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hlorination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5초

Aspergillus oryzae의 세포내 효소인 Adenosine Deaminase의 기질 유사체와 억제물질에 대한 반응속도론적 분석 (Kinetics of Intracellular Adenosine Deaminase to Substrate Analogs and Inhibitors in Aspergillus oryzae)

  • 최혜선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4-90
    • /
    • 1994
  • Adenosine deaminase (ADA)의 여러 기질과 억제물질의 반응 속도론적 상수가 Aspergillusoryzae의 세포내 효소인 ADA의 활성자리에 어떻게 부착하고 어떤 요인을 필요로 하는지를 알기위해 측적되어졌다. kcat/$K_m$값에 의하면 조사된 기질로 작용하는 화합물 중에 3'-deoxyadenosine이 가장 좋은 기질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몇 개의 유사체가 억제물질로 조사되었는데 purine riboside가 $3.7{\times}10^{-5}$M의 값 $K_i$값을 가지고 가장 강한 억베물질로 나타났다. Adenine은 기질로도 억제물질로도 작용을 못하므로 adenine의 N-9 위치의 ribose가 효소에 부착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 ADA는 6-chloropurine riboside(6-CPR)의 dechlorination을 촉매화하여 inosine과 Cl이온을 생성한다. 6-CPR의 ADA에 대한 기질 특이성은 정상 기질인 adenine의 0.86%로 측정되었다. ADA의 경쟁적 억제물질인 purine riboside는 비슷한 $K_i$값을 가지고 dechlorination도 억제하므로 deamination과 dechlorination 반응은 효소의 부착자리를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SH기에 작용하는 화합물중 수은제인 p-chloromercuribenzoate(PCMB), mersalyl acid, $HgCl_2$는 효소의 deamination 반응을 억제했다. Mersalyl acid에 의해 활성이 억제된 ADA는 thiol reagent인 dithiothreitol이나 2-mercaptoethanol에 의해 활성이 회복되지만 PCMB에 의해 억제된 효소는 회복되지 않았다. 각 수은제들이 억제물질로 작용할 때 $K_i$값과 억제양상이 측정되었는데 모두 경쟁적 방해를 보였다. $K_i$값은 10mM 인산완충용액에서 측정한 것이 100 mM 인산완충용액에서 측정한 것보다 훨씬 낮아 인산기가 기질이 아니어도 효소의 부착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PDF

Formation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Their Thermal Decomposition Products from Pyrolysis Reactions of Chlorophenates

  • Hong, Jongki;Park, Jongsei;Kim, Kang-Jin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821-827
    • /
    • 1995
  • Polychlorodibenzo-p-dioxins(PCDDs) have been prepared by microsacale pyrolysis of trichlorophenates. During the pyrolysis reaction, dechlorinated dibenzo-p-dioxins were also formed by the thermolysis of PCDDs. The dechlorination pathways of PCDDs were suggested in this reaction. The identification of these products was performed using capillary column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PDF

스크류반응기를 이용한 혼합플라스틱의 물리적 탈염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Dechlorination of Mixed Plastics using Screw Reactor)

  • 김상국;엄유진;정수현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제26회 학술발표대회 고분자리싸이클링기술 특별심포지엄
    • /
    • pp.83-96
    • /
    • 2005
  • 열가소성수지인 PVC는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높은 염소함량으로 인하여 폐기할 때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PVC로부터의 탈염소반응이 기타 플라스틱열분해 반응보다 낮은 온도에서 일어나는 점을 이용하여 전처리공정으로의 탈염소반응 연구를 수행하였다. 반응기는 교반능력이 우수한 2축 스크류반응기를 사용하였다. 실험변수는 1차반응기온도, 2차 반응기온도, 혼합플라스틱의 PVC농도, 혼합플라스틱 점도, 공급량, 2차반응기의 스크류회전수이다. 적절한 공정조건하에서 탈염율은 90%이상이었으며 탈염소공정에서 배출되는 염소가스를 물에 흡수하여 염산으로 회수가 가능하였다. 염소 물질수지를 취하여 스크류반응기 전후의 염소 흐름을 분석하였다.

  • PDF

혐기성탈염소화 혼합균주에서 산소 노출이 탈염소화 및 수소발생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Term Oxygen Exposure on Anaerobic Reductive Dechlorination and Formate Fermentation by Evanite Culture)

  • 홍의전;박선화;임종환;안홍일;김남희;이석우;김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5권6호
    • /
    • pp.114-121
    • /
    • 2010
  • Oxygen sensitivity and substrate requirement have been known as possible reasons for the intricate growth of Dehalococcoides spp. and limiting factors of for routinely applying bioaugmentation using anaerobic Dehalococcoides-containing microbes for remediating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short-term exposure of the short-term exposure of oxygen on Dehalococcoides capability, dechlorination performance, and hydrogen production fermentation from formate, an anaerobic reductive dechlorination mixed-culture (Evanite culture) including dehalococcoides spp. was in this study. In the results, once the mixed-culture were exposed to oxygen, trichloroethylene (TCE) degradation rate decreased and it was not fully recovered even addition of excess formate for 40 days. In contrast, hydrogen was continuously produced by hydrogen-fermentation process even under oxygen prese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the oxygen-exposed cells cannot completely dechlorinate TCE to ethylene (ETH), hydrogen fermentation process was not affected by oxygen pres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hlorinating microbes may more sensitive to oxygen than fermenting microbes, and monitoring dechlorinators activity may be critical to achieve an successful remediation of a TCE contaminated-aquifer through bioaugmentation using Dehalococcoides spp..

