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surgery

검색결과 2,879건 처리시간 0.029초

Immediate effect of Nd:YAG laser monotherapy on subgingival periodontal pathogens: a pilot clinical study

  • McCawley, Thomas K.;McCawley, Mark N.;Rams, Thomas 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2권1호
    • /
    • pp.77-87
    • /
    • 2022
  • Purpose: This pilot study assessed the immediate in vivo effect of high peak pulse power neodymium-doped yttrium aluminum garnet (Nd:YAG) laser monotherapy on selected red/orange complex periodontal pathogens in deep human periodontal pockets. Methods: Twelve adults with severe periodontitis were treated with the Laser-Assisted New Attachment Procedure (LANAP®) surgical protocol, wherein a free-running, digitally pulsed, Nd:YAG dental laser was used as the initial therapeutic step before mechanical root debridement. Using a flexible optical fiber in a handpiece, Nd:YAG laser energy, at a density of 196 J/cm2 and a high peak pulse power of 1,333 W/pulse, was directed parallel to untreated tooth root surfaces in sequential coronal-apical passes to clinical periodontal probing depths, for a total applied energy dose of approximately 8-12 joules per millimeter of periodontal probing depth at each periodontal site. Subgingival biofilm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each patient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Nd:YAG laser monotherapy from periodontal pockets exhibiting ≥6 mm probing depths and bleeding on probing. Selected red/orange complex periodontal pathogen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Prevotella intermedia/nigrescens, Fusobacterium nucleatum, Parvimonas micra, and Campylobacter species) were quantified in the subgingival samples using established anaerobic culture techniques. Results: All immediate post-treatment subgingival biofilm specimens continued to yield microbial growth after Nd:YAG laser monotherapy. The mean levels of total cultivable red/orange complex periodontal pathogens per patient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2.0% pretreatment to 4.9% (a 59.2% decrease) immediately after Nd:YAG laser monotherapy, with 3 (25%) patients rendered culture-negative for all evaluated red/orange complex periodontal pathogens. Conclusions: High peak pulse power Nd:YAG laser monotherapy, used as the initial step in the LANAP® surgical protocol on mature subgingival biofilms, immediately induced significant reductions of nearly 60% in the mean total cultivable red/orange complex periodontal pathogen proportions per patient prior to mechanical root instrumentation and the rest of the LANAP® surgical protocol.

Histological analysis on tissues around orthodontically intruded maxillary molars using temporary anchorage devices: A case report

  • Hui-Chen Tsai;Julia Yu-Fong Chang;Chia-Chun Tu;Chung-Chen Jane Ya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5-136
    • /
    • 2023
  • Before progress was recently made in the application of temporary anchorage devices (TADs) in bio-mechanical design, orthodontists were rarely able to intrude molars to reduce upper posterior dental height (UPDH). However, TADs are now widely used to intrude molars to flatten the occlusal plane or induc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le. Previous studies involving clinical or animal histological evaluation on changes in periodontal conditions after molar intrusion have been reported, however, studies involving human histology are scarce. This case was a Class I malocclusion with a high mandibular plane angle. Upper molar intrusion with TADs was performed to reduce UPDH, which led to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le. After 5 months of upper molar intrusion, shortened clinical crowns were noticed, which caused difficulties in oral hygiene and hindered orthodontic tooth movement. The mid-treatment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redundant bone physically interfering with buccal attachment and osseous resective surgeries were followed. During the surgeries, bilateral mini screws were removed and bulging alveolar bone and gingiva were harvested for biopsy.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bacterial colonies at the bottom of the sulcus. Infiltration of chronic inflammatory cells underneath the non-keratinized sulcular epithelium was noted, with abundant capillaries being filled with red blood cells. Proximal alveolar bone facing the bottom of the gingival sulcus exhibited active bone remodeling and woven bone formation with plump osteocytes in the lacunae. On the other hand, buccal alveolar bone exhibited lamination, indicating slow bone turnover in the lateral region.

