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lacial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베링해 중부 대륙사면 지역의 지난 65,000년 동안 탄산염 함량 변화와 Dansgaard-Oeschger 사건들 (Variation of Calcium Carbonate Content and Dansgaard-Oeschger Events in the Continental Slope of the Central Bering Sea during the Last 65 Kyr)

  • 김성한;김부근;;신혜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215-224
    • /
    • 2008
  • A piston core (MR06-04 PC23A) collected from the northern continental slope in the central Bering Sea has recorded the high-resolution millennial-scale variation of calcium carbonate ($CaCO3$) content during the last 65 kyr. An estimation of the age of the core sediment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lithologic correlation of the deglacial laminated layers with a neighboring core (HLY02023JPC), complementing the last appearance datum of both Lychnocanoma nipponica sakaii (54 kyr) and Amphimelissa setosa (85 kyr). The probable age of core MR06-04 PC23A was approximately younger than 65 kyr. Two distinct events of a significant increase of $CaCO3$ in the deglacial laminated sediments clearly correspond to MWP1A and MWP1B in the Bering Sea (Gorbarenko et al. 2005) and to T1ANP and T1BNP in the North Pacific (Gorbarenko 1996). These pronounced peaks of $CaCO3$ contents result from the elevated carbonate production in the surface water and the subsequent weakened dilution due to terrestrial input, along with an enhanced oxygen minimum zone. The $CaCO3$ contents are low (${\sim}2%$)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mainly because of a low carbonate production caused by an expanded sea-ice cover and an increased dilution by terrigenous particles due to their closer distance to the continent during the sea-level low stand. The occurrence of seven distinct $CaCO3$ peaks in core MR06-04 PC23A is remarkable during MIS 3 and MIS 4, and they most likely correlate to the short-term millennial Dansgaard-Oeschger events.

Local Seismic Activity around the Lützow-Holm Bay, East Antarctica

  • Kaminuma, Katsutada;Kanao, Masaki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523-529
    • /
    • 2004
  • The seismic monitoring at Syowa Station$(69^{\circ}S,\;39^{\circ}E: SYO)$, located on the continental margin of the Eastern Dronning Maud Land, East Antarctica, began in 1959. Phase readings of the earthquakes have been reported since 1967 and have been annually published as part of the Data Report Serie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Polar Research since 1968. An observation of a tripartite seismic network was carried out at SYO for a period of three years from 1987 to 1990. Epicenters of local earthquakes were determined for the first time by using the array network for the three-year period. Many different types of earthquakes, such as the mainshock-aftershock type, twin earthquake, earthquake swarms, etc., were detected during the period. After this, local events around SYO have been detected empirically from their waveforms recorded on seismograms. The seismic activity for the period of 1987-1990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ollowing decade. Earthquake epicenters, occurring during that period, were highly localized along the coast and in the central part of the $L\"{u}tzow-Holm$ Bay (LHB). Nine local earthquakes, recorded during the period of 1990-1996, showed many different types of events. The seismicity for the period of 1990-1996 was very low and the magnitudes ranged from 0.1 to 1.4. The locations of some event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single station method for SYO, i.e., using the particle motions of the initial phase and S-P time. Two local events were detected in 1998 and one event in 2001. It would be estimated that the stress concentration was related to the glacial rebound around the LHB. Afterwards, we will be able to eventu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ismicity around Antarctica and deglacial phenomena such as crustal uplift, and sea level change within the earth environmental system.

