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and-Supply Model

검색결과 801건 처리시간 0.031초

제주지역 호텔이용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Hotel Occupancy Rate in Jeju Island)

  • 류강민;송기욱
    • 토지주택연구
    • /
    • 제9권4호
    • /
    • pp.10-18
    • /
    • 2018
  • As the volatility increasement of the number of tourist, there was been controversy over supply-demand imbalance in hotel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n determinants of hotel occupancy rate in Jeju Island. The quantitative method is based on cointegrating regression, using an empirical dataset with hotel from 2000 to 2017. The primary results of research is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high relationship between total hotel occupancy rate and hotel occupancy of foreign tourist. The volatility of hotel occupancy is caused by foreigner user than local tourists though local tourist high propotion of hotel occupancy in Jeju Island. Second, hotel occupancy of local tourist has not relationship with demand and supply variables. Because some hotel users are not local tourists but local resident, and effects to other variables of hotel consumer trend, accommodation such as Guest house, Airbnb. Third, there are high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hotel occupancy rate and demand-supply variables. These research imply that total management of supply-demand is very important to seek stability of hotel occupancy rate in Jeju Island. Also it can provide a useful solution regarding mismatch problem between supply-demand as well as development the systematic forecasting model for hotel market participants.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한 성남시 토지이용수요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Land Use Demand in Seongnam-city Using System Dynamics)

  • 이미숙;신동빈;김창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1-273
    • /
    • 2022
  • 본 연구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여 성남시의 토지이용수요를 예측하고 가족구조 변화와 토지이용밀도 조정정책이 토지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모의실험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분석모형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토지이용수요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2035년 기준으로 주거용지는 2.08km2, 상업용지는 1.36km2의 추가 공급이 필요하고, 공업용지는 현재 공급면적으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본 모형에서 변수값을 변경하여 세가지 정책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정책실험에서는 가구원수가 기본 모형에 비해 급격히 감소할 경우에는 주거용지가 최대 7.99km2 추가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정책실험에서는 아파트 용적율이 200%에서 300%로 상향하면 현재의 성남시 주거지역 공급면적으로 주거용지 수요 충족이 가능하였다. 세 번째 정책실험에서는 상업지역 평균층수를 4층에서 5층 상향하고 상업지역 건폐율을 80%에서 85%로 상향하더라도 상업용지의 수요가 성남시 상업지역 공급면적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토지이용수요 예측의 새로운 분석모형을 제시하고, 성남시의 실제 도시계획 현황 및 통계치를 적용하여 모형을 실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성남시 토지이용수요 예측 및 분석 모형의 정교화를 위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tudy of Peak Load Demand Estimation Methodology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ith Macro-economic Indices and Power Generation Considering Power Supply Interruption

  • Song, Jiyoung;Lee, Jaegul;Kim, Taekyun;Yoon, Yongbeum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1427-1434
    • /
    • 2017
  • Since the late 2000s, there has been growing preparation in South Korea for a sudden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Particularly in the power industry field, thorough prepa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power infrastructure after reunification are necessary. The first step is to estimate the peak load demand.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peak demand estimation methodology by integrating existing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between economic indicators and power generation quantities with a power supply interruption model in consideration of power consumption patterns. Through this, the potential peak demand and actual peak demand of the Nation, which experiences power supply interruption can be estimated. For case studies on North Korea after reunification, the potential peak demand in 2015 was estimated at 5,189 MW, while the actual peak demand within the same year was recorded as 2,461 MW. The estimated potential peak demand can be utilized as an important factor when planning the construction of power system facilities in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전력수급계획 수립시 수요예측이 전원혼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mand Forecast on the Energy Mix in the National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Planning)

