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model

검색결과 1,395건 처리시간 0.031초

근관 성형 전후의 네 가지 전자근관장측정기의 측정 정확성의 비교 (In vitro comparison of measurement accuracy In pre-enlarged and enlarged canals with four apex locators)

  • 성상엽;박정길;허복;김현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71-377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확대하기 전 근관에서 전자근관장 측정 시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확대된 근관에서 파일의 크기에 따른 네 가지 전자근관장 측정기의 정확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발치된 치아 10개를 #10파일을 이용하여 치아의 실제길이를 측정하였다 현미경에서 25배 확대 하에 #10 파일이 치근단공을 넘어 해부학적 치근단공에 이를 때까지 전진하여 디지털 캘리퍼로 측정하였다. Root ZX, Bingo 1020, SmarPex, e-Magic Finder를 알지네이트를 이용한 인체 재현 모델을 이용하여 #10 파일로 apex 표시등에서 측정하였다 (S10). #45까지 핸드 파일로 확대한 다음 #10, #40 파일을 이용하여 전자근관장을 측정하였다. 실제 길이와 각각 측정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L10, L40으로 정의하고 기계간의 비교는 one-way ANOVA통계처리하고,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 검증하였고, 같은 기계 안의 L10, L40은 Student's t-test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조건 하에서, 측정값의 정확도가 기계간에 차이를 보였고, 파일의 크기는 측정값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며, e-Magic Finder는 이 실험 조건하에서 다른 기계에 비해 가장 정확하였다.

The activation of NLRP3 inflammasome potentiates the immunomodulatory abilities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a murine colitis model

  • Ahn, Ji-Su;Seo, Yoojin;Oh, Su-Jeong;Yang, Ji Won;Shin, Ye Young;Lee, Byung-Chul;Kang, Kyung-Sun;Sung, Eui-Suk;Lee, Byung-Joo;Mohammadpour, Hemn;Hur, Jin;Shin, Tae-Hoon;Kim, Hyung-Sik
    • BMB Reports
    • /
    • 제53권6호
    • /
    • pp.329-334
    • /
    • 2020
  • Inflammasomes are cytosolic, multiprotein complexes that act at the frontline of the immune responses by recognizing pathogen- or danger-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or abnormal host molecule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multipotency to differentiate into various cell types and immunoregulatory eff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and functional regulation of NLR Family Pyrin Domain Containing 3 (NLRP3) inflammasome in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SCs (hUCB-MSCs). hUCB-MSCs expressed inflammasome components that are necessary for its complex assembly. Interestingly,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suppressed the differentiation of hUCB-MSCs into osteoblasts, which was restored when the expression of adaptor proteins for inflammasome assembly was inhibited. Moreover, the suppressive effects of MSCs on T cell responses and the macrophage activation were augmented in response to NLRP3 activation. In vivo studies using colitic mice revealed that the protective abilities of hUCB-MSCs increased after NLRP3 stimulation.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NLRP3 inflammasome components are expressed in hUCB-MSCs and its activation can regulate the differentiation capability and th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hUCB-MSCs.

상악궁 확장술을 통한 치료전, 후 및 보정후 상악 구치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posterior segments between before, after treatment and postretention period through maxillary expansion therapy)

  • 박태서;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5-63
    • /
    • 1997
  • 치열궁의 크기와 폭경 변화에 대한 연구가 사용된 장치 형태, 사용시기에따라, 그리고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또한 Quad-helix도 선학들에게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Quad-helix의 안정성과 장치 사용 전, 후에 대한 효과도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장치 사용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본 논문은 이 장치를 사용하여 치료한 환자의 치료전,후 및 보정후의 치열궁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여 Quad-helix사용 전, 후 구치부의 적응 양상을 연구함으로써 임상에서 Quad-helix를 통한 치료를 시행할 때 이 장치사용에 따른 효과 및 예후에 대하여 효과를 이해함으로써 교정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Quadhelix를 사용한 교정치료시 상악 제 1 소구치 와 제 1 대구치는 치료전과 치료후 및 보정후에서 교두간 폭경의 증가를 보였고 제 2 소구치에서는 치료후와 보정후간에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2. 상악 제 1 소구치와 제 1 대구치의 치축은 치료전과 치료후 그리고 보정후에서 협측 경사도가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으며, 상악 제 2 소구치는 치료전과 치료후 및 치료전과 보정후 비교에서 설측 경사도가 유의하게 증가를 보였다. 3. 최대 풍융부 항목에서 상악 제 1, 2소구치는 치료전과 치료후의 비교에서 유의한 증가를, 제 1 대구치에서는 치료전,후, 및 보정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4. 상악 제 1 대구치의 설면구 폭경은 치료전,후 및 보정기간을 통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구개 높이는 치료전과 치료후 비교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확장시킨 상악 치열궁은 회귀현상을 보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 PDF

Effects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 Transplantation Combined with Polymer on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Spinal Cord Hemisection in Rats