Diversity and Ecological Importance of Foliicolous Lichens in Korea

  • Oh, Soon-Ok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49-49
    • /
    • 2014
  • South Korea is covered primarily by temperate vegetation; therefore, foliicolous lichens may not b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ts lichen flora. Indeed, more than 100 years after the first lichen record from South Korea reported by Hue, the paper "Pyrenocarpous lichens in Korea" published by Moon and Aptroot, reported on the presence of two foliicolous lichens, Strigula nemathora Mont, and S. smaragdula Fr.,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No detailed reports on foliicolous lichens have since been published in South Korea. In Japan, the neighboring country, approximately 83 foliicolous lichen species are distributed at the southernmost part under temperate to subtropical climatic conditions. However, a large number of foliicolous lichens, with many recent records, have been reported in neighboring countries like China and Taiwan. According to Thor et al., studies on foliicolous lichen flora of Asia are comparatively poor compared to those reported from America. There are six lichenogeographical regions: the Neotropics, Valdivia, Tethyan, African Paleotropics, eastern Paleotropics, and Neozelandic-Tasmanian, which are demarcated based on the known worldwide distribution pattern of foliicolous lichen flora. South Korea belongs to the eastern paleotropic region, where a higher number of local endemic foliicolous lichens have been reported. So far, there are a total of six known foliicolous lichen taxa from South Korea; S. concreta, S. macrocarpa, S. melanobapha, S. nemathora, S. smaragdula, and S. subelegans from Jeju Island. So far, the genus Strigula is the only known representative of the foliicolous lichen flora in South Korea. Among the recorded species, S. concreta, S. smaragdula, and S. subelegans are abundant and widespread. Japan, the closest area to Jeju Island, has the same distribution pattern of foliicolous lichens, with S. smaragdula, S. melanobapha, and S. subtilissima. Pollen studies conducted by Chung reported that changes in vegetation on Jeju Island, due mainly to deglacial warming and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change, resulted from sea-level rises. In general, all of the foliicolous lichens observed so far were restricted to the southernmost part of South Korea, particularly Jeju Island. Island might be influenced by its geographical setting. One reason could be the close dispersal distances of spores and vegetative propagules from areas such as the southern part of Japan and eastern part of China, where more foliicolous lichens can be found. Thor et al. also showed that the southern part of Japan harbors more foliicolous lichens than the northern part. Considering that China is close to Jeju Island, many foliicolous lichens, including S. concreta, S. macrocarpa, S. nemanthora, and S. smaragdula, have been reported from Yunnan province, the southernmost part of China. Geographically, this province is far away from Jeju Island. In other provinces, such as Shandong, Jiangsu, Shanghai, and Zhejiang, which are closer to Jeju Island, no foliicolous lichens have been recorded so far. Therefore, the chance of spores and propagules coming from such closer areas is questionable. Thus, the location of origin of ancestors of foliicolous lichens of South Korea and the time and means of their invasion of this island is controverisial. The current study would lead the way to finding answers to the above mentioned questions.

  • PDF

마지막 빙하기 동안 베링해 알류샨 분지 북부 지역의 점토광물 조성 변화 (Changes of Clay Mineral Assemblage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Aleutian Basin in the Bering Sea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 김성한;조현구;김부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29
    • /
    • 2011
  • 베링해 알류샨 분지의 북부 사면지역에서 채취된 피스톤 코아 PC25A의 퇴적물에서 점토광물의 반정량적 함량 분석을 통해 지난 마지막 빙하기 동안 퇴적물의 기원지와 운송 경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코아 PC25A의 연대는 방산충 L. nipponica sakaii의 마지막 출현 시기($48.6{\pm}2\; ka$)와 인근 지역에서 채취한 연대가 잘 정립된 코아 PC23A의 퇴적물 색도($a^{\ast},\; b^{\ast}$) 및 퇴적 엽리층의 대비를 통해 설정되었다. 코아 PC25A의 최하단부가 약 57,600년 전으로 계산되었고, 코아 상부는 손실된 것으로 판단된다. 지난 마지막 빙하기 동안 스멕타이트, 일라이트, 캐올리나이트, 녹니석의 평균 함량은 각각 11% (5~24%), 47% (36~58%), 13% (9~19%), 29% (21~40%)이다. 코아 PC25A의 인근 지역에서 채취한 코아 MC24에서 분석된 홀로세의 점토광물 함량에 비하여 마지막 빙하기동안에 특징적으로 일라이트 함량이 증가하였고 스멕타이트 함량은 감소하였다. 따뜻한 기후의 홀로세 전기(Early Holocene) 동안 일라이트 함량이 높은 점토 퇴적물이 알라스카 대륙의 북부 지역(Province 1)으로부터 유입되는 융빙수에 의해 운반된 것으로 판단된다. MIS 2의 후빙기(B${\phi}$lling-All${\phi}$rod)동안에도 융빙수에 의해 점토광물이 운반되었으나, 일라이트 함량이 홀로 세 전기에 비해 낮기 때문에 북쪽의 Province 1보다는 남쪽에 위치한 Province 2와 Province 3에서 점토입자들이 기원된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 최대 빙하기(Last Glacial Maximum)동안 나타나는 높은 스멕타이트 함량은 베링해 남동쪽 알라스카 반도 인근 지역(Province 4)에서 공급되는 점토 퇴적물의 양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MIS 3 초기에서 중기로 가면서 일라이트와 스멕타이트 함량이 감소하고, 녹니석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MIS 3 동안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Province 2와 Province 3에서 점토 퇴적물의 공급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베링해 알류산 분지의 북부 사면지역에서 채취된 코아 PC25A에서 분석된 점토광물 조성의 변화는 마지막 빙하기동안 해수면의 하강으로 인하여 점토광물의 이동과 관련된 베링해의 표층 해류 순환이 현재와는 다른 양상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서울 석관동 유적의 미고결 퇴적층의 지구화학적 특성 및 제4기 지표환경변화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Quaternary Environmental Change of Unconsolidated Sediments from the Seokgwan-dong Paleolithic Site in Seoul, Korea)