Quality of life, patient preferences, and implant survival and success of tapered implant-retained mandibular overdentures as a function of the attachment system

  • Ilze Indriksone;Pauls Vitols;Viktors Avkstols;Linards Grieznis;Kaspars Stamers;Susy Linder;Michel Dard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3권3호
    • /
    • pp.194-206
    • /
    • 2023
  • Purpose: A novel attachment system for implant-retained overdentures (IRODs) with novel material combinations for improved mechanical resilience and prosthodontic success (Novaloc)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o an existing system (Locator).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differences between the Novaloc and Locator attachment systems translate into differences in implant survival, implant success, and patient-centered outcomes when applied in a real-world in-practice comparative setting in patients restored with mandibular IRODs supported by 2 interforaminal implants (2-IRODs). Methods: This prospective, intra-subject crossover comparison compared 20 patients who received 2 intra-foraminal bone level tapered implants restored with full acrylic overdentures using either the Locator or Novaloc attachment system. After 6 months of function, the attachment in the corresponding dentures was switched, and the definitive attachment system type was delivered based on the patient's preference after 12 months. For the definitive attachment system, implant survival was evaluated after 24 months. The primary outcomes of this study wer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atient preferences related to prosthetic and implant survival. Secondary outcomes included implant survival rate and success, prosthetic survival, perceived general health, and patient satisfaction. Results: Patient-centered outcomes and patient preferences between attachment systems were comparable, with relatively high overall patient satisfaction levels for both attachment systems. No difference in the prosthetic survival rate between study groups was detected. The implant survival rate over the follow-up period after 24 months in both groups was 100%.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in-practice comparison indicate that both attachment systems represent comparable candidates for the prosthodontic retention of 2-IRODs. Both systems showed high rates of patient satisfaction and implant survival. The influence of material combinations of the retentive system on treatment outcomes between the tested systems remains inconclusive and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s.

A Rare Case of Brain Abscess Caused by Aggregatibacter aphrophilus and Actinomyces georgiae in an Immunocompetent Child

  • Soojeong Bae;Su Jin Lee;Ye Kyung Kim;Hee-Won Moon;Kyung Rae Cho;Ran Lee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3호
    • /
    • pp.159-164
    • /
    • 2023
  • 뇌농양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중추신경계 감염으로 특히 소아에서는 증상이 모호하여 시의적절한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저자들은 면역력이 정상인 소아에서 드문 병원체에 의한 중추신경계 감염을 진단 및 치료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7년 전 심방중격결손을 진단받았고, 1달 전부터 충치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는 10세 여아가 10일 전 발생한 두통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뇌자기공명영상에서 4.2 cm 크기의 뇌농양이 오른쪽 두정엽에서 발견되어 두개골절개술과 농양 흡인을 시행하였다. 흡인된 농과 조직에서 Aggregatibacter aphrophilus가 배양되었고, 16S rRNA sequencing에서 Actinomyces georgiae가 확인되어 ampicillin-sulbactam을 8주간 투여하였다. 수술 및 항균요법으로 환자의 증상이 호전되었고, 추적한 뇌자기공명영상에서 농양과 부종도 호전되어 치료를 종료하였다.

A novel histologic description of the fibrous networks in the lid-cheek junction and infraorbital region

  • Sang-Hee Lee;Kyu-Ho Yi;Jung-Hee Bae;You-Jin Choi;Young-Chun Gil;Kyung-Seok Hu;Eqram Rahman;Hee-Jin Kim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7권1호
    • /
    • pp.25-30
    • /
    • 202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natomical feature of retaining ligament and fat compartment on the lower eyelid and infraorbital region using a histological method, and to investigate clear definitions for them which could be used generally in the clinical area. Eighteen specimens from eight fresh Korean cadavers were stained with Masson trichrome or hematoxylin and eosin. The ligamentous and fascial fibrous tissue were clearly identified. The ligamentous fibrous tissue which traversed in the superficial and deep fat layer was skin ligament and orbicularis retaining ligament (ORL). The fascial fibrous tissue enclosed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OOc) and circumferencial adipose tissue. Based on the ligamentous and fascial structure, three fat compartments, septal, suborbicularis oculi and infraorbital fat compartment, could be identified. The OOc attached to orbital rim and dermis by ORL and skin ligament, and the muscle fascicle and fat fascicle provided the connection point to the ORL and skin ligament as enclosing all muscle and fat tissue. The combination of the force made by the skin ligament in the lower eyelid and ORL may decide the level and form of the infraorbital grooves.

