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ivery Apps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모바일 기반 고위험 산모 대상 모유수유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on Breastfeed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High risk Mothers)

  • 이주연;김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357-364
    • /
    • 2018
  • 본 연구는 고위험 산모의 모유수유 증진을 위하여 모바일 앱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모바일 앱의 개발과정은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를 참고하여 분석, 설계, 구현,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교육내용은 제왕절개 분만 산모, 미숙아와 쌍둥이 분만 산모를 위한 교육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문가와 사용자의 평가결과, 교육용 모바일 앱으로써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앱을 통한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어 고위험 산모들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과 지속적인 실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임산부들을 위한 다양한 앱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유수유 앱을 직접 대상자들에게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직접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배달 애플리케이션 품질이 애플리케이션 신뢰, 라이더 신뢰 그리고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플랫폼 물류에서의 신뢰 이전을 중심으로 (Effect of Delivery Application Quality on Application Trust, Delivery Rider Trust, and Intention to Use: Focused on Trust Transfer in Online Platform Logistics)

  • 서원태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2권4호
    • /
    • pp.41-54
    • /
    • 2021
  • Purpose: Delivery food orders are on the rise due to the COVID 19 pandemic. Many customers are ordering food through delivery apps rather than visiting restaurants to eat out. Delivery application platforms are grow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O2O. Most of the people who provide gig worker for delivery applications are rider. Rider provides labor on their own terms and have more work flexibility and autonomy than ordinary workers. Trust can be transferred from a well-known entity to an unknown entity.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of using the delivery application, trust can be seen through the third-party trust of the delivery application platform-rider-custome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delivery application trust and rider trust through the well-known characteristics of delivery applic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Korean consumers over 20 years of age who have ordered food through a delivery application for the past month. After educating 5 investigators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60 copies of the survey were conducted per person.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from September 2 to September 26, 2021, 322 copies were collected over 25 day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37 were excluded from insincere or partially unanswered, and 285 were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convenience, price, and variety of restaurant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app trust, but desig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pp trust. Also, it was found that conven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rust in rider, but design, price, and variety of restaura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App trus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ider trust and intention to use, and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ider trust and intention to use. Conclusions: First, this study established a structural framework between delivery application characteristics-delivery-app trust-rider trust-intention to use. Secon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ustomer trust in well-known delivery applications was transferred to less-known rider trust. Third, the delivery application should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Fourth, delivery application should set the delivery fee appropriately. Fifth, delivery application must continuously train the rider.

Key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Order Online Food Delivery (OFD)

  • SAN, Sing Su;DASTANE, Omkar
    • 산경연구논집
    • /
    • 제12권2호
    • /
    • pp.19-2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key factors such as service quality, perceived benefit and brand familiarity on a consumer's intention to order online food delivery (OFD). In addition, mediating effect of electronic word of mouth (e-WOM) between relationships among selected key variables and OFD purchase intention is also assess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explanatory, quantitative study employed convenience sampling and collected data through online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304 respondents who are users of OFD apps based in greater Klang valley region of Malaysia. The data was then subjected to normality and reliability assessment follow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validity assessmen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using IBM SPSS AMOS 24.0. Results: Findings revealed that service quality, perceived benefits and brand familiarity affects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Perceived benefits demonstrated highes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followed by brand familiarity and service quality. Findings also suggest that e-WOM fully mediates relationship between brand familiarity and purchase intention, however, the same was not observed for remaining two variables. Conclusions: The study has enriched OFD literature by investigating impact of selected key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context of OFD.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venues are then discussed.

카노 모형을 활용한 O2O 배달 앱 서비스 품질 요인 분석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Factors of O2O Delivery Applications Using Kano Model)

  • 이영찬;서동혁;송시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27-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카노 모형과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O2O 배달 앱의 서비스 품질 요인을 분석하고, 서비스 품질을 몇 가지 차원별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일원적 품질요소로는 정확한 정보전달, 다양한 종류의 음식점, 지불방식의 다양성, 메뉴선택의 다양성, 불편사항 해결, 서비스의 친절도, 음식의 맛과 질, 위생과 청결, 간편 결제 시스템 등이었고, 매력적 품질요소로는 최신 정보 업데이트, 신뢰성 있는 이용후기, 다양한 주문방법, 신속한 배달, 브랜드 이미지, 할인 포인트 결제 및 적립 등이었다. 당연적 품질요소는 나오지 않았지만, 불편사항 해결이 당연적 품질요소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무관심 품질요소로는 정보알림 서비스와 이벤트 및 판촉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O2O 배달 앱 서비스 업체들이 어떤 서비스 품질요소에 집중해야 하는지 전략을 수립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스마트 시니어의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 만족도 기반 이용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usage decision factor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smart seniors using smartphone delivery applications)

  • 최부헌;문수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9-209
    • /
    • 2021
  • 본 연구는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 애플리케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배달앱 특성과 스마트 시니어의 개인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배달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50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달앱 특성 중 유용성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스마트 시니어의 개인적 특성 중 사회적 공감성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달앱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과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 시니어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회적 공감성에 초점을 둔 배달앱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세계 푸드테크 산업의 동향과 전망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Global Food-tech Industry)

