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의 최근 경향

Current trends in orthodontic patient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 임동혁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김태우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남동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장영일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Im, Dong-Hy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Woo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Nahm, Dong-Seo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ang, Young-Il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3.02.01

초록

최근 치의학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소득이 증가하면서 이에 따라 일반인의 의식이 점차 변하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도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내원환자의 부정교합의 유형, 치료방법의 변화를 파악하여 내원환자와 보다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정치료 요구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정교합의 역학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 상반기와 1992년 상반기에서 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 중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된 676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정교합의 유형과 내원 환자의 지역분포 및 주소의 변화, 치료방법의 변화를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원 환자의 남녀 비율은 1992년 1:2.1에서 2002년 1:1.5로 남자환자가 많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2. 연령별 내원 환자의 분포에서 2002년에는 7세에서 12세군이 $32.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19세에서 24세군이 $24.0\%$, 13세에서 18세군이 $21.6\%$, 25세 이상군이 $14.2\%$, 4세에서 6세군이 $5.8\%$, 0세에서 3세군이 $2.4\%$로 가장 낮았다. 1992년도 내원 환자의 연령 분포와 비교시 성인 환자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3. Angle분류법에 의한 내원환자의 분포에서 2002년에는 III급 부정교합이 $48.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급 부정교합이 $25.0\%$, II급 1류 부정교합이$20.9\%$, II급 2류 부정교합이 $3.4\%$로 나타났다. 4. 내원환자의 지역별 분포에서 서울 북동지역의 환자가$37.0\%$, 서울 남동지역이 $13.2\%$, 서울 남서지역이 $12.3\%$, 서울 북서지역의 환자가 $5.5\%$로 나타났다. 1992년도와 비교시 서울 북동지역환자의 내원 비율이 종가하고 그 외 지역 내원 환자의 비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주소(chief complaint)별 내원 환자의 분포는 2002년에 하악 전돌이 $1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크라우딩이 $14.2\%$, 안면 비대칭이 $11.8\%$로 나타났다. 1992년의 주소별 내원 비율과 비교시 안면 비대칭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내원 동기가 매우 다양해졌다. 5. 2002년도 내원 환자의 치료방법은 고정식 장치가 $38.0\%$, 악교정 수술이$25.0\%$, 성장 관찰이 $13.0\%$로 나타났다. 1992년도와 비교시 chin cap의 사용이 줄었으며, 상대적으로 악교정 수술과 성장관찰을 요하는 환자의 비중이 유의할만하게 증가하였다

Over the Past decades, the number of Patients seeking orthodontic treatment has increased markedly with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change of recognition on appea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epidemiologic data base related to the orthodontic treatment need. We could take an adequ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patients, and the changing trends about treatment mordality. Distrubution and treands were Investigated in 676 patients who had been examined and diagnosed at Department of orthodontics, Dental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January to June in 1992 and 2002. 1. Sex distribution of patients changed from 1:2.1 to 1:1.5 (male female). 2. In 2002, are distribution had shown $7\~12$ year-old group being the largest$(32.0\%)$ and percentage of $19\~24,\;13\~18,\;over\;25,\;4\~6,\;0\~3$ year-old group were $24.0\%,\;21.6\%,\;14.2\%,\;5.8\%,\;2.4\%$ respctively. Compared with data in 1992, the number of adult patients highly increased. 3. With regard to Angle classification, each percentage of Class I, Class II div 1, Class II div 2, and Class III malocclusion were $25.0\%,\;20.9\%,\;3.4\%,\;and\;48.1\%$ respectively in 2002. 4. Geographic distribution showed that most of the patients visited $(37.0\%)$ lived in northeast of Seoul in 2002. 5. Mandibular prognathism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chief complaints. The percentages of crowding and facial asymmetry were $14.2\%\;and\;11.8\%$ in 2002. Patients with facial asymmetry increased significantly. 6. Percentages of patients treated with fixed appliance and orthognathic surgery were $38.0\%\;and\;25.0\%$ in 2002. Patients needed to observe the growth pattern comprised $13.0\%$ with increasing trends. The use of chin cap reduced and the percentage of ortognathic surgery and growth observ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키워드

