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olition work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1초

군 해체공사 안전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for Military Demolition Works)

  • 정상준;박종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1-80
    • /
    • 2022
  • Since the 2000s, the demand for private demolition works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as the apartment housing market has been led by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In the case of the militar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is consolidating troops from each military unit to reorganize the unit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Defense Reform 2.0; the plan includes reducing the garrison used by each unit to 70% of its current level. Accordingly, the demand for demolition work in the military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However, the military regulations do not reflect the relevant laws that have been revised recently. This study identifies regulations and system improvements for demolition work suitable for the military based on an analysis of accident cases that have occurred during demolition work, of domestic and foreign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military demolition work, and of the problems with current military safety management at each stage of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The study subsequently proposes improvements for military demolition work, including budget execution adjustment, the establishment of training courses, on-site inspections,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military demolition work, the provision of risk assessment standards, and the need for the qualification of equipment operators.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 (벽식구조 노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A Process Model of Eco-friendly Demolition Work for Wall Type Aged Housing Remodeling)

  • 황영규;김기현;김경래;한주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6호
    • /
    • pp.204-215
    • /
    • 2008
  • 리모델링 공사는 신축공사와 달리 철거공사가 주공정으로 선행되어야 하는데 현행 철거공사는 개략적 수준의 철거관리계획에 의한 생산성만을 강조한 철거 형태로 인해 폐자재 재활용이 되지않고 있어 자원낭비, 환경파괴를 가중 시키고 있으며, 철거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과 구조체의 안전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철거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친환경 철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의 개선이 우선 되어야하며 그 단계를 1) 철거관련 조사분석, 2) 철거관리 도서작성, 3) 철거관리 시공계획서작성, 4) 철거시공 및 감리, 5) 철거 후 관리의 5단계로 구분 하였으며, 특히 철거도면 작성으로 표준철거 WBS가 구축되고, 철거장비 및 공법, 폐기물 투하, 철거공정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마감재 철거 후 구조체의 안전점검을 실시하므로써 철거중 불가피한 보수보강이 가능하며, 철거완료 Check list 작성에 따라 리모델링 본공사의 Database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AS-IS)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TO-BE)를 IDEF0 모델을 사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 모델 개발 (Development a Process Model of Environment-friendly Demolition Works for Aged Housing Remodeling)

  • 황영규;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85-92
    • /
    • 2008
  • 리모델링 공사는 신축공사와 달리 철거공사가 주공정으로 선행되어야 하는데 현행 철거공사는 개략적 수준의 철거관리계획에 의한 생산성만을 강조한 철거 형태로 인해 폐자재 재활용이 되지 않고 있어 자원낭비, 환경파괴를 가중시키고 있으며, 철거작업 중 작업자의 안전과 구조체의 안전등이 전혀 고려되지 않고 철거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친환경 철거공사가 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의 개선이 우선 되어야하며 그 단계를 1) 철거관련 조사분석, 2) 철거관리 도서작성, 3) 철거관리 시공계획서작성, 4) 철거시공 및 감리, 5) 철거 후 관리의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특히 철거도면 작성으로 표준철거 WBS가 구축되고, 철거장비 및 공법, 폐기물 투하, 철거공정계획 수립이 가능하며 마감재 철거 후 구조체의 안전점검을 실시하므로써 철거중 불가피한 보수보강이 가능하며, 철거완료 Check list 작성에 따라 리모델링 본 공사의 Database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AS-IS)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된 친환경 리모델링 철거공사 프로세스(TO-BE)를 IDEF0 모델을 사용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건축물의 구조유형을 고려한 해체공사 제도 개선 방안 필요성 - 해체공사의 허가 및 신고를 기준으로 - (Necessity of Improvements on Code of Practice at the Demolition Work considering Building Structure Type : Based on Demolition work of Permission and Registration)

  • 심유경;정재욱;이재현;정재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66-74
    • /
    • 2020
  • 해체공사의 수요증가와 사고 위험성을 고려하여 정부는 20년 건축물관리법을 시행해 해체공사의 안전관리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건축물관리법 제 30조 건축물의 해체 허가에 따른 기준은 일률적이기 때문에 규모에 따른 허가대상 건축물의 구분은 불합리할 수 있다. 또한, 해체공사는 건축물의 구조 유형에 따라 공사 난이도 및 발생 재해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건축물관리법상 신고대상에 속하는 조적조 등의 소규모 건축물의 구조 유형을 고려한 해체공사 안전관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순서는 (I) 건축물관리법 기준; (II) 건축물의 구조 유형에 따른 해체공사 분석; (III) 해체공사 허가대상 세분화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건축물관리법상 허가대상은 과거 해체공사 실적의 10% 정도, 조적조는 2.43%에 불과하였다. 허가대상 기준을 세분화한 결과 조적조의 경우 연면적 100㎡이하일 때 허가 및 신고대상의 수가 유사해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해관계자는 1) 해외와 같이 규모에 관계없이 특수구조 건축물에 강화된 안전관리 기준을 적용하거나, 2) 건축물의 구조 유형에 따라 해체공사 허가 대상 기준을 세분화하는 방식 등을 활용한 해체공사 안전관리를 개선할 수 있다.