  • 이효민;이진영;김주용;홍세선;박준범
    • 암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3-388
    • /
    • 2016
  • 과거 인간활동과 유적형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과거 환경변화 정보를 수집하고 구체화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환경변화 정보는 유적지에 형성된 퇴적물을 대상으로 연대측정과 지화학 분석을 통해서 추적할 수 있다. 석관동 구석기 유적지 퇴적층은 약 5 미터의 미고결 퇴적층으로 크게 하부 기반암 풍화층, 그 위의 사면퇴적층 그리고 상부 하천퇴적층의 3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이 가운데 상부 하천퇴적층을 대상으로 입도분석, 대자율 분석, 유기지화학, 광물조성분석, 주성분 원소분석, 방사성탄소연대측정 등을 실시하였다. 시료를 채취한 퇴적층 구간은 4개의 퇴적단위로 구분되며, 3개의 유기물 함량이 높은 퇴적층들이 포함되어 있다. 입도분석 결과 퇴적물 입자의 평균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분급이 매우 불량하게 나타나며, 여러구간에서 상향 세립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대자율 측정결과 3개의 유기물층에서 값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특징은 환경변화에 따른 광물의 조성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주성분 원소와 광물조성은 기반암인 쥐라기 흑운모 화강암을 구성하는 주요광물과 유사하였으며, 기반암의 석영, K-장석, 운모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방사성 탄소연대측정결과 최하부 유기물층은 $14,240{\pm}80yr$ BP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 퇴적층이 최후빙하기 이후의 점차 온난해지는 시기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상부의 퇴적층은 플라이스토세 후기부터 홀로세에 이르는 기간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연구지역인 석관동 유적은 계곡을 형성하는 하천활동과 사면퇴적 작용에 의해 퇴적물이 쌓이고, 자연제방과 같은 환경 또는 소규모 소택지 형태의 환경이 3 차례에 걸쳐 교대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남극 로스해 펜넬-이젤린 퇴 동쪽 대륙사면의 코어 RS14-GC2의 점토광물의 기원지 연구 (Origin of Clay Minerals of Core RS14-GC2 in the Continental Slope to the East of the Pennell-Iselin Bank in the Ross Sea, Antarctica)