참고문헌

  1. 2002년도 구강보건사업안내 : 보건복지부, 2002 : 1-2
  2. 이원유, 김영돈, 한부석, 교정과 부정교합에 대한 지식에 관한조사, 대치교정지 1992 : 22(4) : 815-22
  3. Shaw WC,, O'Brien KD, Richmond S. Quality control in Orthodontics : factors influencing the receipt of orthodontic treatment. Br Dent J 1991 : 170 : 66-8 https://doi.org/10.1038/sj.bdj.4807421
  4. 한국 갤럽조사연구소. 한국인의 구강보건 행동 및 구강보건 의식에 관한 제2차 조사보고서 1991
  5. 서정훈. 교정과 환자의 내원 상황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77 : 15 : 745-8
  6. 오영진, 유영규. 연세대학교 부속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의 분류 및 분포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83 : 13 : 63-71
  7. 곡덕부, 박동옥, 경희문, 권오언, 생재현. 경북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의 분포 및 변동추이. 대치교정지 1990 : 19 : 811-21
  8. 양원식,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연구,대치협회지, 1990, 28 : 811-21
  9. 백형선, 김경호, 박열 연세대학교 영동 세브란스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의 분포 및 경향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5 : 25 : 87-100
  10. 양원식, 최근 10년 간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고찰(1985년-1994년 ), 대치교정지 1995 : 25 : 497-509
  11. 황미선, 윤영주, 김광원 최근 10년간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 환자에 관한 역학적 연구(1990-1999), 대치교정지 2001 : 31 : 283-300
  12. 유영규, 김남일, 이효경. 연세대학생 2378명을 대상으로 한 부정교합 빈도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71 : 2 : 35-40
  13. 서정훈, 남동석, 장영일. 한국인 부정교합 발생빈도에 관한 역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1984 : 14 : 33-7
  14. 강혜경, 유영규, 1991학년도 연세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한 부정교합 빈도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2 : 22 : 691-701
  15. Massler, M. and Frankel, J.M. Prevalence of malocclusion in children aged 14 to 18 years, Am J Orthod 1951 : 37 : 751-68
  16. Altemus, LA, Frequency of the incidence of malocclusion in American Negro children aged twelve to sixteen, Angle Orthod. 1959 : 29 : 189-200
  17. Steigman S, Kawar M, Ziberman Y, Prevalence and severity of malocclusion in Israeli Arab urban children 13 to 16 years of age, Am J Orthod 1983 : 84 : 337-43 https://doi.org/10.1016/S0002-9416(83)90350-0
  18. Lew KK, Foong WC, Loh E. Malocclusion prevalence in an ethnic Chinese population Aust Dent J 1993 : 38 : 442-9
  19. Rebeka G, Sliva, David S, Kang. Prevalence of malocclusion among Latino adolescent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2001 : 119 : 313-5
  20. 김영호, 백인호, 김종은, 최목균, 배창. 교정환자의 태도에 관한 고찰, 대치협회지 1993 : 31 : 383 -92
  21. Banks PA et al. The consultant Orthodontic survice : 1985 survey, Br Dent J 1988 : 165 : 425-9
  22. 양원식, 백승학. 최근 11년간 서울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순구개열 환자의 내원 현황에 관한 연구(1988.3 - 1999.2) 대치교정지 1999 : 29 : 467-81
  23. 이신재, 서정훈. 7-18세 청소년의 부정교합에 대한 인식과 교정치료 수요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4 : 24 : 367-94
  24. 송세진, 최익찬. 한국 젊은이의 안면미 선호경향에 관한 연구: 얼굴의 측모평가를 중심으로. 대치교정지 1992 : 22 : 881-919
  25. Sugawara J, Asano T, Endo N, Mitani H. Long-term effects of chin cup therapy on skeletal profile in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d Dentofac Orthop 1990 : 98 : 127-33
  26. Sugawara J, Mitani H. Facial growth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the effects, limitations, and long-term dentofacial adaptation to chincap therapy. Semin Orthod 1997 : 3 : 244- 54
  27. 김병호, 양원식.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환자의 이모장치에 대한 반응성 및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4 : 24 : 799-817
  28. 최정호. 유년기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환자에서 이모장치의 효과에 관한 유한요소분석법적 연구. 치의학석사학위논문, 1998,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