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and estimation

검색결과 824건 처리시간 0.028초

우리나라 항만경쟁력 확보를 위한 적정 도선사 수요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er Harbor Pilot Demand Estimation for ensuring Port Competitiveness in Korea)

  • 김태균;전영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64-570
    • /
    • 2020
  • 이 연구는 국가 물류서비스의 향상과 항만경쟁력 확보를 위해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적정한 도선사 수요의 예측과 도선사 공급 유지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첫째, 우리나라 도선사 수요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의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도선사 수를 추정한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도선사 수요예측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둘째, 도선 서비스 안전보장을 위한 최대 적정도선 시간 등을 포함한 제시된 개선방안을 적용하여, 향후 2027년까지 도선구역별 적정 도선사 수요를 예측한 후 보다 안정적인 도선사 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적용한 결과 2027년에 필요한 총 도선사수는 270명으로 2018년 우리나라 총 도선사수 251명 대비 7.5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BASS 확산 모형을 이용한 국내 자동차 외장 램프 LED 수요예측 분석 (Domestic Automotive Exterior Lamp-LEDs Demand and Forecasting using BASS Diffusion Model)

  • 이재흔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49-371
    • /
    • 2022
  • Purpose: Compared to the rapid growth rate of the domestic automotive LED industry so far, the predictive analysis method for demand forecasting or market outlook was insufficient. Accordingly, product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hrough the life trend of LEDs for automotive exterior lamps and the relative strengths of p and q using the Bass model. Also, future demands are predicted. Methods: We used sales data of a leading company in domestic market of automotive LEDs. Considering the autocorrelation error term of this data, parameters m, p, and q were estimated through the modified estimation method of OLS and the NLS(Nonlinear Least Squares) method, and the optimal method was selected by comparing prediction error performance such as RMSE. Future annual demands and cumulative demands were predicted through the growth curve obtained from Bass-NLS model. In addition, various nonlinear growth curve models were applied to the data to compare the Bass-NLS model with potential market demand, and an optimal model was derived. Results: From the analysis, the parameter estimation results by Bass-NLS obtained m=1338.13, p=0.0026, q=0.3003. If the current trend continues, domestic automotive LED market is predicted to reach its maximum peak in 2021 and the maximum demand is $102.23M. Potential market demand was $1338.13M. In the nonlinear growth curve model analysis, the Gompertz model was selected as the optimal model, and the potential market size was $2864.018M.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Bass-NLS method will be applied to LED sales data for automotiv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ve strength of q/p of products and to be used to predict current demand and future cumulative demand.

부산광역시 제2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을 위한 수요예측연구 - 시계열분석과 Huff모형을 중심으로 - (The Demand Estimation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econd Convention Center in Busan : With the emphasis on time series analysis and Huff model)

  • 오창호;하승범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3호
    • /
    • pp.185-202
    • /
    • 2017
  • 본 연구는 세계 MICE개최 10위 도시인 부산광역시의 부족한 전시장 면적 확충을 통해 MICE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제2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의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부산광역시의 전시면적은 세계 순위 100위권 밖으로 조사되었으며, MICE산업의 세계적인 추세로 MICE개최 10위 도시들은 도시의 전시컨벤션센터를 꾸준히 확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전시장 가동률이 60%이상일 때 전시장은 면적을 추가로 확충해야 되기 때문에 부산시의 2016년 전시장 가동률이 51%인 점을 감안해볼 때 중장기적으로 전시면적 확충을 준비해야할 시기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모형과 Huff모형을 이용하여 수요를 추정해보았는데, 첫째로 시계열모형을 이용한 수요예측결과로는 부산광역시는 2021년도부터 $1,771m^2$의 전시면적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년 뒤인 2024년도에는 $10,061m^2$가 필요해 심각한 상황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전시면적의 과부족현상으로 G-star 등 굵직굵직한 대형전시회나 이벤트들을 부산으로 유치하는 데는 분명히 어려운 점이 발생할 것이며 또한 세계 10위의 MICE개최도시로서의 위상을 유지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둘째로, Huff 모형을 이용하여 제2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이후 발생할 수 있는 시장의 규모와 수요를 예측해보았다. 결과로는 김해, 울산, 양산, 거제 순으로 부산의 제2전시컨벤션센터를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부산광역시 전시컨벤션센터 건립의 논리적 타당성을 정량적으로 확보하고 기본건립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신규 전시컨벤션센터의 기본운영계획과 활성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한다.

  • PDF

약용작물의 바이오소재 수요 분석 (Biomaterials Demand of Medicinal Crops)

  • 안병일;김용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91-307
    • /
    • 2023
  • Medicinal crop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input among agricultural products for biomaterials. The actual situation of how medicinal crops are used as inputs in the downstream industry is analyzed, and the input demand function of medicinal crops is quantitatively estimated. The proportions of intermediate demand and final demand in the total production of medicinal crops were 52.1% and 47.9% in 1995, but changed to 74% and 26% in 2019, with the proportion of intermediate demand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increased by 3 times. Estimation results of the demand function for medicinal crops in the medicine industry show, a 1%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medicine is found to increase the demand for medicinal crops by 0.3369%. If the produc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crease by 1%, the demand for medicinal crops is expected to increase by 0.6221%. It is also found that a 1% increase in the amount of cosmetic production would increase in the demand for medicinal crops by 0.3932%. This indicates that market expansion in downstream industrie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gricultural products for biomaterials.

