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hygiene process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7초

치과진정법과 전신마취를 이용한 장애환자의 보철치료 (Prosthodontic Treat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 Dental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 김윤희;이진한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3-191
    • /
    • 2012
  • In most persons with disabilities had poor oral hygiene because of less attention and ability to perform a dental care. So the increased prevalence and severity of dental disease were common oral state. Although most persons with disabilities need a adequate dental treatment, it is often very difficult to treat because of noncooperativity and involuntary muscle movements. Dental treatments under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were make to provide a high-quality dental service because of decreased anxiety and fear associated dental treatment in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dental professionals must be able to select and apply the proper sedation methods in agreem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ilities, general conditions, sedation experience and capacity of dentist, type and time of dental treatment, equipments of dental clinic, consent of patient's protector. The proshodontic treatment procedures, such as abutment preparation, dental impression taking process, try-in process of prosthesis and adjustment of occlusion, are difficult even for patients without disabilities. Those procedures are more difficult to patients with disability because it's too hard to control breathing and muscle. In this report, we performed prosthetic dentistry procedures to three patients with disabilities under dental sedation and general anesthesia.

전남지역 대학생의 구강건강행위에 대한 관련 요인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 of Junior College in Jeollanamdo)

  • 장윤정;정진아;전은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87-402
    • /
    • 2006
  • This research carried out a survey for 569 students in a junior college of jeollanamdo to provide a needful basic data in developing suitable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creating a direction of the oral hygiene education process to intial adult population after holding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and a affecting factors to it. A collected data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 According to school grade, a difference of action factor is Chi-squar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icient in actionfactor and acknowledgement-perception factor and a step-by-step recurrence analysis processed a related factor of the oral health action. 1. A related action factor of the oral health appeared meaningful difference of the oral cavity medical examination, the oral cavity clean device use or not, dental surgery prevention cure or not among the third grade who had the most experience of the oral hygiene education within one year recently. 2. A significant of the oral cavity health acknowledged and perceived and a concern of the oral cavity health, acknowledged the oral cavity health state distribution are the highest in the third grade. 3. According to monthly income, a large income is higher than a small income about self-effects in a relation between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and acknowledgement-perception factor. the average of a large income is 30.59(${\pm}5.79$). The obstacle of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is 12.51(${\pm}3.19$). a large income is highest. according to school career, under middle school layer obtained the highest average 16.33(${\pm}3.53$). according to a school year, acknowledge-perception factor of the oral cavity health control of the third grade is the highest(38.81(${\pm}6.25$). 4. In mutual relation between acknowledge-perception factor and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a variable constants of meaningful mutual relation are the oral cavity health perception, self-effects,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obstacle,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benefit, the oral health action control, aggressive. and they are self-effects,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in the oral cavity health perception. A significant of the oral cavity health and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obstacle are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benefit and the oral cavity health action control. 5. The affecting factors to the oral health action are self-effects, action factor, acknowledged the oral health control.

  • PDF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관련 지식 확산 (Diffusion of Knowledge Related to Systemic Disease among Dental Hygienists)

  • 김영진;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7
    • /
    • 2016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지식 확산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종합(대학)병원 치과, 치과 병 의원 및 보건(지)소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11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31일부터 9월 20일에 걸쳐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서술통계와 t-검정,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관련 지식 정도는 전체 평균 0.64점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신질환 지식에서는 연령, 학력, 경력, 교육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관련 지식에 대한 유용성 인식 정도는 전체 평균점수가 0.61점(1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전신질환 관련 지식의 유용성 인식에서는 연령(p<0.001), 학력(p<0.01), 경력(p<0.001), 교육경험(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관련 지식에 대한 실무적용 정도는 전체 평균 0.86점(2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전신질환 관련 지식 실무적용에서는 연령(p<0.01), 학력(p<0.01), 경력(p<0.01), 교육경험(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지식 확산정도는 2.17점으로 '실무에 유용하다고 생각함' 단계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지식의 확산 과정을 파악하고 장애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치과위생사에게 전신질환 지식에 대한 실무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윤리적 딜레마 (Dental Hygienist's Ethical Dilemma)

