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tamethrin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배추좀나방의 Fenvalerate에 대한 저항성 발달과 교차저항성 (Development of Fenvalerate Resistance in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a Linne (Lepidoptera : Yponomeutidae) and its Cross Resistance)

  • 김길하;서영식;이준호;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4-200
    • /
    • 1990
  • Pyrethroid계 살충제 fenvalerate를 공시하여 실내 감수성계통 배추좀나방(Plu tella xylostella L.)을 인위적으로 누대도태한 후 저항성 발달속도와 정도를 조사하고, 이 저항성계통의 타 살충제에 대한 교차저항성 유무와 정도를 검토하였다. 저항성 발달속도는 fenvalerate 24세대 도태계통에서 도태전에 비하여 66.2배 증가하였다. Fenvalerate 도태계통은 pyrethroid계 살충제인 deltamethrin에 145배의 고도의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alphamethrin, cypermethrin, fenvalerate, permethrin, tetramethrin에 17.4 -45.0배의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유기인계 diazinon, dichlorvos, ethoprophos, EPN과 카바메이트계 BPMC, carbaryl, methorny I에서는 2.1-4.3배의 낮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유기인계의 acephate, fenitrothion과 카바메트계 carbofuran에 대해서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살수장치(撒水裝置)를 이용(利用)한 송이산 관리(管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Use of Sprinkler System for Production Forest Management of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 정상배;김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1호통권158호
    • /
    • pp.21-25
    • /
    • 2005
  • 송이발생임지내의 지면에 살수장치를 고정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솔잎혹파리의 우화기간 동안에는 성충활동 최성 시각에 저농도의 약제(deltamethrin 1% EC, 2000배액)를 매일 1회씩 살포, 성충을 살충시킴으로써 솔잎혹파리 피해를 효과적 으로 방제하는 한편, 방제후에는 주기적으로 관수를 실시하여 송이의 증수 및 품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강원도 양양군에서 2000년도부터 2년 간 실시하였다. 솔잎혹파리의 평균우화시기는 5월 하순-7월 상순까지 약 40일간, 50% 우화일은 6월6일, 우화최성기는 6월상중순이며 이 기간의 우화율은 전체의 80%이상이었다. 지면약제살포구의 충영형성율은 3.5%로 대조구의 51.3 %에 비하여 92.3%의 높은 방제효과(수간주사: 82.6%)가 있었다. 송이 발생시기는 9윌 중순부터 10월 상순까지 약 35일간이며 발생최성기는 9월 하순- 10월 상순까지 약 15일간으로 이 기간의 평균발생율은 총 발생량의 80% 범위였다. 지면약제살포 후 2개월(8월-10월 )간 주기적(주당 30mm)으로 관수실시지역은 74.3%(중랑비 110%)의 송이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품등도 우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살수장치를 이용한 송이산 관리지역의 ha당 송이생산 가격은 8,670천원으로서, 시설 및 관리에 소요된 비용(4,360천원)을 제한 순수익 4,310천원은 대조구에 비하여 당년에 약 5%의 경제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시설의 사용기간(5년 이상)을 감안하면 경제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주요 모기에 대한 가열연막의 방제효과 (Evaluations of Thermal Fog for Domestic Mosquito Vector Control)

  • 정수율;민영환;정선호;강기석;정효빈;이동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267-274
    • /
    • 2022
  • 국내 감염병 매개 모기인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s.l.), 빨간집모기(Culex pipens), 작은빨간집모기(Cx. tritaeniorhynchus)를 대상으로 살충제 deltamethrin, etofenprox, bifenthrin를 석유, 등유, 그리고 물로 희석하여 휴대용 가열연막과 차량용 가열연막의 방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야외에서 일정한 거리에 암컷모기가 들어있는 노출장을 매단 스탠드를 세우고 실시하였다. 세 종류의 살충제를 각각 경유에 희석하여 살포한 휴대용 가열연막은 10 m 이내의 모기에 대해 평균 52.0%의 치사율을 보였고, 살충제를 물로 희석하여 사용한 휴대용 가열연막의 모기 치사율은 평균 64.0%였다. 살충제를 경유로 희석한 차량용 가열연막은 모기에 대해 살포 거리 50 m 이내에서 평균 34.8%의 치사율을 보였다. 가열연막용 살충제의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유와 등유의 모기 치사효과는 등유가 경유에 비해 1.9배 높게 나타났다.

