면에서 유리하며, flowable레진을 사용하는 것이 자가중합형 레진보다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ris 법을 이용한 전단접착강도 측정에서 와동벽의 영향 (The effect of cavity wall property on the shear bond strength test using iris method)

  • Kim, Dong-Hwan;Bae, Ji-Hyun;Cho, Byeong-Hoon;Lee, In-Bog;Baek, Seung-Ho;Ryu, Hyun-Mi;Son, Ho-Hyun;Um, Chung-Moon;Kwon, Hyuck-Ch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9권2호
    • /
    • pp.170-176
    • /
    • 2004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단접착강도 시험법에서 cohesive failure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소개된 metal iris를 사용하면, 실제의 1급 와동에서보다 복합 레진과 와동벽의 결합이 없어서 C-factol 적게 작용하고 계면에 발생하는 수축 응력이 감소됨으로써, 임상에서보다 높은 결합력 값이 보고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dentin ilia를 사용하여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방법 : 64개의 대구치를 4군으로 구분하여 metal iris와 dentin iris군으로 구분하고, 그 각각을 ONE-STEP과 ALL-BOND 2의 두 군으로 나누었다. bonding agent를 적용하고. iris를 고정한 후, 복합 레진을 충전하여 시편을 완성하였다. 이 때 dentin iris의 경우 내면에도 bonding agent를 적용하여 와동벽과의 결합이 발생하게 하였다. 전단접착강도는 24시간 후 측정하였고, 파절의 양상은 주사전자현미경과 입체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결과 : 전단접착강도 측정법에서 iris 법을 이용함으로써 cohesive failure를 줄일 수 있다. 전단접착강도 측정법은 adhesive 두께가 얇은 경우에 와동벽의 영향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