니켈로 코팅된 영가금속을 이용한 염소계 페놀화합물의 반응경로 및 반응율 평가 (Reductive Degradation Kinetics and Pathways of Chlorophenolic Organic Pollutants by Nickel-Coated Zero Valent Iron)

  • 신승철;김영훈;고석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87-49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에 존재하는 다양한 클로로페놀류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니켈로 코팅된 영가철을 이용하여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다섯가지 종류의 클로로페놀 화합물을 대상으로 처리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중간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개질된 영가철에 의한 반응경로 및 반응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개질된 영가철에 의한 오염물의 제거는 반응계수를 기준으로 2-CP>4-CP>2,4-DCP>2,4,6-TCP>2,6-DCP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수치해석 결과 각 클로로페놀 화합물의 탈염소화 반응은 연속적 단계와 평행적 단계를 거쳐 최종 생성물인 페놀화합물에 도달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나노영가철과 Geobacter lovleyi를 이용한 TCE 탈염소에 관한 동역학적 연구 (Kinetic Studies of Nanoscale Zero-Valent Iron and Geobacter lovleyi for Trichloroethylene Dechlorination)

  • 김영주;안상우;장준원;여인환;김한석;박재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1호
    • /
    • pp.33-41
    • /
    • 2012
  • Nanoscale zero-valent iron (nZVI) has recently received much attention for remediation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trichloroethylene (TCE). But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on the toxic or inhibitory effects of nZVI on the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ZVI on the activity of Geobacter lovleyi and to determine the potent effect of combination of abiotic and biotic treatment of TCE dechlorination. TCE degradation efficiencies of Geobacter lovleyi along with nZVI were more increased than those when nZVI was solely used. The amount of total microbial protein was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nZVI and hydrogen evolved from nZVI was consumed as electron donor by Geobacter lovleyi. In addition, dechlorination of TCE to cis-DCE by Geobacter lovleyi along with nZVI in respiking of exogenous of TCE shows that the reactivity of Geobacter lovleyi was also maintain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Geobacter lovleyi along with nZVI for the dehalorination is beneficial for the enhancement of TCE degradation rate and reactivity of Geobacter lovleyi.

Estimating anaerobic reductive dechlorination of chlorinated compounds in groundwater by indigenous microorganisms

  • Park, Sunhwa;Kim, Deok Hyun;Yoon, JongHyun;Kwon, JongBeom;Choi, Hyojung;Kim, Ki-In;Han, Kyungjin;Kim, Moonsu;Shin, Sun-Kyoung;Kim, Hyun-Koo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3권2호
    • /
    • pp.85-95
    • /
    • 2022
  • Tetrachloroethylene (PCE) and trichloroethylene (TCE), critical pollutants to human health and groundwater ecosystems, are managed by groundwater quality standards (GQS)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are no GQSs for their by-products, such as cis-dichloroethylene (DCE) and vinyl chloride (VC) produced through the dechlorination process of PCE and T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monitored PCE, TCE, cis-DCE, and VC in 111 national groundwater wells for three years (2016 to 2018) to evaluate their distributions, a biological dechlorination possibility, and human risk assessment. The detection frequency of them was 30.2% for PCE, 45.1% for TCE, 43.9% for cis-DCE and 13.4% for VC. The four chlorinated compounds were commonly detected in 21 out of 111 wells. I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with 21 wells data, DO and ORP also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our organic chlorinated compounds, while EC and sulfat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mpounds. This indicates that the 21 wells were relatively met with suitable environments for a biological dechlorination reaction compared to the other wells. Finally, cis-DCE had a non-carcinogenic risk of 10-1 and the carcinogenic risk of VC was 10-6 or higher. Through this study, the distribution status of the four chlorinated compounds in groundwater in South Korea and the necessity of preparing plans to manage cis-DCE and VC were confirmed.

