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ographic factor

검색결과 1,235건 처리시간 0.022초

외식업 종사자의 훈련동기요인, 교육만족도,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Training Motivation Factors, Employees' Training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 정현우;최은경;김학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65-175
    • /
    • 2012
  • 직원교육은 직원들의 직무 수행도를 높여 줄 뿐만 아니라, 직원 스스로 자기개발을 하도록 도와주며 기업에서는 장기적인 수익을 위한 투자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직원교육을 받은 직원들의 훈련동기요인은 무엇이며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교육만족도는 직무만족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업 종사자들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훈련동기요인을 규명하며 교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미 동남부 지역 15개의 레스토랑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92개의 유효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훈련동기요인으로는 두 개의 'Intrinsic Motivation' 과 'Extrinsic Motivation'으로 추출되었으며, 이 두 개의 요인 모두 훈련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며, 특히 Extrinsic Motivation이 교육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이어 실시한 단순회귀분석 결과, 직원들의 교육만족도는 직무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원교육에 있어서 다양한 측면의 훈련 동기를 고려하고 직원 교육에 대한 만족이 직원들의 직무 만족에도 영향을 끼침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PDF

지역사회 만성정신질환자의 알코올 사용 관련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Alcohol Use of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 강문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585-593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만성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알코올 사용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정신질환자를 위해 효과적인 알코올 사용 예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D와 C 지역에 위치한 2개 정신병원의 외래환자 및 4개 정신건강증진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만성 정신질환자 176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7월 9일에서 27일까지 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t-test, $x^2$-test,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신질환자의 알코올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흡연, 발병연령, 재활단계, 타인지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질환자의 재활단계, 발병연령과 같은 임상적 특성을 고려하여 음주와 흡연을 효율적으로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참여동기와 효과를 유지하기 위한 타인 지지 전략을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인터넷 쇼핑몰 유형별 패션 소비자의 불확실성, 후회경험 및 부정적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The Uncertainty, Regret Experience, and Negative Behavior Intention of Fashion Consum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 이은진;정욱환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63-776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certainty, regret experience, and negative behavior intention of fashion consum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The data was obtained from internet fashion consumers, and 394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the uncertainty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was composed of two factors; information uncertainty and preference uncertainty. The regret experience was composed of function or service regret, suitability regret, and product regret. Also, the negative behavior intention was composed of purchase switching intention and purchase deferral intention. The information uncertainty of fashion consumers positively affected the negative behavior intention in all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e.g., open market, integrated shopping mall, and fashion specialized shopping mall). In open market, the preference uncertainty negatively affected the purchase switching intention; however, the preference uncertainty positively affected the purchase deferral intention. In open market and fashion specialized shopping mall, the product regret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positively affected the negative behavior intention. In addition,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uncertainty, regret experience, and negative behavior intention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the marketing strategies considering fashion consumer's negative emotion and behavi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ternet shopping malls.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 성미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17-330
    • /
    • 2001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ontrol, perceiv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270 students of a single university in Busa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as a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promoting lifestyle (47 items), control(8 items), perceived health status(6 items), self-efficacy(17 items), and social support(18 items). Data analysis was done by use of mean,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a SPSS 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less than 2.43.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2.94) and the lowest degree was health responsibility(1.93). 2) Students who were older and higher scores in health responsibility and interpersonal support subscale. Students who had higher grade had higher scores in health support subscal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disease had higher scores in health responsibility subscal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exercise had higher scores in health responsibility, exercise and nutrition subscale. 3)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trol and self-efficac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4) Significant correlations was found between most of the subscales and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5) Social support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ll subscal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Control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self actualization and health responsibility. Perceived health statu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only with the exercise and nutrition subscale. Self-efficacy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ll subscal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except exercise and nutrition, stress management subscale. 6)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nursing students(31%). Social support, excercise self-efficacy and control accounted for 35%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 PDF

학생생활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고객만족관점을 중심으로 - (Factors Affecting Campus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 Focusing on Customer Satisfaction View -)

  • 이덕로;이성석
    • 산학경영연구
    • /
    • 제15권
    • /
    • pp.1-24
    • /
    • 2002
  • 최근 대학을 둘러싼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국내의 많은 대학들은 교육방침을 일반기업과 마찬가지로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고객지향은 고객만족의 핵심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고객으로서의 학생의 생활만족에 초점을 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만족의 관점에서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대학의 학생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방식에 의한 실증연구를 한 결과 대학생활 만족도의 주요 구성요인에는 학생관련서비스, 복지시설서비스, 교육서비스, 학사행정서비스, 학과서비스 등이 있으며, 학생생활만족의 영향요인에는 기대감, 자긍심, 학업실력, 특별활동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들 중 대학에 대한 자긍심이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에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지방의료원의 선택요인분석을 통한 복합적인 의료서비스 전략 구축 (Through a selection factor analysis of the local healthcare institutions Building complex medical services strategy)