  • 강경욱;고봉진;정범진
    • 에너지공학
    • /
    • 제18권2호
    • /
    • pp.114-124
    • /
    • 2009
  • 지식경제부(MKE)는 매2년마다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시 전력수요를 과대 또는 과소로 예측한 것이 차기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시 전원혼합(Energy Mix)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전력수요 자료는 2005년도에 예측한 제3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망치를 이용하였고 전원혼합을 도출하기 위하여 전력거래소(KPX)에서 활용하고 있는 WASP 전산모형을 단순화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구축하였다. 2005년도 전력수요를 적정, 5% 과대 그리고 5% 과소 예측한 경우에 대하여 각각 단순화한 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하여 2005년도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원혼합을 도출하였다. 이 3가지 전원혼합을 초기조건으로 하여 2005년도의 적정 전력수요가 2007년 이후에 적용된다고 보고 2007년도에 차기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전원혼합을 도출하였다. 전력수요가 적정일 경우, 2005년도와 2007년도 전력수급 기본계획의 전력수요는 동일하므로 전원혼합에 변화가 없다. 전력수요를 5% 과대 또는 5% 과소 예측한 경우, 계획된 발전소 건설을 차기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시 줄이거나 늘려야 하는데 건설기간이 짧은 LNG 발전소가 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간호사의 수급 현황과 건강보험 급여화 방안 (Demand-supply of Advanced Practice Nurse (APN) and Alternative Benefit Strategi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 김진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7권1호
    • /
    • pp.23-35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mand and supply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suggest alternative benefit strategies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Methods: A revised demand & supply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excess supply of APNs, and policy making process and key actors in the Korean health insurance were considered to develop a political approach to the APN issue. Results: The social demand for APNs is currently estimated to be less than 50% of its supply and the APN education program fell into difficulties in recruits. No reimbursement mechanism for APN's servic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has given no economic incentive to hospital managers who have monopsony power in nursing labor market, which has caused the demand shortage of APNs in hospital industry. Payment for APN's service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strategies to booster the social demand for APN's service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line with this, key actors in health insurance policy decision-making include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labor unions, NGOs, civic groups, medical associations, and academia. Conclusion: The basic researches for APN's activities and cost-effectiveness analysis in clinical settings are required to support the strategies aforementioned. Constructing a policy network among key actors is able to make the payment strategy feasible, which will increase the socal demand for APNs.

  • PDF

소비자의 행동 패턴을 고려한 수요반응의 상태 천이 모델 (State Transition Model of Demand Response Considering Behavior Patterns of Customer)

  • 곽형근;이나은;김진오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2권8호
    • /
    • pp.1074-1079
    • /
    • 2013
  • Demand response(DR) is potential generation alternative to improve the reliability indices of system and load points. However, when demand resources scheduled in DR market fail to reduce demand, it can create new problems associated with maintaining a reliable supply. In this paper, a reliability model of demand resource is constructed considering customers' behaviors in the same form as conventional generation units, where availability and unavailability are associated with the simple two-state model. As a result, the generalized reliability model of demand resources is represented by multi-state model.

목제품 수급분석 및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ly-demand analysis and outlook for wood products)

  • 이상민;박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959-6968
    • /
    • 2015
  • 이 연구는 기존의 목제품 수급모형(FOSMO2013)을 갱신하고, 제품별로 중장기적인 수요와 공급을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제품 시장 수급모형은 주요 제품인 제재목, 합판, 파티클보드, 섬유판, 펄프 등으로 한정하였다. 각각의 제품에 대해 공급함수, 수입수요함수, 수요함수 등을 최신 자료를 이용하여 갱신하였다. 외생변수 가운데 하나인 세계 목재 및 목제품에 대한 가격 전망치는 Buongiorno 등(2012)의 연구결과를 적용하였다. Buongiorno의 연구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시나리오 3개(A1B, A2, B2)와 연료목재 수요에 대한 가정을 변경한 시나리오(A1B_LF)를 추가하여 전망결과를 발표하였는데, 본 연구의 전망치도 이와 같은 시나리오를 반영하여 2050년까지 총 4개의 시나리오에 따른 결과를 전망하였다. 전망 결과 국내 목재 및 목제품에 대한 장기 전망치는 시나리오와 제품별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생산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사회인구통계 및 상수도시설 특성을 고려한 소블록 단위 물 수요예측 연구 (Water demand forecasting at the DMA level considering sociodemographic and waterworks characteristics)