교통조사를 통한 도로통행비용함수 구축 및 검증 (Parameter Estimation & Validation of Volume-delay Function based on Traffic Survey Data)

  • 김주영;추상호;강민구;허헌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24
    • /
    • 2010
  • 통행비용함수(VDF)는 교통량 수준에 따른 링크 통행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 교통수요 예측의 신뢰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고속도로의 VDF는 1997년 한국도로공사에 의해 구축 제공된 바 있으나, 기타 도로는 미국 공로국(BPR)에서 제시한 기본 값을 그대로 국내에 적용함에 따라 교통수요 예측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VDF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검토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교통조사자료에 근거한 VDF를 구축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위계의 재분류, 교통조사방법, VDF 추정 방법론, 그리고 새로운 VDF의 검증을 통한 개선사항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새로운 VDF를 전국 지역간 O/D 및 교통분석용 네트워크에 적용한 결과, 적정 오차율 범위 내에 해당하는 링크의 비율이 증가하며, 기종점간 통행시간 및 통행경로 선택이 현실적으로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단속류 구간의 VDF 구축, 도로용량 및 자유통행속도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우리나라의 목재수요(木材需要)에 관한 연구(硏究) - 장기수요전망(長期需要展望)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mand for Timber in South Korea - with an Emphasis on the Long-term Forecasts -)

  • 윤여창;김의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2호
    • /
    • pp.124-138
    • /
    • 1992
  • 본 논문은 한국(韓國)의 장기목재수요함수(長期木材需要函數)를 추정(推定)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21년간의 시계열자료(時系列資料)가 분석자료로서 이용되었으며, 수요전망은 2030년까지의 예측치를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침엽수와 활엽수를 구분하여 용도별로 수요함수를 추정하였으며, 더미변수(變數)의 확정방법(確定方法)에 관하여도 자세한 검토가 이루어졌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분석결과(分析結果)를 살펴보면 현재 활엽수에 대한 침엽수의 대체효과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인 바, 주로 건축 토목 등에 소요되는 일반 용재를 중심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을 불문하고 대부분의 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갱목용재의 경우는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별 용도별 목재수요함수(木材需要函數)에 대한 파라메타 추정결과(推定結果)를 보면 GDP에 대한 수요탄력성이 다른 설명변수의 탄력성보다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인구 및 대체재의 영향은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돼지고기 부위별 수요함수 추정 - 수도권 소비자를 중심으로 - (The Estimation of the Demand Function of Pork Cuts)

  • 남국현;최영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1호
    • /
    • pp.27-37
    • /
    • 2016
  • This paper estimated the demand function of the cuts of pork by using the consumer panel and the weather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th a log-log model and AIDS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price elasticity of demand for cuts of pork is high in the sequence of arm shoulder, leg, special cuts, tenderloin, blade shoulder. In contrast, spare rib, belly and loin are classified as low price elasticity of demand. The income elasticities of demand for leg and blade shoulder are 11% and 7.6% respectively. The loin is classified as inferior goods, because demand decreases when income increase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show that the demand increases highly in the sequence of loin, arm shoulder, spare rib, belly if housewife is older, and the demand of belly increases when family number increases. Belly substitutes every cut except spare rib, and tenderloin substitutes special cuts. Spare rib, on the other hand, does not substitute other cuts. In addition, job status, family member, husband job, purchasing place, consumer characteristic, eating-out times, purchasing time, and weather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이앙시기 및 담수심 변화에 따른 논벼 수요량 변화 분석 (Analysis of Variance of Paddy Water Demand Depending on Rice Transplanting Period and Ponding Depth)

  • 조건호;최경숙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3호
    • /
    • pp.75-85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variations in the paddy rice water demand based on the continuous changing in rice transplanting period and ponding depth at the four study paddy fields, which represent typical rice producing regions in Korea. Total 7 scenarios on rice transplanting periods were applied while minimum ponding depth of 0 and 20 mm we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maximum ponding depth ranging from 40 mm to 100 mm with 20 mm interval. The weather data from 2013 to 2019 was also conside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st rice water demand occurred at high temperature and low rainfall region. Increased rice transplanting periods showed higher rice water demand. The rice water demand for 51 transplanting days closely matched with the actual irrigation water supply. In case of ponding dep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nimum ponding depth ha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rice water demand, while maximum ponding depth showed the contrary results. Minimum ponding depth had a greater impact on rice water demand than the maximum ponding depth.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reasing the rice transplanting period, which reflects the current practice is desirable for a reliable estimation of rice water demand.

북한 황해남도지역 농업용수 수요량의 추정(관개배수 \circled2) (Estimation of Agricultural Water Demand in Hwanghae South Province, North Korea)

  • 장민원;정하우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75-180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an algorithm for estimating agricultural water demand of remote sites using remote sensing data and to apply it to Hwanghae South Province and estimate the present and potential water demand for agriculture use. 3 Landsat-5 TM images and DEM(100${\times}$100mm) were used for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land cover and land suitability analysis for paddy fields. Also, 20 years meteorological data of North Korea were used for calculating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by Blaney-Criddle eq. and net water dem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t and potential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the developable area for paddy fields is about 89,300㏊.

  • PDF

Development of the Lumber Demand Prediction Model

  • Kim, Dong-Ju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601-604
    • /
    • 2006
  • This study compared the accuracy of partial multivariate and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for lumber demand prediction in Korea. The partial multivariate model has three explanatory variables; own price, construction permit area and dummy. The dummy variable reflected the boom of lumber demand in 1988, and the abrupt decrease in 1998. The VAR model consists of two endogenous variables, lumber demand and construction permit area with one lag. On the other hand, the prediction accuracy was estimated by Root Mean Squared Err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stimation by partial multivariate and vector autoregressive model showed similar explanatory power, and the prediction accuracy was similar in the case of using partial multivariate and vector autoregressiv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