  • 이선미;강부월;김창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9-264
    • /
    • 2010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자 치과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3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4.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윤리강령에 대한 인식정도에 있어서 64.9%가 내용은 알지 못하나 윤리강령이 있다는 것은 안다고 응답하였으며, 윤리적 딜레마 경험 시 상담대상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경우 동료나 선후배 치과위생사(84.0%)라고 응답하였다. 2. 윤리교육에 대한 필요성에 있어서 86.8%의 대상자들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참여의사에 있어서는 그렇다가 50.0%인 반면 모르겠다는 반응도 41.6%나 되었다. 3. 윤리적 의사결정시 영향요인에 있어서는 병원의 정책과 절차가 3.50점으로 가장 높았고, 직업상실의 두려움이 2.4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윤리적 딜레마 영역별로 치과위생사와 전문직 업무가 2.56점, 치과위생사와 대상자 2.33점, 치과위생사와 협동자 2.28점 순이었고, 전체적 딜레마 점수는 2.39점으로 나타났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적 딜레마는 연령에서 31-35세와 36세 이상, 학력은 대학원 이상, 결혼 상태는 미혼, 근무지는 종합병원인 경우, 근무경력이 1-3년 이하에서 점수가 높았으나 집단 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상 치과위생사의 치과의료 서비스 과정에서 영어 의사소통 능력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the dental health service proces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박명화;박종태;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75-38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factors related to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the dental health servic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ho provide dental medical services to foreigners. Methods: Surveys were conducted to measure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Participants comprised 195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English study cafes or who provided dental medical services to foreigners.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actors related to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Results: English communication skill of dental hygienists was 1.96 points out of 5 points. The factors related to the English communication skill of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were foreign patient care, language training experience, overseas living experience, and certified English proficiency. The adjusted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was 53.0%. Conclusions: Dental hygienists in charge of foreign patients have experience in language training and overseas residence, have a language qualification certificate, and have highe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nglish language learning programs based on metaverse to develop th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of dental hygienists who provide dental health services to foreign patients and to operate a cre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to increase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에서의 실책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Rate of Error with Bisecting Angle Technique and Paralleling Technique)

  • 이경희;박일순;정정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55-161
    • /
    • 2011
  • 본 연구는 치근단 필름 촬영에 있어서 촬영법에 따른 실책율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효율적인 촬영기술 습득과 학생의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행되었다. 2009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D 보건대학 및 S 보건대학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촬영한 필름 14,402매를 분석하고,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의 촬영 실습수업을 이수한 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현상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등각촬영법으로 촬영한 경우 상 하악 모두 대구치부에서 실책율이 가장 높았다. 2. 평행촬영법으로 촬영한 경우 상악에서는 소구치부, 하악에서는 대구치부에서 실책율이 가장 높았다. 3. 촬영기술상의 실책은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 모두 필름위치의 부정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각촬영법이 평행촬영법에 비해 실책율이 높게 나타났다. 4. 현상기술상의 실책은 등각촬영법과 평행촬영법 모두 어두운 상과 밝은 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각 촬영법이 평행촬영법에 비해 실책율이 높게 나타났다. 5. 학생들은 현상과정에서 현상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살펴볼 때, 치근단 촬영 시 실책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구강 내 형태학적, 해부학적 구조의 이해가 필요하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여러 번 반복 촬영하여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진료실 안전사고에 의한 치과위생사의 외상 경험 실태 및 예방 실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Injuries Experience and Prevention in Dental Office)

  • 최미현;배현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45-850
    • /
    • 2015
  • 이번 연구는 진료실 내 안전사고에 의한 외상 경험 실태와 예방 실천에 대해 파악하는 연구이다. 치과 병 의원에서 종사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36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근 6개월 동안 외상 경험은 연구대상자 366명 중 307명(83.9%)이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유형으로는 전체응답자 366명 중 찔림이 294회(80.3%)로 가장 경험이 많았고 절상, 찰과상, 화상 순이었다. 외상 원인으로는 찔림의 원인이 된 기자재 중 explorer가 93명(25.4%)으로 가장 많았으며 needle이 66명(18.0%)로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절상(베임)은 blade가 36명(9.8%), 화상 원인은 sterilizer로 26명(7.1%), 찰과상 원인은 movable cart 47명(12.8%)으로 가장 많았다. 찔림 경험을 한 후 응급처치로 알코올 솜으로 닦는 경우가 40.8%으로 가장 많았고, 응급실 방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상(베임)을 경험 한 후 응급처치로 베타딘으로 소독하는 경우가 42.8%으로 가장 많았고, 화상을 경험 후 응급처치는 찬물로 씻는 경우가 73.0%으로 절반이 넘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경험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연령, 근무경력(p<0.001), 최종학력(p=0.006), 직위, 업무영역(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 실천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외상 경험 여부(p=0.030), 연령(p=0.015)과 치과유형(p=0.003)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 외상 경험 실태와 안전사고 예방 실천에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진료실 내 안전사고 예방이 체계적인 과정으로 확립되어야 하고 정기적인 교육을 통하여 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J 대학교 재학생의 학습역량 실태조사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learning competences in students at a college)