Risk indicators associated with peri-implant diseases: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of Colombian patients with 1 to 18 years of follow-up

  • Ana Maria Ortiz-Echeverri;Carolina Gallego-Gonzalez;Maria Catalina Castano-Granada;Sergio Ivan Tobon-Arroyave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4권3호
    • /
    • pp.161-176
    • /
    • 2024
  • Purpose: Peri-implant mucositis (PIM) and peri-implantitis (PI) are multicausal conditions with several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their pathogenesis.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risk variables potentially associated with these peri-implant diseases (PIDs) over a follow-up period of 1 to 18 years.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379 implants placed in 155 patients. Single-visit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s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PIDs. Parameters related to the patient, site, surgery, implant, and prosthetic restoration were documen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isk variables and the occurrence of PIDs were individually examined and adjusted for confounders using multivariate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PIM and PI were 28.4% and 36.8% at the patient level and 33.5% and 24.5% at the implant level, respectively. Poor oral hygiene, active gingivitis/periodontitis, preoperative alveolar ridge deficiency, early or delayed implant placement, implant length of 11.0 mm or less, and poor restoration quality were strong and independent risk indicators for both PIDs. Furthermore, a follow-up period of more than 5 years and a loading time of more than 4 years were important indicators for PI. Simultaneously, age and smoking status acted as modifiers of the effect of mesiodistal (MD) and buccolingual (BL) widths of restoration on PI. Conclusions: In this study population, oral hygiene, periodontal status, preoperative alveolar ridge status, implant placement protocol, implant length, and the quality of coronal restoration appear to be robust risk indicators for both PIM and PI. Additionally, the length of follow-up and functional loading time are robust indicators of PI. Furthermore, the potential modifying relationships of age and smoking status with the MD and BL widths of restoration may be crucial for the development of PI.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의 최근 경향 (Current trends in orthodontic pati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임동혁;김태우;남동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3-72
    • /
    • 2003
  • 최근 치의학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소득이 증가하면서 이에 따라 일반인의 의식이 점차 변하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도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내원환자의 부정교합의 유형, 치료방법의 변화를 파악하여 내원환자와 보다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정치료 요구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정교합의 역학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 상반기와 1992년 상반기에서 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된 676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정교합의 유형과 내원 환자의 지역분포 및 주소의 변화, 치료방법의 변화를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원 환자의 남녀 비율은 1992년 1:2.1에서 2002년 1:1.5로 남자환자가 많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2. 연령별 내원 환자의 분포에서 2002년에는 7세에서 12세군이 $3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19세에서 24세군이 $24.0\%$, 13세에서 18세군이 $21.6\%$, 25세 이상군이 $14.2\%$, 4세에서 6세군이 $5.8\%$, 0세에서 3세군이 $2.4\%$로 가장 낮았다. 1992년도 내원 환자의 연령 분포와 비교시 성인 환자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3. Angle분류법에 의한 내원환자의 분포에서 2002년에는 III급 부정교합이 $4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급 부정교합이 $25.0\%$, II급 1류 부정교합이$20.9\%$, II급 2류 부정교합이 $3.4\%$로 나타났다. 4. 내원환자의 지역별 분포에서 서울 북동지역의 환자가$37.0\%$, 서울 남동지역이 $13.2\%$, 서울 남서지역이 $12.3\%$, 서울 북서지역의 환자가 $5.5\%$로 나타났다. 1992년도와 비교시 서울 북동지역환자의 내원 비율이 종가하고 그 외 지역 내원 환자의 비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주소(chief complaint)별 내원 환자의 분포는 2002년에 하악 전돌이 $1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크라우딩이 $14.2\%$, 안면 비대칭이 $11.8\%$로 나타났다. 1992년의 주소별 내원 비율과 비교시 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내원 동기가 매우 다양해졌다. 5. 2002년도 내원 환자의 치료방법은 고정식 장치가 $38.0\%$, 악교정 수술이$25.0\%$, 성장 관찰이 $13.0\%$로 나타났다. 1992년도와 비교시 chin cap의 사용이 줄었으며, 상대적으로 악교정 수술과 성장관찰을 요하는 환자의 비중이 유의할만하게 증가하였다