Fate of Some Pesticides during Brining and Cooking of Chinese Cabbage and Spinach

  • Kang, Se-Mi;Lee, Mi-G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77-81
    • /
    • 2005
  • Chinese cabbage and spinach applied with eight pesticides at two different rates were subjected to brining, heat-cooking, and blanching to determine residue or transfer ratios of those pesticides. Residue ratio in discarded inedible portion varied significantly, 0-94%, depending on pesticides applied, vegetable type, and cooking processes. Average reduction ratios of residues during cooking process were 78, 46, 23, 12, 10, 9, 8, and 2% in dichlorvos, diazinon, chlorpyrifos, endosulfan, EPN, cypermethrin, deltamethrin, and fenvalerate, respectively.

대전시 유통 과실류의 농약 잔류 실태 및 위해성 평가 (Pesticide Residue Survey and Risk Assessment of Fruits in Daejeon)

  • 한국탁;박혜진;이규승;김일중;김규섭;조성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9-285
    • /
    • 2002
  • 대전시 노은 도매 시장에서 채취한 과실류와 6종의 농약잔류량을 조사한 후 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 120건의 분석시료 중 70.8%가 농약 성분이 검출되었고 그중 1.67%가 잔류허용기준치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검출 비율이 높은 시료는 사과 복숭아, 포도 등이었다. 검출된 성분에서 살충제는 유기인계, 합성 pyrethroid계, 유기염소계가 비슷한 비율로 검출되었고, 살균제에서는 특히 procymidone(dicarboximide계)과 chlorothalonil(유기염소계)의 검출비율이 높았다. 검출빈도가 높은 성분은 chlorothalonil, chlorpyrifos, fenvalerate, pocymidone, deltamethrin EPN의 순이었다.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 농작물에 대한 농약의 추정섭취량과 ADI를 비교한 결과 추정섭취량의 비율이 1.221% 이하로 나타나 그 영향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것은 농약 잔류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농작물인 복숭아에서 chlorothalonil, EPN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Imidacloprid에 대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 발달 및 교차저항성 (Resistance development and cross-resistance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Homoptera : Aphididae), to imidacloprid)

  • 최병렬;이시우;유재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4-270
    • /
    • 2002
  • Imidacloprid에 대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 관리기술을 개발하고자 저항성모니터링, 인위도태에 의한 저항성 발달양상과 교차저항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고령지 배추 재배지 5개 채집지역 중 홍천(화촌)과 횡성(둔내)에서 채집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약제저항성비는 각각 37.2배, 16.5배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Imidacloprid 수화제에 대한 복숭아혹진딧물의 저항성 발달 양상은 20회도태 까지는 저항성이 서서히 발달하다가 25세대 이후 급속하게 발달하였다. Imidacloprid 저항성계통 복숭아혹진딧물은 유기인계(4종), 카바메이트계(3종), 혼합제 농약(4종)에 대해 교차저항성 정도는 낮았으나(교차저항성비 10이하), 카바메이트계 중 pirimicarb (487.8배)와 그리고 합성피레스로이드계인 deltamethrin(14.9), flucythrinate(12.9), halothrin(15.9)는 교차저항성비가 10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의 교차저항성을 보였다. Imidaclopid와 같은 neonicotinoid인 acetamiprid(143.0배)에 대해서는 교차저항성이 매우 높았다.

단감원의 최근 농약 사용실태 (Current State of Pesticide Application in Sweet Persimmon Orchards in Korea)

  • 이동운;이상명;최병렬;박정규;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5-89
    • /
    • 2003
  • 단감원에서의 농약 사용 실태를 2000년(62농가)과 2001년(17농가)에 단감 주산지인 진주, 사천, 창원, 창녕, 김해 등지에서 단감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설문과 방제력 수집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단감원의 년 평균 농약 살포 횟수는 2000년에 7.6회, 2001년에 7.7회였으며, 약제를 살포하는 농가의 비율은 일년 중에서 6월과 7월에 가장 높았다. 살포한 살균, 살충제의 종류는 2000년에는 각각 36종과 34종이었으며 2001년에는 각각 22종과 23종이었다. 최종 약제 살포시기는 9월 중순이 가장 많았다. 단감원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살균제로는 2000년에는 mancozeb과 thiophanata-methyl, benomyl순이었으며, 2001년에는 lime sulfur와 benomyl, carbendazim순이었다. 살충제는 두 해 모두 deltamethrin, methidathion, fenitrothion순이었다. 사용한 약제가 단감이나 감에 고시되어있는 비율은 품목수 기준으로 50% 내외 이었다.