  • 장우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47-254
    • /
    • 2020
  • 4차혁명에 따른 사회 문화 경제적 변화는 푸드테크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한국의 푸드테크산업은 아직까지 배달앱에 집중되어 있고 스마트팜, 인공지능을 비롯한 로봇시장은 발전 초기단계이다. 미국은 대체육업체가 이미 유니콘 기업에 다수 포함되어 있는 반면 소고기 수입 4위국인 한국은 대체육 개발이 미흡하다. 프랑스는 유럽 최대의 농업 국가답게 어그테크 중심으로 푸드테크가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은 세계 제일의 인구수를 앞세워 거대화 된 온라인 전자 상거래 시장을 토대로 배달앱 중심의 푸드테크가 발달했다. 한국도 과거산업에 초점이 맞춰진 규제를 신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변경하고 정계와 재계의 투자 및 연구에 집중하여 다양한 푸드테크 산업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COVID-19로 인한 대학생의 건강행태 및 식생활 변화 (Changes in the Health Behaviors and Eating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 김지현;정유선;정해옥;계승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65-277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alterations in the health behaviors and eating habits due to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70 university students from September 22, 2021 to October 26, 2021. While the frequency of eating at home had in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ompared to before the pandemic, there was a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eating out, drinking, and eating vegetables. However, the frequency of eating delivery, takeout, and convenience foods and the utilization of online shopping and delivery apps had considerably increased. In addition, when selecting menus, considerations of health, hygiene, and convenience were more importa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a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Physical activity more than 3 days a week had decreased, whereas sedentary time showed a proportionate increase.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to be worsening was determined to have increa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prepare for the era of infectious diseases, future research needs to identify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problems by administering surveys that include a large sample size and participants of various ages. Moreover, health promotion and nutrition management plans should be prepared accordingly.

핸드메이드 마켓 앱의 사용자 경험 연구 -Etsy와 idus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Handmade Market Applications -Focused on Etsy and Idus-)

  • 안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389-395
    • /
    • 2021
  • 본 연구는 핸드메이드 대표 서비스인 Etsy와 idus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50대 11명을 대상으로 피터 모빌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기초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제시 제임스 가렛의 사용자 경험 요소 프레임워크의 5단계에 따라 사용자 경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이들 앱들의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범용적으로 통용되는 비주얼 인터페이스 적용, 가독성을 위한 간략한 텍스트 제공, 정보 구조에서 유사한 기능의 반복 지양, 문화와 국가를 고려한 디자인 패턴 적용을 제안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핸드메이드 플랫폼의 쇼핑 경험이 어떠한지 분석함으로써 글로벌 플랫폼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암호화를 적용한 위치 공유 앱 개발 (Development of Location Sharing App with Encryption)

  • 김도은;이재문;황기태;정인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27-32
    • /
    • 2023
  • 인터넷상에서 친구 위치 찾기 또는 배달 상황 공유 등 앱에서 위치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위치 정보는 개인의 중요한 정보이고, 경우에 따라 범죄 등 악용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앱을 개발할 때는 위치 정보에 대한 암호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친구 찾기, 모임 장소 정하기 등의 목적으로 친구들 사이의 위치 정보를 암호화하여 공유하는 앱을 개발하는 것이다. 암호화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비대칭 키를 이용하여 대칭 키를 암호화하여 전송하였고, 위치 공유를 위해서는 오직 대칭 키만 이용하여 암호화하였다. 제안한 앱은 iOS 상에서 개발되었으며, 성능 측정결과 위치 정보 암호화에 대하여 비대칭 키를 사용하는 것보다 대칭 키를 사용하는 경우 최소 5000배 이상 빨랐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각된 위험 및 리뷰 진단성이 배달앱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Review Diagnosticity on the Acceptance of Food Delivery Application)

  • 노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581-592
    • /
    • 2019
  • 본 연구는 배달앱의 수용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요인의 탐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가능한 선행 요인으로 리뷰의 진단성 및 기술적 규범, 위험의 다차원적 지각 정도를 살펴보고 있는 본 연구는 실제 배달앱 비즈니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주요 광역도시 거주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시행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의 결과는 배달앱에 게재되어 있는 리뷰의 진단성 및 기술적 규범의 수준에 대한 인식이 향상될수록, 그리고 배달앱 사용에 수반되리라 예상되는 다차원적 위험 지각이 완화될수록 보다 우호적인 방향으로 태도가 형성되게 됨을 확인시켜 주었다. 아울러 이러한 태도가 실제 배달앱 수용의 의사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은 지각된 위험의 수준이 악화될수록 보다 완화되게 됨을 확인시켜 주었다. 이러한 일련의 실증결과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부상하고 있는 O2O 서비스 플랫폼의 수용 및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적 제도적 지침의 마련에 기여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최근 부상 중인 여러 신생 O2O 서비스 업체들의 시장 안착에 요구되는 전략적 고려 사항에 대한 인식 환기와 더불어 보다 신속한 사용자 저변의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동인들을 발견해 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