가이드 수술용 템플릿을 위한 5축 정밀가공공정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Accuracy of 5-axis precision milling for guided surgical template)

  • 박지만;이태경;정제교;김용;박은진;한종현;곽재영;김성균;허성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4-300
    • /
    • 2010
  • 연구 목적: 컴퓨터-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은 전통적인 방법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이드 수술용 템플릿 제작을 위한 좌표동기화 5축 정밀가 공공정의 정확도를 범용 CAD 소프트웨어를 통해 역설계공학의 방법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악궁 형태의 모형에 거타퍼쳐 스타핑을 매식한 10 개의 모형을 만들고 상부에 실리콘 인상재를 이용하여 인공치은을 덮어 스타핑의 위치를 보이지 않게 가렸다. 모형의 하면에 동기화를 위한 좌표동기화 형상을 만든 뒤 Cone beam CT에서 3차원 영상을 얻었다. 임플란트 계획 소프트웨어의 CT 이미지 상에서 매식된 스타핑과 동일한 방향으로 스타핑의 1/2 깊이까지 가상의 시술계획을 하고, 스타핑의 방향벡터와 저지점 (1/2지점) 데이터를 석고모형의 영상으로 좌표동기화 하였다. 이후 모형하면의 좌표동기화 형상을 이용하여 가공기기상의 좌표로 좌표변환을 통해 가공좌표동기화를 하였다. 5축 밀링머신의 좌표동기화판에 모형을 고정한 후, 동기화된 가공데이터에 의거하여 스타핑과 동일한 직경의 드릴로 계획된 벡터와 깊이로 정확히 가공 하였다. 모델에 정확히 안착되는 인상트레이를 CT 장비에 미리 고정한 상태에서, 인상트레이에 모델을 적합하여 이미지를 획득한 뒤 3차원 재구성하는 방법으로 영상을 중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SolidWorks (Dassault Systems, Concord, USA) 범용 CAD 상에 영상을 불러들여 역설계공학의 방법으로 실린더 상부, 하부의 중점에서의 위치편차와 각도편차를 조사하였다. 통계는 SPSS (release 14.0, SPSS Inc., Chicago, USA)를 이용하여 각 편차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alpha$ = 0.05). 결과: 위치 편차로 인하여 모든 드릴 보어 (bore)에서 상부 1/2에 잔존하는 거타퍼쳐의 일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 모형상에서 계획된 이미지와 드릴링 후CT에서 역설계를 거친 이미지 사이의 위치편차는 상부에서 0.31 (0.15 - 0.42) mm, 하부에서 0.36 (0.24 - 0.51) mm, 각도편차는 1.62 (0.54 - 2.27)$^{\circ}$이었다. 실린더 상부와 하부 위치 편차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다 (Pearson Correlation Coeffocient = 0.904, P= .013). 결론: 좌표동기화 5축 정밀가공 공정은 가이드 수술용 템플릿을 제작하는 데에 적합한 정확도를 가진다.

구강악안면부 외상발생의 역학적 평가 (Evaluation of Etiological Factors for Injuries at Oral and Maxillofacial Area)