밤바구미 방제를 위한 살충제의 탐색 (Selection of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Chestnut Curculio (Curculio sikkimensis))

  • 김영재;한종빈;서동규;김연태;박병규;최광식;김철수;신상철;이상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47-352
    • /
    • 2004
  • 시판되고 있는 39종의 살충제 중 밤바구미 성충(Curculio sikkimensis)에 대한 우수 살충제를 탐색하고, 선발된 약제로 야외포장에서 잔효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검정에서 39종의 살충제 중 100%의 살충율을 나타낸 약제는 chlorpyrifos, fenitrothion, phenthoate, benfuracarb, thiodicarb, carbosulfan, bifenthrin, cypermethrin, $\lambda$-cyhalothrin, deltamethrin, clothianidin, acetamiprid+bifenthrin, etofenprox+diazinon, esfenvalerate+fenitrothion, furathiocarb+diflubenzuron, fipronil 등 16종이었다. 잔효성 시험에서는 phenthoate, benfuracarb, thiodicarb가 1일째까지는 80% 이상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로는 급속히 떨어졌다. 그 외 약제들도 잔효성은 낮았다. 야외포장 방제효과 시험에서는 phenthoate, thiodicarb, fipronil, acetamiprid+bifenthrin, furathiocarb+diflubenzuron이 1일째부터 90% 이상의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국내시판 살충제에 대한 미국선녀벌레의 감수성 (Susceptibility commercially of North American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안기수;이관석;이경희;송명규;임상철;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9-334
    • /
    • 2011
  •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의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31종 살충제의 성충에 대한 살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ppm)로 수행하였다. 성충에 대해 직접 분무 처리한 결과, 100%의 살충 효과를 보인 약제는 유기인계 5종(dichlorvos,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 1종(methomyl), 합성피레스로이드계 4종(${\alpha}$-cypemethrin, deltamethrin, fenpropathrin, ${\gamma}$-cyhalothrin), 네오니코티노이드계 5종(acetamiprid, clothianidin, dinotefuran, imidacloprid, thiamethoxan), 그리고 기타 약제 1종(endosulfan) 등 총 16종이었다. 분무처리에서 100%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를 대상으로 기주식물을 침지 처리하고 성충을 접종한 결과, 100%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는 유기인계 5종(dichlorvos,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과 endosulfan 등 6종이였다. 잔효성 시험에서 유기인계인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은 처리 후 1일째까지 100%의 살충률 나타내었고, 약제처리 3일 후에 90% 이상의 약제는 fenitrothion, methidathion, phenthoate이었다.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 (Residue of Organophosphoru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Fresh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

  • 김정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7-34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경북의 풍기와 상주에 있는 인삼재배포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이를 이용한 홍삼농축액제품을 제조하였다. 수삼과 홍삼농축액 중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을 GC-NPD와 GC-ECD로 각각 정량분석 하였으며 GC-MSD로 정성분석을 실시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청이 2007년 1월1일부터 시행한 농약잔류허용기준에 따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풍기 수삼에서 유기인계 농약은diazinon을 비롯한pyrimethanil, tolclofos-methyl, metalaxyl, diethofencarb, parathion, cyprodinil, tolylfluanid와 kresoxim-methyl이 모두 불검출 되었다. 그러나 상주 수삼에서는 tolclofos- methyl이 평균 $0.054{\pm}0.008\;mg/kg$ 검출되어 수삼의 농약잔류허용기준 0.3mg/kg의 $18{\pm}2%$ 수준이었다. 풍기와 상주 수삼에서 유기염소계 농약은 BHC, DDT의 이성질체와 aldrin, azoxystrobin, captan, cypermethrin, deltamethrin, dieldrin, difenoconazole, endosulfan-sulfate, endrin, fenhexamid, quintozene,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도 검출 되지 않았다. 한편 풍기와 영주의 인삼으로 제조한 홍삼농축액 중에도 유기인계와 유기염소계 농약은 모두 검출 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