  • 하상범;김부근;조현구;에스터 콜리자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2
    • /
    • 2018
  • 남극 로스해 펜넬-이젤린 퇴의 동쪽 대륙사면에 위치한 정점 RS14-C2에서 2014년 PNRA XXIX 탐사(Rosslope II Project)동안 중력코어(RS14-GC2)를 획득하였다. 퇴적물의 기원지 추정을 위하여 대자율, 모래 입자 함량, 점토광물 조성을 분석하고 AMS $^{14}C$ 연대를 측정하였다. 퇴적물은 주로 빙운쇄설물을 포함한 반원양성 사질 점토 또는 실트질 점토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의 최상부 연대는 현생 퇴적물과 홀로세 퇴적물을 지시한다. 방사성 탄소동위원소 연대와 퇴적물의 색, 대자율 및 모래 입자 함량을 이용하여 코어 퇴적물을 간빙기와 빙하기 퇴적물로 구분하였다. 간빙기의 갈색퇴적물은 대자율과 모래 입자 함량이 낮은 반면에 빙하기의 회색퇴적물은 대자율과 모래 입자 함량이 높다. 코어 퇴적물의 점토광물 조성은 전체적으로 일라이트(61.8~76.7%)가 가장 우세하며, 녹니석(15.7%~21.3%), 카올리나이트(3.6%~15.4%), 그리고 스멕타이트(0.9~5.1%)의 순서로 나타나고, 간빙기와 빙하기/후빙기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빙하기 동안 일라이트와 녹니석 함량이 우세한 것은 퇴적물의 기원지가 주로 로스해 빙상 하부에 위치한 남극종단산맥의 기반암을 지시하기 때문이다. 반면 빙상 후퇴에 의한 일라이트와 녹니석의 공급이 감소되어 간빙기 동안 상대적으로 스멕타이트 함량이 약간 증가하며 카올리나이트 함량은 많이 증가한다. 더불어 간빙기 동안 로스해 서안의 빅토리아랜드 연안의 맥머도 화산군에서 북동쪽으로 흐르는 해류에 의해 스멕타이트가 추가로 공급되며, 카올리나이트는 카올리나이트의 함량이 풍부한 퇴적암이 분포하는 에드워드 7세 반도에서 공급되고 대륙사면류에 의해 대륙사면으로 운반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벨링스하우젠 해의 동쪽 대륙붕과 대륙대의 코어의 점토광물을 이용한 기원지 연구 (Sediment Provenance using Clay Mineral in the Continental Shelf and Rise of the Eastern Bellingshausen Sea, Antarctica)

  • 박영규;정재우;이기환;이민경;김성한;유규철;이재일;김진욱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3-184
    • /
    • 2019
  • 남극 벨링스하우젠 해(Bellingshausen Sea)의 동쪽 대륙붕과 대륙대에 위치한 중력코어(BS17-GC15, BS17-GC04)를 2017년 ANA07D 탐사 동안 획득하였다. 두 코어를 이용하여 벨링스하우젠 해의 해양 퇴적물 내 빙기-간빙기에 따른 점토광물의 분포와 성인을 조사하였다. 두 코어에 대해 퇴적상의 특성을 기술하고, 입도 분석,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여 점토광물의 조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퇴적학적 특성에 따라 BS17-GC15 코어는 세 개의 퇴적상들로 구분되며 이들은 마지막 빙하기, 전이퇴적상, 간빙기 시기의 퇴적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BS17-GC04 코어는 하부에 빙하기저부 기원의 저탁류의 조합으로 퇴적되는 저탁류 퇴적층과 니질층이 관찰되고,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실트질 엽층이 나타나며 상부에서는 생물교란 흔적이 포함된 반원양성 니질층이 나타난다. 퇴적상이 변함에 따라 점토광물의 함량비도 다르게 나타난다. BS17-GC15 코어는 시기에 따라 일라이트가 평균 28.4~44.5 %로 가장 큰 변화를 보이고, 스멕타이트는 빙하기 때 평균 31.1 %에서 20 %로 감소하였다가 간빙기때 25.1 %로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녹니석과 카올리나이트의 합은 빙하기 때 평균 40.5 %에서 간빙기 때 30.4 %로 감소하였다. 빙하기 동안 퇴적물이 남극 반도로부터 유입되기 때문에 높은 일라이트와 녹니석 함량을 보인다. 반면, 대륙대에 위치한 BS17-GC04 코어는 빙하기 때 스멕타이트의 함량이 평균 47.2 %에서 상부로 갈수록 평균 20.6 %까지 감소하고 일라이트는 하부에서 평균 21.3 %에서 43.2 %로 증가한다. 빙하기 동안의 높은 스멕타이트 함량은 근처의 스멕타이트가 풍부한 퇴적물인 피터 1세 섬에서 퇴적물이 남극순환류에 의해 운반되었을 것으로 예상되고, 그 이후 간빙기에는 상대적으로 서쪽으로 흐르는 등수심 해류의 영향으로 동쪽의 벨링스하우젠 해의 대륙붕 퇴적물로부터 일라이트와 클로라이트가 풍부한 퇴적물이 운반되었을 것이라 예상된다.

