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nse technology security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31초

군수품 표준화 체계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Korea Defense Standardization)

  • 유형곤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59-468
    • /
    • 2015
  • Although defense standardization is recently becoming more and more active, there are still many obstacles to achieve attainments as planned. On the other hand, national standardization already has been applied as a mandatory rule in the overall industries and R&D programs and is well supported by systematic and specialized national basis. Furthermore,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England and NATO, are considering defense standardization as a essential element to achieve low cost and highly efficient acquisition system and to enhance interoperability among the allied forces. This study aims to form public opinion in support of importance of defense standardization and to provide the vision and various implementation tasks for improving defense standardization outcome.

U-Healthcare서비스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법 (A Method of Defense and Security Threats in U-Healthcare Service)

  • 이근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1-5
    • /
    • 2012
  • 최근 IT기술의 발전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U-Healthcare분야의 기술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U-Healthcare 기술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보안의 위협요소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공격 기반의 DOS/DDOS공격에 대한 위협을 알아보고, 기존 Detecting Early DOS/DDOS attacks through Packet Counting을 수정하여 U-Healthcare서비스 상황에 맞는 대응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나라 국방 재난관리 체계의 제도적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Defense Field)

  • 김민호;서상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05-111
    • /
    • 2017
  • The number of natural disasters has risen dramatically such as earthquakes, typhoons and floods. However, the scope of disasters expand in today's society due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defense field in order to reduce possible loss or damage from a huge disaster. Through two case studies fro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is research aims to support policy making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defense field.

안티드론 시스템의 국방아키텍쳐 프레임워크 적용 연구 (MND-AF application study for anti-drone system)

  • 이동준;권형안;김지태;정길현;양상운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7권2호
    • /
    • pp.23-36
    • /
    • 2021
  • Recently, the rapid development of drones is increasing as a variety of threats to important facilities of the country. In order to build an anti-drone system that responds to drones with high technical characteristics, standardization is required in terms of operation, system, and technology. By applying the defense architecture framework, i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optimal system by proposing a standardization plan for the operational and system perspectives of the anti-drone system by creating outputs equivalent to the stage of prior research on weapons systems. It is a prerequisite for building a drone system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anti-drone system, the definition of the drone threat,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the interface, the definition of data flow, the system performance and effect scale, etc. Management, security officers, and equipment manufacturers of important national and public facilities on site expect that it will be used as an objective standard at the government level for the component technology of the equipment to respond to the drone threat and the performance required in the environment.

사이버 국방을 위한 스마트 단말 보안기술 (Smart Device Security Technology for Cyber Defense)

  • 손익재;김일호;양종휴;이남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986-992
    • /
    • 2012
  •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단말의 활용이 급증하면서 군에서도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전투를 지휘하고 전장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다. 이에 따라 미래전은 각종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모바일 단말이군의 지휘통제체계를 포함한 각종 무기체계에 접목되면서 전쟁양상의 일대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존재하며, 합동 전투지휘를 위한 스마트폰 기반의 실시간 정보기술은 감시정찰, 지휘통제체계에 융합되어 국방-IT 융합에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이동망과 무선망 환경에 최적화된 모바일 단말 보안기술은 무인화체계인 국방로봇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전투지휘체계를 지원하거나 군사용으로 쓰이는 스마트 단말 동향을 살펴보고 보안 위협요소와 함께 이들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군사용 모바일 단말 보안기술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의 방산수출 확대 전략 연구 - 한·폴란드 방산수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s defense export expansion strategy - Focusing on Korea-Poland Defense Export Case -)