  • 이진우;안상윤;이종형;이무식;김광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297-307
    • /
    • 2015
  • 본 연구는 접근성과 의료서비스 품질, 대외적 이미지를 높임으로써 향후 지방의료원이 지역 내 대표의료기관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영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604명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ANOVA, 공분산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결론을 보면, 의료기관 선택요인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나 선호도가 인구통계학적 특성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는 앞으로 지방의료원이 의료서비스 전문화 전략을 수립할 때 주요 고객집단의 욕구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지방의료원이 진료비 수준에 대한 치료효과와 타 의료기관에 비해 저렴한 진료비가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중요요인으로 이에 따른 이미지 부각과 의료서비스의 질의 향상을 극대화하여 의료소비자들을 유인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노인의 중대 구강병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Influencing on Serious Dental Disease of Korea Elderly)

  • 원영순;박아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267-275
    • /
    • 2018
  • 본 연구는 노인의 중대 구강병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 저해요인 관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6기 3차년도(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중대 구강병으로,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행태, 구강건강상태 및 행태로 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아우식증 영향요인은 소득(p<.01), 건강검진 수진여부(p<.05), 최근 1년간 치통 경험 여부(p<.05), 구강위생용품 사용여부(p<.01)로 나타났다. 치주질환 영향요인은 연령(p<.05), 직업(p<.05), 동반질환 여부(p<.0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어 노인기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머신러닝 기반 중노년층의 기능성 위장장애 예측 모델 구현 (Prediction model of peptic ulcer diseases in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based on machine learning)

  • 이범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89-294
    • /
    • 2020
  • 기능성 위장장애는 Helicobacter pylori 감염 및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사용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소화기 계통 질환이다. 그동안 기능성 위장장애의 위험요인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졌으나, 한국인에 대한 기능성 위장장애 예측 모델 제시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및 노년층을 대상으로 인구학적정보, 비만정보, 혈액정보, 영양성분 정보를 바탕으로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기능성위장장애 예측 모델을 구현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모델생성을 위해 wrapper-based variable selection 메소드와 naive Bayes 알고리즘이 사용되었다. 여성 예측 모델의 분류 정확도는 0.712의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AUC) 값을 나타냈고, 남성에서는 여성보다 낮은 0.674의 AUC값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중년 및 노년층의 위장장애 질환의 예측과 예방에 활용될 수 있다.

일 광역시 방사선사의 직무만족도와 관련요인 (Job Satisfaction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Radiological Technologists)

  • 문일봉;최남길;손석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2호
    • /
    • pp.165-176
    • /
    • 2006
  • 직무만족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근무지와 직위이었으며, 근무지에 따른 직무만족요인 문항별 만족도에서 내적요인의 적성, 능력발휘, 직무수행능력, 책임감, 장래성과 외적요인의 신뢰감, 협동심, 존경심, 월급여, 생활정도와 조직적 요인의 승진시기, 승진기회, 승진원칙에 따라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방사선사의 직무만족을 위해서는 근무지와 직위에 따른 근무환경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유방암 환자의 성격특성, 희망 및 삶의 질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Hope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 조계화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4
    • /
    • 200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ope and quality of life(QOL) of breast cancer pati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113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at 3 university hospitals in Daegu and Busan from June 1 to Sep. 30, 2003.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as measured by using Personality Inventory(NEO-PI), hope measured by using Nowotny's Hope Scale, and QOL by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o(1988).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by frequency, rang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findings of this survey indicate 1) The mea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tem score was 2.64, hope was 2.78, and QOL was 3.19. It appeared that there was a slightly negative tendency abou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ope and QOL of breast cancer patient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ope and QOL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hope(r=.49), hope and QOL(r=.377). Among subitem of hope and QOL especially confident, possibility of future, active participation, inner motivation and self estee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specially extroversion,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4)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euroticism and relation with neighbor(r=-.452), neuroticism and relation with family(r=-.344). It was found tha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ope and QOL were essential concept for qualitive care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toward relation with neighbor and relation with fami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would be further study to find out the importance and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ope and QOL of breast cancer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