  • Choi, Ji Soo;Leem, Joong Woo;Lee, Kyung Hee;Kim, Sung-Soo;SuhKim, Haeyoung;Jung, Se Jung;Kim, Un Jeng;Lee, Bae Hw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6권6호
    • /
    • pp.405-411
    • /
    • 2012
  • The spontaneous axon regeneration of damaged neurons is limited after spinal cord injury (SCI). Recently, mesenchymal stem cell (MSC) transplantation was proposed as a potential approach for enhancing nerve regeneration that avoids the ethical issues associated with embryonic stem cell transplantation. As SCI is a complex pathological entity, the treatment of SCI requires a multipronged approach.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ecovery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human MSCs (hMSCs) and polymer in a spinal cord hemisection injury model. Rats were subjected to hemisection injuries and then divided into three groups. Two groups of rats underwent partial thoracic hemisection injury followed by implantation of either polymer only or polymer with hMSCs. Another hemisection-only group was used as a control. Behavioral, electrophysi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ies were performed on all rats. The functional recover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polymer with hMSC-transplanted group as compared with control at five weeks after transplantation. The results of electrophysiologic study demonstrated that the latency of somatosensory-evoked potentials (SSEPs) in the polymer with hMSC-transplanted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in the hemisection-only control group. In the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study, ${\beta}$-gal-positive cells were observed in the injured and adjacent sites after hMSC transplantation. Surviving hMSCs differentiated into various cell types such as neurons, astrocytes and oligodendrocytes. These data suggest that hMSC transplantation with polymer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functional recovery and axonal regeneration after SCI, and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y for SCI.

가토의 치조열 모델에서 골수 흡인물이 자가뼈 이식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one Marrow Aspirate with Autogenous Bone graft for Alveolar Cleft in a new Rabbit Model)

  • 배성근;정호윤;이상윤;조병채;양정덕;박미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31-537
    • /
    • 2009
  • Purpose: Alveolar bone grafting has become an essential process in the treatmemt of alveolar cleft patient for stabilization of the maxillary arch, elimination of oronasal fistula, the reconstruction of the soft tissue nasal base support, and creation of bony support for tooth eruption for implant. The use of Autologous iliac cancellous bone is preferable because of the adequate quantity and high osteoinductive potential. However, even with iliac bone, insufficient osteoregeneration and absorption occur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the patient's age, cleft width, functional stress, and others. In order to increase osteoregeneration where the iliac bone is placed, the present study is associated with bone marrow aspirate (BMA). The experimental study evaluated the efficacy of osteoregeneration in normal cleft rabbits when alveolar bone grafting was performed with autologous iliac corticocancellous bone. Methods: Twenty - four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2 groups (BMA, control). All animals underwent harvesting of corticocancellous bone graft from the right posterior iliac crest via standard surgical technique. $1m{\ell}$ of BMA were obtained by scraping the needle and aspirate with $10m{\ell}$ syringe from the contralateral iliac bone wall. The muco - periosteal flap on the palate was elevated. A mixture of Equal bone's volumes with BMA and saline as its control was inserted into the cleft. Animals were sacrificed at 2, 4, and 8 weeks and maxilla was harvested for dental peri - apical X-ray, bone matrix density (BMD),and histologic analysis. Result: BMD of regenerated bone to the cleft in the rabbi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rabbits. X-ray, histologic analysis showed that increased osteoregeneration and low absorption rate were observed in the BMA group. Conclusion: Our experimental study showed BMA enhanced the osteoregeneration and survival rate of alveolar bone grafting. BMA is easy to extract & cost - time effective. So it can be an effective enhancers for bone grafting mixtures.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analysis of the alveolar ridge profile and virtual implant placement for the anterior maxilla

  • Lim, Hyun-Chang;Kang, Do-Uk;Baek, Hyehyeon;Hong, Ji-Youn;Shin, Seung-Yun;Chung, Jong-Hyuk;Herr, Yeek;Shin, Seung-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9권5호
    • /
    • pp.299-309
    • /
    • 2019
  • Purpose: To analyze the ridge profile of the anterior maxilla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nd to asses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ridge profile by performing virtual implant placement. Methods: Thirty-two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scans of anterior maxillae were included. For each tooth, a vertical line was mad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nd 3 horizontal lines at 1-, 3-, and 5-mm levels below the labial bone crest were drawn perpendicularly to the vertical reference. At these levels, the thickness of the alveolar ridge (RT), and the labial (LT) and palatal bone plate (PT) were measured. Then, virtual implant placement using standard and tapered implants was performed. A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teeth were located labially based on the proportion of LT and PT with respect to RT. At the 1-mm level, the value of LT was between $1.0{\pm}0.4mm$ for central incisors and $1.3{\pm}0.6mm$ for canines. A large number of teeth had area(s) with less than 1-mm-thick labial bone between the 1- and 5-mm levels below the crest. The mean PT was generally thicker than the LT in all tooth types. The greatest mean value of labial concavity was observed for canines, compared to other tooth types. Men had a greater RT than did women, but had a comparable LT. Less apical fenestration was observed when tapered implants were used. Conclusions: Most teeth in the anterior maxilla had a thin labial bone plat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xes. Tapered implants may be advantageous for the anterior maxilla.