  • 김금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41-151
    • /
    • 2023
  • 1990년대 냉전의 종식 이후, 평화의 시대가 지속되면서 유럽국가들은 방위비 삭감과 군비축소를 단행했으며 그 결과 서방의 방위산업 기반은 점차 약화되었다. 반면 세계 유일의 분단국인 한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직면하여 지속적인 군비 강화를 추진하면서 방위산업의 고도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재래식 무기체계에 대한 소요가 급증하고 세계 방산시장의 구조변동이 가시화하는 가운데 2022년 폴란드와의 대규모 방산수출 계약이 성사되면서 한국산 무기체계는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2023년 K-방산은 세계 무기수출 9위를 기록했으며, 한국은 2027년까지 세계 4위의 방산수출국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폴란드 방산수출 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국가 전략산업인 K-방산의 수출 활성화 관련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방위산업이 한국의 미래 먹거리가 되기 위해서는 방산전담기구 구축, 방위산업 기술보호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책 마련, 방산수출과 연계한 우방국들과의 군사 및 안보협력 확대 전략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보안성을 강화한 정보연계 프레임워크 및 아키텍처 설계에 관한 연구 - 국방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ing of Information Integration Framework and Architecture with Enhanced Security Focused on defense field)

  • 강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48-255
    • /
    • 2016
  •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각 기관에서 생성되는 정보의 종류와 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관련 기관 간 데이터를 연계하는 정보연계 역시 증가되고 있다. 국방 분야에서는 군수품의 품질을 담당하는 국방기술품질원에서 군수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품질관련 정보를 수집 분석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정보연계 대상 또한 국방 분야의 기관뿐만 아니라 민간기관의 데이터까지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서로 다른 환경의 정보체계 데이터를 연계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는데,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국방 분야에는 보안측면을 더욱 강화한 연계방안의 수립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정보화 환경의 기관 간 업무처리를 위하여 필요한 업무요건과 보안 고려요소를 고찰하고, 이에 적합한 연계 아키텍처 및 표준 연계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된 프레임워크를 4개 연구기관의 정보체계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기관 간 데이터 연계로 업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방 분야에도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정보연계 아키텍처가 제시되었으며, 특히 보안성이 강화된 표준 연계 프레임워크를 적용함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는 군수품 품질향상을 위한 정보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Software Defined Network(SDN) 환경에서 비인가 소프트웨어 차단 기법 (Unauthorized Software Blocking Techniques in Software Defined Network (SDN) Environments)

  • 강남길;권태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393-399
    • /
    • 2019
  • 조직으로부터 인가받지 않고 내부로 반입한 비인가SW가 조직의 네트워크 보안에서 위협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SDN(Software-Defined Network) 기반의 네트워크 환경이 구축된 조직에서는 별도의 보안장비를 설치하지 않고도 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보안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해 네트워크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기존 SDN 환경의 보안기술은 방화벽, 침입탐지시스템 등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내부자 위협에 대해서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SDN 환경에서 조직 내부 위협 중 하나인 비인가SW로 부터 내부 네트워크를 보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정보사회에 있어서 '안전국가' 법규의 정립방향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Formulation of "Safe Country" Laws and Regulation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 김현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1-163
    • /
    • 2013
  • It is no doubt that information technology is the key factor of national safety. Information technology is positively useful for national security such as crime prevention and detection, criminal investigation, disaster management, and national defense. However, it might be a threat to the security as we saw in the examples such as '3.4 DDoS attacks' and 'Nong-hyup Computer Network Failure.' Although the effect that information technology makes upon the national security is immense, the current legal system does not reflect these changes well. National security should be kept during 'prevention-response-recovery' process regardless it is in the online on offline. In addition, public administration for national security should be based on laws. However, the current legal system is lack of legislative basis on cyber and physical disaster, and the laws on the response to disaster might cause confus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limitation of the current legal system on national securit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based on the new establishment of the legal concept for 'national security'.

미국의 새로운 무기수출통제정책 소개 (Defense Trade Security Initiative)

  • 이동하
    • 국방과기술
    • /
    • 9호통권259호
    • /
    • pp.18-25
    • /
    • 2000
  • 상당 부분의 방위 교역을 미국에 의지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Extension of ITAR Exemption to Qualified Countries에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ITAR면제 대상국이 되기 위해서는 수출통제, 산업보안, 정보체계, 사법체계 및 상호호혜적인 방산시장접근 허용 등 선진국가와 같은 수준의 정책방향 및 제도를 요구하고 있는 바, 모든 것이 개방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우리의 방산능력을 전문화하여 특정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갖추고 당당히 선진국가와 상호 교류 할 수 있는 제도를 구축하여야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