북극 척치해 아라온 마운드 퇴적물의 기원지에 관한 연구 (Provenance of the Sediments of the Araon Mound in the Chukchi Sea, Arctic Ocean)

  • 장정규;구효진;조현구
    • 광물과 암석
    • /
    • 제34권1호
    • /
    • pp.15-29
    • /
    • 2021
  • 북극해는 기후 변화에 따라 북극의 해빙과 빙상의 분포가 달라지며 쇄설성 퇴적물 내 광물의 특성이 변화한다. 따라서 해빙이나 빙산에 의해 운송된 해양 퇴적물을 연구하는 것은 지구 기후 변화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척치해저고원의 아라온 마운드에서 채취한 4개의 중력코어와 아라온 마운드 사이 사면에서 채취한 1개의 중력코어를 사용하여, 벌크광물조성, 점토광물조성, 빙운쇄설물 연구를 통해 쇄설성 퇴적물의 기원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서북극해의 고환경 변화를 재구성하였다. 코어 퇴적물들은 갈색, 회색, 녹회색을 띠며 서북극해에서 나타나는 간빙기/빙기 순환에 따른 퇴적물 색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척치해저고원에서 획득한 코어 퇴적물을 광물 특성과 주변에서 수행된 기존 연구와 비교하여 총 3개의 유닛으로 구분하였다. 최후빙기극대기에 퇴적된 유닛 3 퇴적물은 동시베리아해로 유입되는 콜리마 강과 인디기르카 강 퇴적물들이 동시베리아해 대륙붕에 퇴적된 후, 해빙이나 해류에 의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퇴빙기에 해당하는 유닛 2 퇴적물은 동시베리아해로 유입되는 콜리마 강, 인디기르카 강, 보퍼트해로 유입되는 맥켄지강과 캐나다 군도로부터 함께 공급된 것으로 보이며, 로렌타이드 빙상의 융해에 의하여 다량의 빙운쇄설물들이 유입되었다. 간빙기 퇴적물인 유닛 1의 경우, 세립질 퇴적물들은 캐나다 북부와 동시베리아해로부터 해빙과 해류에 의해 공급되었으며, 조립질 퇴적물들은 캐나다 군도로부터 해빙에 의해 유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베링해 중부 지역의 마지막 빙하기 이후 고생산성의 고해상 변화 (High-Resolution Paleoproductivity Change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Bering Sea Since the Last Glaciation)

  • 김성한;김부근;신혜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3호
    • /
    • pp.134-144
    • /
    • 2009
  • 베링해 중부 지역에서 획득된 피스톤 코아 PC23A의 퇴적물에서 오팔과 총유기탄소의 함량을 측정하고 집적률을 계산하여 마지막 빙하기 이후의 고생산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코아 PC23A의 연대는 부유성 유공충의 AMS $^{14}C$ 탄소연대와 방산충 L. nipponica sakaii의 마지막 출현 기준에 의해서 결정되어있으며, 코아 최하단부가 약 61,000년 전으로 계산되었고, 코아 상부는 일부 손실된 것으로 판단된다. 오팔과 총유기탄소 함량은 마지막 빙하기 동안 각각 1-10%, 0.2-1.0%의 범위에서 변동하였으며, 각각 5%와 0.7%의 평균값을 보였다. 반면, 후빙기 동안에 오팔과 총유기탄소 함량은 5-22%, 0.8-1.2%의 범위에서 변동하였으며, 평균값은 각각 8%와 1.0%로 증가된 값을 보여주었다. 마찬가지로 오팔과 총유기탄소의 집적률도 마지막 빙하기($1gcm^{-2}kyr^{-1}$, $0.2gcm^{-2}kyr^{-1}$)동안 보다 후빙기 동안(>$5gcm^{-2}kyr^{-1}$, >$1gcm^{-2}kyr^{-1}$)에 증가하였다. 후빙기 동안 증가된 생산성은 온난한 기후에서 해빙의 발달이 미비하고 높아진 해수면 조건에서 주변 육상으로부터 융빙수의 유입 증가와 남쪽으로부터 알라스카 해류 유입의 증가에 의하여 영양염 공급이 충분한 환경에서 규조류가 번성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마지막 빙하기 동안에는 낮아진 해수면으로 인하여 알라스카 해류의 유입이 감소하여 영양염의 공급이 제한되고, 낮은 수온과 추운 기후로 인해 광범위하게 발달한 해빙에 의해서 생산성이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