Adjuvant therapy with 1% alendronate gel for experimental periodontitis treatment in rats

  • de Campos Kajimoto, Natalia;de Paiva Buischi, Yvonne;Loomer, Peter Michael;Bromage, Timothy G.;Ervolino, Edilson;Fucini, Stephen Enrico;Pola, Natalia Marcumini;Pirovani, Beatriz Ommati;Morabito, Maria Juliana Sismeiro;de Almeida, Juliano Milanezi;Furlaneto, Flavia Aparecida Chaves;Nagata, Maria Jose Hitomi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6호
    • /
    • pp.374-385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cally delivered 1% alendronate (ALN) gel used as an adjunct to non-invasive periodontal therapy. Methods: Ligature-induced periodontitis was performed in 96 rats. The ligature was tied in the cervical area of the mandibular left first molar. The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1) NT, no treatment; 2) SRP, scaling and root planning; 3) SRP/PLA, SRP followed by filling the periodontal pocket with placebo gel (PLA); and 4) SRP/ALN, SRP followed by filling the periodontal pockets with 1% ALN gel. Histomorphometric (percentage of bone in the furcation region [PBF]) and immunohistochemical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 osteoprotegerin, and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analyses were perform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threshold of statistical significance set at P≤0.05. Results: The SRP, SRP/PLA, and SRP/ALN groups presented a higher PBF than the NT group (P≤0.01) at 7, 15, and 30 days. The SRP/ALN group presented a higher PBF than the SRP/PLA group in all experimental periods, as well as a higher PBF than the SRP group at 15 and 30 day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P>0.05 for all). Conclusions: Locally delivered 1% ALN gel used as an adjunct to SRP enhanced bone regeneration in the furcation region in a rat model of experimental periodontitis.

총의치의 납의치 상에서 치은 형성 시행 후에 나타나는 시간에 따른 인공 치아 이 동에 대한 평가 (Complete denture artificial teeth arrangement deformation in wax denture after festooning: deformation over time)

  • 이세한;곽영훈;김희중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4호
    • /
    • pp.262-269
    • /
    • 2018
  • 목적: 치은 형성 후 인공치아의 이동에 대하여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0벌의 동일한 치아배열과 치은의 외형을 가진 납의치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이 납의치 상에서 치은 형성을 시행하였고, 10분 간격으로 120분 간 모델 스캔을 시행하여 치아 간 거리를 측정하였다. SPSS Ver. 22. 0를 이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치은 형성 후 평균적으로 치아 사이의 거리가 0.0999 mm에서 0.1787 mm로 나타났다. 인공치아 이동의 변화율에 대해서는 40 - 50분과 50 - 60분 사이와 50 - 60분과 60 - 70분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고, 그 이후에는 변화율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120분 간 측정한 결과 인공치아의 이동이 관찰되었고, 60 - 70분 이후에는 시간에 따른 평균 이동량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종합하면, 치은 형성 후 60분 이상 경과된 시점에서 교합에 대한 재평가를 시행한 후에 최종 의치를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이크로스크류가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을 위한 영상정합 과정에서 작업시간과 술자편의성에 미치는 영향 (Time efficiency and operator convenience of using a micro-screw in image registration for guided implant surgery)

  • 마이해엔;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19-224
    • /
    • 2019
  • 목적:컴퓨터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에서 방사선 영상과 디지털 영상과의 정합은 필수적인 과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이크로스크류의 사용이 가이드 수술을 위한 영상정합 과정에서 작업시간과 술자편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연구모형의 제작을 위해 Kennedy class I 하악 덴티폼에 마이크로스크류 2개를 후구치 삼각 부위에 식립 후 컴퓨터 단층촬영과 디지털 스캔을 통해 방사선 영상과 스캔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들은 잔존 치아 부위만을 이용하는 방법과 치아와 마이크로스크류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12명의 술자에 의해 중첩되었다. 이 중첩된 영상에 대하여 작업시간, 술자편의성, 만족도의 자료가 수집되고, Mann-Whitney U test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작업시간은 영상정합 조건 사이에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P > .05). 술자편의성과 만족도는 치아와 마이크로스크류를 이용하는 방법에서 잔존 치아 부위만을 이용하는 방법보다 높았다 (P < .001). 결론: 영상정합에서 마이크로스크류의 이용은 작업시간의 단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술자편의성과 만족도는 향상시킨다.

북한이탈주민 대상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 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91-803
    • /
    • 2021
  • 북한이탈주민의 구강건강 수준을 향상시키려면 구강병 치료와 함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으로 Dick&Carey 모형을 선정하였다. 학습자 및 환경 분석을 위해 전문가 면담을 한 결과,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교육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크게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 선행 필요, 북한의 일상 언어 숙지 필요, 북한이탈주민에게 적합한 동기화전략 개발 필요, 전신건강과 연계된 교육내용 수립,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현실적인 교육방법 모색 필요 등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개발 결과, 45개의 학습목표가 개발되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10차시의 교육이 계획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북한이탈주민 대상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은 향후 북한이탈주민 대상 구강보건교육을 계획하는 치과위생사와 북한이탈주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