발파해체현장에서 발생하는 순간분진의 입경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Building Blasting Demolition Sites)

  • 이경희;김효진;박찬규;고광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47
    • /
    • 2009
  • In building demolition work, major dust-generating activities are blasting concrete and roc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 of particle size of dusts which were generat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The DustMate of the Turnkey-Instruments Ltd. was used for particulate size-selective sampling of the four sites. TSP(Total Suspended Particle), PM10(Particle Matter $10{\mu}m$), PM2.5(Particle Matter $2.5{\mu}m$), and PM1.0(Particle Matter $1.0{\mu}m$) were measur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The large particulate (higher than the diameter $10{\mu}m$) showed to be higher than 50%. The particulate ranged from $10{\mu}m\;to\;2.5{\mu}m$ showed about 30-40%. PM2.5 was not scarcely detected in the samples collected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We conclude that the dust generat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has not most respirable particulate.

회귀분석을 이용한 건축물 해체공사비 예측모델 (Cost Prediction Model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 김태훈;김영현;조규만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5-112
    • /
    • 2021
  • 국내 해체시장 규모는 꾸준히 증가되고 있는 반면, 해체공사비 예측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체공사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속성을 반영한 공사비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문헌고찰과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13개의 영향요인과 실적공사비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2개의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예측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 6~12%의 평균 오차율을 보였으며, 예측 모델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해체공사의 적정 공사비산정 및 관련 기준 정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건축물 해체공사비 변동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molition Costs)

  • 신동욱;조규만;이웅균;김태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99-506
    • /
    • 2018
  •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면서 대량으로 건설된 중 고층 건물이 사회적, 구조적으로 노후됨에 따라 해체공사가 대거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해체공사비 예측을 위한 이론적 접근이나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건축물 해체공사비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을 도출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고찰과 전문가 그룹의 자문을 바탕으로 14개의 영향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설공사, 구조물 해체, 폐기물처리, 전체공정별 중요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체공사비의 변동은 해체현장의 환경적 요인들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체공사 발주단계에서 개략공사비 추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상 및 지하구조물 해체공사를 위한 구조 안전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Safety Management Plan for Above Ground and Underground Structure Dismantling work)

  • 심학보;전현수;석원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4-195
    • /
    • 2021
  • Due to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r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demolish old buildings that have lost their functions. Demolition of above ground and underground structures is an important construction project that greatly affect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afety of the entire proces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safety officer to manage the demolition work due to the lack of specific and diverse data applicable to the site of the demolition plan. Therefore, in this study, item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structural safety when the above-ground and underground structures are demolished are reviewed and organized. For the main contents of structural safety management in demolition work, 1) structural review reflecting the order of demolition work, 2)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steel pipe scaffolding and dust nets, 3)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system scaffolding, 4)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fall prevention nets, 5) jack support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6) movement of equipment, movement and planning between floors, 7) equipment for demolition of structures, height of remnants, 8) site cleanup, and 9) equipment operators were categorized and arranged.

  • PDF

The Effect of Chemical Admixtures on Removal of Scattered Dust

  • Son, Ho Jeong;An, Jung Min;Chung, Chul-Woo;Lee, Jae-Yong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94-601
    • /
    • 2013
  •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associated with building demolition is the dust generated during the work. The only way to reduce the demolition dust is to use a dust net during water spray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supply the necessary amount of water to remove demolition dust, thus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his method on a demolition site. This work attempted to find an alternative approach to dust removal by incorporating surfactant and high range AE water reducer in the water being sprayed. Through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surfactant did not contribute to the removal of demolition dust. However, the use of high range AE water reducer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spraying plain water, indicating that some amount of demolition dust had been adsorbed on the high range AE water reducer.

건축물 해체공사 안전 모니터링을 위한 3차원 자동변위계측 시스템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Applying 3D Automatic Displacement Measurement System for Safety Monitoring of Building Demolition Works)

  • 박한빈;한혜림;김태훈;조규만;조창근;김형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29-230
    • /
    • 2022
  • According to the national building status, there are a total of 2.89 million buildings that are over 30 years old after completion, and the number is increasing by more than 70,000 to 80,000 buildings every year. As a result, the demand for demolition works is also increasing, and more than 3 to 4 collapse accidents occur steadily every year during demolition work. Major causes of accidents include non-compliance with plans, negligence of on-site supervisors, and failure to secure structural safety. Du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Severe Disaster Punishment Act,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demand for secure management of collapse detection during demolition work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real-time safety monitoring systems using a total station capable of 3D automatic displacement measurement in building demolition work for securing structural safety by the load changes during the demolition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