  • 진샘물;최두용;김경필;구자용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63-373
    • /
    • 2023
  • Numerous studies have established a correlation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ater usage, identifying population as a primary independent variable in mid- to long-term demand forecasting. Recent dramatic sociodemographic changes, including urban concentration-rural depopulation, low birth rates-aging population, and the ri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re expected to impact water demand and supply patterns. This underscores the necessity for operational and managerial changes in existing water supply systems. Whi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re regularly surveyed, the conducted surveys use aggregate units that do not align with the actual system. Consequently, many water demand forecasts have been conducted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without adequately considering the water supply system. This study presents an upward water demand forecasting model that accurately reflects real water facilities and consumers. The model comprises three key steps. Firstly, Statistics Korea's SGIS (Statistical Geological Information System) data was reorganized at the DMA level. Secondly, DMAs were classified using the SOM (Self-Organizing Map) algorithm to consider differences in water facilities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Lastly, water demand forecasting employed the PCR (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method to address multicollinearity and overfitting issu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is model was conducted for DMAs classified as rural areas due to the insufficient number of DMAs.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exceeded 0.9, and the MAPE remained within approximately 10% for the test dataset.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reorganization plans, such a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existing facilities.

SCM 모델을 이용한 SW인력양성 모형개발 연구 (A Study on Model Development for SW Human Resources Development using Supply Chain Management Model)

  • 이중만;엄기용;송찬후;김관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2-46
    • /
    • 2007
  • 본 논문은 SW인력수급의 질적, 양적 불일치를 해소하고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인력양성을 위해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 모델에 대한 개념을 SW인력정책에 적용하였다. 대학을 공급자로 기업을 수요자로 인식하고, 대학과 기업간의 산학협업을 통해 수요지향적 SW인력 양성 시스템을 구축하는 최적의 공급망 관리로 새롭게 접근하였다. 산업체 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SW분야 산학연관 전문가로 구성된 인력양성정책협의회를 통해 인력수요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대학 내 수요 지향적 교과목개발 및 교과과정개편에 반영하여 전공역량이 강화되는 공학인증으로 유도하였다. 또한 산학협력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취업으로 이루어져 산업체가 필요한 인력을 배출하는 수급매칭 프로세스인 인력양성 SCM모델의 가치사슬(Value Chain)을 제시하였다.

  • PDF

GWR모델 이용한 수원시 일반버스노선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uwon City Bus Route using GWR Model)

  • 박철규;조성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6
    • /
    • 2014
  • 버스노선은 수요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노선조정이 가능하다. 다만 버스의 노선 조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의 해결이 선행되어져야한다. 첫 번째, 현재 버스 노선 배정의 가장 큰 문제점은 버스의 이용현황을 적절히 고려하지 못한 점, 중복노선 문제 등 수요에 대비한 공급의 불균형을 들 수 있다. 두 번째, 버스이용은 지리적 공간 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있어서 동단위로 교통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교통 수요가 세분화 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방안으로 GIS-T Data 및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통한 버스 정류장, 버스 노선의 버스 잠재 수요를 파악하고 공급 현황을 분석하여 버스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여부를 파악함으로써 효율적 버스 노선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GWR모델을 이용하여 공간적 수요관계를 도출하였다. 공간효과를 고려한 GWR모델을 통해 SCD와 BIS data 이용한 버스 수요를 예측하고 공급과 비교하여 공급 부족을 파악하였다. 전체노선의 노선 과잉지과 부족지역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서 추가 노선배정이 필요한 곳을 분석하여 버스 최적화를 도모와 GIS의 장점인 시각화를 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