  • 배성숙;황순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0-319
    • /
    • 2012
  •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야간 응급실이 있는 S 대학병원의 2009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까지 내원한 환자 중 구강악안면부 외상 상병명(한국질병 분류기호: S01.5, S02.40, S02.41, S02.50, S02.51, S02.60, S02.61, S03.2)으로 집계된 1,696건의 자료 중 1,495건의 전산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구강악안면 외상발생 요인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별 외상발생 남녀비는 1.49:1로 남자에서 더 많았고 남자가 894명(59.8%), 여자가 601명(40.2%)으로 나타났다. 2. 연령별로 외상발생은 7~14세(19.6%)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50~59세(13.7%), 60~69세(12.6%), 20~29세(11.8%), 30~39세(10.8%), 40~49세(9.6%), 6세 이하(9.4%), 70세 이상(605%), 15~19세(6.0%) 순으로 나타났다. 3. 원인별로는 넘어짐(25.9%)이 가장 많았고, 부딪힘(11.8%), 저작(11.6%), 교통사고((6.0%), 폭력(5.3%), 스포츠(2.4%), 추락(0.7%)의 순으로 나타났다. 4. 장소에 대한 분포는 등산, 해변, 야외 등 기타 장소가(24.7%) 가장 많았고, 공공장소 및 사무실(19.6%), 집(19.4%), 도로 길(13.8%), 학교 유치원 어린이 집(7.9%), 운동장(5.2%), 놀이터(3.6%)와 공원(3.6%), 그리고 계단(2.0%) 순으로 나타났다. 5. 외상발생 부위는 전치부(43.2%)와 구치부(43.1%)가 많았고, 이어 악골(9.2%), 혀, 입술 및 주위조직(2.6%), 악관절(1.9%) 순이었다. 6. 외상발생 시간은 15~19시(10.4%)와 19~23시 (7.1%)가 높게 나타났다. 발생 원인별 시간은 넘어짐의 경우 15~19시(14.7%), 추락의 경우 7~11시(27.3%), 부딪힘의 경우 15~19시(22.1%), 폭력에 의한 경우 19~23시와 23~3시(26.6%)에 각각 동일하게 높게 나타났고, 교통사고의 경우 15~19시(28.9%), 스포츠 활동의 경우 15~19시(48.6%), 저작 등에서는 19~23시(3.4%)에 높게 나타났다, 7. 외상 원인별 상병명은 넘어짐의 경우 S01.5 (입술 및 구강의 열린 상처), 추락의 경우 S02.51 (개방성 치아의 파절), 부딪힘의 경우 S02.50 (폐쇄성 치아의 파절), 폭력의 경우 S02.60 (폐쇄성 아래턱뼈의 골절), 교통사고와 스포츠, 저작 등의 경우 각각 S02.50 (폐쇄성 치아의 파절)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강악안면부 외상사고에 대한 역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경향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구강악안면부 외상사고 예방대책 및 보완정책 수립과 적극적인 안전교육 및 홍보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임플란트 주위염 치료용 diode laser의 파장 및 조사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와 살균효과 분석 (Analysis of temperature changes and sterilization effect of diode laser for the treatment of peri-implantitis by wavelength and irradiation time)

  • 설정환;이준재;금기연;이종호;임영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3호
    • /
    • pp.178-188
    • /
    • 2017
  • 목적:본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다이오드 레이저 제품을 이용하여 레이저 파워에 따른 온도변화와 박테리아 멸균 비교실험을 통하여 기존 제품과의 임플란트 주위염치료에 대한 효과를 비교 실험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808 nm Diode laser와 810 nm Diode laser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레이저를 60초간 조사하였으며, 출력은 1 - 2.5 W로 설정하였다. 온도측정 모듈과 온도측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isc 표면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SLA, RBM이 코팅된 disc에 bacteria 도포 후, 808 nm Diode laser를 30초간 조사하였으며, 출력은 0.5 - 3 W로 설정하였다. 결과: 808 nm, 810 nm 두 장치 모두 출력이 증가함에 따라 온도 상승폭은 증가하였다. 모든 조건에서 810 nm laser를 조사하였을 때 초기온도상승속도, 하강속도 및 전후의 온도변화량은 808 nm laser 보다 높았다. 레이저 조사 후 티타늄 디스크 표면의 변화는 두 레이저 모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Bacteria가 도포된 디스크에 808 nm laser를 조사한 결과, 출력이 증가 함에 따라 살균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Diode laser를 임상에 적용하는 경우, 동일한 출력에서 온도의 변동폭이 적고 최대 상승온도가 낮은 808 nm laser가 환자에 안전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실제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안전성평가를 실시하여 장비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