  • 송경희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1-3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students at a college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0, 2017,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foster learning competencies in college years, which lay the foundation for work and social lives. 1.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the subjects consisted of academic vision, student identity, cognitive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learning management and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Out of five points, they scored the highest in academic vision and student identity with 3.34, followed by learning management with 3.20,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with 3.18, emotional regulation with 3.16 and cognitive regulation with 3.14.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vis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 identity and cognitive regulation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management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grade point average,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As they were poorest at the cognitive regulation area among the areas of learning competencies,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that deal with how to study, learning process, how to take notes and arrange them, how to link different pieces of acquired knowledge and how to map out study plans should be developed to give support to students.

치면세마실습 대상자의 구강건강수준과 구강보건지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Health Status and Knowledge of the Volunteers in Practice for Oral Prophylaxis)

  • 김응권;임순환;박미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87-294
    • /
    • 200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치면세마실습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수준과 구강건강관리행위 및 구강보건지식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구강검사와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회수된 266부를 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구강건강수준은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 남자 10.4, 여자 13.0, 여자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우식영구치율 (DT rate)은 남자 32.0. 여자 30.0, 상실영구치율(MT rate)은 남자 32.2, 여자 26.6으로 남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2. 연령에 따른 구강건강수준을 보면, 우식경험영구치지수 (DMFT index)는 60대 이상 21.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우식영구치율 (DT rate)은 40대 35.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상실영구치율 (MT rate)은 60대 42.8%, 30대 42.6%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처치영구치율(FT rate)은 60대 42.8%, 30대 42.6%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성별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은 우식성 식품에서 전체의 77.8%가 응답하여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불소에 관한 질문은 남자 72.4%, 여자 84.7%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잇솔질 방법은 남자 61.3%, 여자 78.8%로 여자에서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연령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은 우식성 식품에서 20대 8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5. 정기적인 구강검진여부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은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하는 경우에서 불소에 관한 질문은 전체의 84.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잇솔질 방법은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한다(80.3%)가 안 한다(62.5%) 보다 높은 응답을 보였고, 우식성 식품은 정기적인 구강검진을 한다(68.2%)가 안 한다(81.0%)보다 낮게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치석제거여부에 대한 구강보건지식은 정기적인 치과 방문시기에서 치석제거 한다 50.5%, 안 한다 32.1%로 지석제거 한다에서 더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잇솔질시기는 치석제거 한다 77.2%, 안 한다 65.5% 로 한다에서 더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우식성 식품은 치석제거한다 71.3%, 안 한다 81.8%로 안 한다에서 더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불소에 관한 질문은 치석제거 한다84.2%, 안 한다 71.5%로 한다에서 더 높은 응답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와 같이 구강건강수준과 구강건강관리행위가 구강보건지식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차후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치위생과 치면세마실습 과정에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구강보건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자발적으로 치면세마실습에 참여한 환자에게는 개별 맞춤형의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구강건강을 증진시키는 행위에 대한 동기부여를 강화하고 지속적인 구강건강관리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마와 꿀풀 추출물에 의한 Streptococcus mutans의 산 생성 및 Glucosyltransferase 저해효과 (Glucosyltransferase Inhibi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Dioscorea batatas and Prunella vulgaris extract)

  • 정기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2
    • /
    • 2007
  • 마, 꿀풀 추출물의 용매 분획별 구강병인균에 대한 항균 및 항우식 효과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 mutans에 대한 마, 꿀풀 헥산 추출물의 상대성장률과 산 생성 억제 및 GTase 활성 저해효과을 알아본 결과, 마 헥산 추출물의 0.25 mg/ml 농도에서 100%, 꿀풀헥산 추출물의 0.5 mg/ml 농도에서 100% 성장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0 mg/ml 농도에서 마가 pH 7.2, 꿀풀이 pH 7.0로 나타나 pH 5.6, pH 5.2인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마, 꿀풀 헥산 추출물을 첨가물이 산 생성을 억제하여 중성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GTase 활성 저해효과는 마와 꿀풀의 헥산 추출물의 2.0 mg/ml농도에서 35%, 25%로 각각 활성을 저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