SiO2-Al2O3-P2O5 무기복합체를 이용한 LiCl-KCl 방사성 폐기물의 안정화/고형화: Part 1. LiCl-KCl의 탈염화 반응거동 및 고형화특성 (Stabilization/Solidification of Radioactive LiCl-KCl Waste Salt by Using SiO2-Al2O3-P2O5 (SAP) inorganic composite: Part 1. Dechlorination Behavior of LiCl-KCl and Characteristics of Consolidation)

  • 조인학;박환서;안수나;김인태;조용준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3
    • /
    • 2012
  • 사용후 핵연료내 우라늄 및 초우란원소를 회수하는 파이로프로세싱 공정에서 배출되는 금속염화물계 방사성 폐기물은 높은 휘발특성과 붕규산계 유리와의 낮은 상용성으로 인해 고화처리가 쉽지 않은 폐기물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화처리의 한 방법으로 탈염화 반응을 통한 고화체제조 개념을 채택하였다. 솔젤법을 이용하여 탈염화물질, $SiO_2-Al_2O_3-P_2O_5$ (SAP)을 합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탈염화 반응거동 반응생성물의 고형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LiCl계 폐기물과 달리, LiCl-KCl폐기물의 반응은 두 개의 온도범위에서 반응이 진행되며, $400^{\circ}C$의 경우에는 LiCl이, 약 $700^{\circ}C$에서는 KCl이 주로 반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러 가지 반응실험을 통하여 LiCl-KCl의 탈염화 반응에 가장 적합한 물질은 SAP 1071 (Si/Al/P=1/0.75/1 in molar)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4가지 종류의 고형화 실험을 통하여 고화체의 bulk shape과 densification은 SAP/Salt의 비에 영향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고형화 시료는 Product Consistency Test-A법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SiO_2$, $Al_2O_3$, $P_2O_5$로 이루어진 탈염화 물질을 이용하여 반응특성과 고형화 특성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탈염화 고화처리방법이 휘발특성이 높고 기존 유리매질과 상용성이 낮은 금속염화물계 폐기물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두 종류의 탈염소화미생물 배양액과 철분 첨가에 의한 염화에틸렌 오염토양 복원 (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by Chlorinated Ethylene Using Combined Application of Two Different Dechlorinating Microbial Cultures and Iron Powder)

  • 이태호;김형석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2호
    • /
    • pp.55-65
    • /
    • 2003
  • 인위적인 tetrachloroethylone(PCE) 오염토양($60{\mu}moles$ PCE/kg soil)에서 탈염소화미생물의 주입과 철분($Fe^0$) 첨가의 동시 적용이 PCE 및 유기염소화합물의 환원적 탈염소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탈염소화미생물 주입에는 두 종류의 혐기성 박테리아 배양액, 즉, PCE를 cis-1,2-dechloroethylene(cis-DCE)까지 탈염소화하는 Desulfitobacterium sp. Y-51 균주의 순순미생물 배양액과 PCE를 에틸렌까지 완전히 탈염소화하는 PE-1 혼합미생물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Y-51균주와 PB-1 혼합미생물 배양액을 각각 적용한 두경우(최종농도: 3mg dry cell weight/kg soil) 모두에서 40일 이내에 PCE가 cis-DCE로 전환되었다. $Fe^0$(0.1-1.0%(w/w))을 단독으로 오염토양에 적용한 경우, PCE의 탈염소화는 에틸렌 및 에탄까지 확장되어 진행되었으며. 탈염소화의 속도는 $Fe^0$의 첨가량에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탈염소화미생물과 철분을 동시에 적용한 경우, 각각을 단독으로 적용한 경우에 비하여 PCE의 탈염소화속도가 빨랐으며, PCE 탈염소화 및 최종 반응생성물의 생성 양상 또한 달랐다. Y-51균주 배양액과 0.1%의 $Fe^0$를 동시에 적용하였을 경우, PCE가 탈염소화되어 cis-DCE를 축적하였지만, PE-1 혼합미생물 배양액과 0.1%의 $Fe^0$를 동시에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cis-DCE를 거쳐 보다 확장된 탈염소화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탈염소화미생물과 철분의 동시 적용, 특히, PE-1과 같이 PCE를 완전히 탈염소화하는 미생물 배양액과 철분의 병용은 실제적인 PCE 오염토양의 정화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산화철중 염소성분 제거기술 연구 (Study on Dechlorination of Iron Oxide)

  • Jin-Gun Sohn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9권5호
    • /
    • pp.22-27
    • /
    • 2000
  • 철강산업 냉연공장에서 산세공정중 발생하는 산화철은 대부분 전자재료용과 안료용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산화철중에는 여러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는데 최근에는 염소성분 저감을 통한 고품질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냉연공장 산화수설비에서 배소로의 조업조건을 변경하며 산화철종 염소성분 제거실험을 하였으며, 산화수설비 배소로 후단에 탈염소장치를 설치하고 산화철의 탈염소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산화수설비 배소로의 현장 조업 범위내에서 산화철중 염소성분은 최대 1.100ppm으로 저감 가능 하였으며, 배소로에 부착한 탈염소 실험장치에서는 최대 360ppm 으로 저감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