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e

검색결과 7,156건 처리시간 0.033초

파종시기 및 품종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사초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ate and Hybrid on the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Production and Feed Value of Corn for Silage)

  • 배명진;정승헌;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4-60
    • /
    • 2022
  • 최근 봄 가뭄과 이모작 작부체계로 인하여 옥수수의 파종시기가 지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시험은 옥수수 품종을 한 달 간격으로 조기파종(4월 12일), 만기파종(5월 10일)으로 파종하였을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사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비교하기 위하여 중부지방(충남 천안)에서 4월 12일부터 8월 20일까지 수행하였다. 옥수수의 착수고는 만기파종이 조기파종보다 높았으나(p<0.05), 초장은 품종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내도복성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나(p<0.01) 파종시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반면 내충성은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시가간에는 차이기 있었다(p<0.05). 흑조위축병(RBSDV) 이병률은 만기파종이 조기파종보다 낮았다(p<0.001). 암이삭 비율은 품종 간에 유의적 차이가 보였다(p<0.01). 건물 및 TDN 수량도 조기파종에 비해 만기파종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조단백질은 파종시기간에 유의적 차이는 보였지만, 품종간에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만기파종의 ADF 함량은 조기파종보다 낮았으나(p<0.01), NDF 함량은 품종 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조기파종보다 만기파종의 TDN 및 비유정미에너지(NEL)가 높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각 지역별 기후와 강수량을 고려하여 이모작 작부체계에 적합한 동계사료작물을 재배 후 여름사료작물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파종시기를 5월 중순까지 늦추어도 생산성 및 사료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한계기 구명 (Critical Date of Wet Direct Seeding of Rice after Barley Cropping at Honam Plain Area)

  • 백남현;최민규;박홍규;남정권;고종철;김상수;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08-212
    • /
    • 2007
  •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파종 한계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1998{\sim}1999$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조생종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 중생종 금오벼 1호, 주안벼를 공시하여 6월 5일, 6월 10일, 6월 15일, 6월 20일에 10 a당 7 kg씩 담수표면산파하여 생육 및 쌀 수량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68{\sim}81%$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입모율이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2. 도복은 오봉벼, 주안벼에서 경미하게 발생하였으나 삼천벼, 상미벼, 금호벼 1호는 도복발생이 심했다. 3. 안전출수기로 본 파종한계기는 삼천벼, 상주벼, 오봉벼의 경우 6월 20일까지, 금오벼 1호와 주안벼는 6월 15일까지였다. 4. 쌀 수량은 6월 5일 파종과 6월 10일 파종은 파종기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6월 15일 이후 파종에서는 수량감소가 컸다. 5. 따라서 호남평야지에서 보리 후작 벼 담수표면직파재배시 출수기, 수량 등을 고려한 파종한계기는 6월 10일이었다.

배 '신고'의 만개일 및 생육기 기상을 이용한 수확일 예측 (Predicting Harvest Date of 'Niitaka' Pear by Using Full Bloom Date and Growing Season Weather)

  • 한점화;손인창;최인명;김승희;조정건;윤석규;김호철;김태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549-554
    • /
    • 2011
  • 나주지역에서 '신고' 배나무의 만개일 및 생육기 기상이 수확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과실 생육일수를 추정할 수 있는 다중 직선회귀 모델을 도출하였다. 만개일이 빠른 해일수록 수확일이 빨라지는 경향이었지만 과실 생육일수는 길어지는 경향이었다. 과실 생육기의 $0^{\circ}C$ 기준 일평균기온과 일최고기온의 생육온도일수와 변이계수는 3,565와 2.9% 및 4,463과 2.5%로 해에 따른 편차가 적었다. 과실 생육일수와 생육기의 월별 일평균기온 및 일최고기온의 생육온도 일수와는 관련성이 낮았지만, 만개후 생육일수별 기상요인과는 관련성이 높게 나왔다. 특히 만개후 1-60일과 31-60일까지의 일평균기온 및 일최고기온의 생육온도 일수와는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만개일과 만개 후 1일부터 60일까지의 일평균기온 및 일최고기온의 생육온도 일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과실 생육일수를 추정하는 다중 선형회귀식으로 0.7212의 높은 결정계수 값을 얻었다. 따라서 나주지역에서 배 '신고'의 과실 생육일수를 다중 직선회귀 모델식에 의해 72%의 정확도로 추정할 수 있다.

남부평야지에서 적미 품종의 이앙시기에 따른 폴리페놀 함량 및 수량변이 (Polyphenol Content and Yield Variation of Red-colored Cultivars Depends on Transplanting Date in Southern Plain Region of Korea)

  • 배현경;오성환;황정동;서종호;김상열;오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166-171
    • /
    • 2017
  • 본 실험은 적미의 재배에 있어서 고품질 고수량을 위한 적정이앙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네 품종의 적미를 재료로 2015~2016년에 밀양에서 실시하였다. 1. 수량구성요소 중 이앙시기 변화에 따라 가장 크게 달라지는 요인은 등숙률이었고 6월 20일 이후 이앙하면 등숙률이 낮아져 현미수량이 하락하였다. 2. 6월 20일에 이앙했을 때 폴리페놀 함량과 현미수량을 종합한 폴리페놀 생산량이 2,341~3,349 g/10a로 가장 높았다. 3. 출수 후 30일간 평균온도가 낮을 수록 폴리페놀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일정 수준 이하로 온도가 떨어지면 현미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22{\sim}23^{\circ}C$ 정도가 고품질 고수량 적미를 생산하기에 가장 적정한 온도였다. 4. 출수 후 30일간 평균온도가 $22{\sim}23^{\circ}C$가 되는 시점을 최적 출수기로 하고 출수소요적산온도를 $1,660^{\circ}C$로 하여 계산한 최적 이앙시기는 밀양시가 6월 18일~6월 24일 이었다. 경상남도 지역은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 경상북도 지역은 6월 초순에서 6월 중하순이 최적 이앙기였다.

영남내륙지역 벼 직파적응 품종의 재배시기별 생육반응 (Effect of Seeding dates for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n Growth and Yield of Rice Varieties in Youngnam Region)

  • 안덕종;최장수;최충돈;이승필;최부술;이상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85-189
    • /
    • 2000
  • 영남내륙지역에서 직파재배용 벼 품종인 동안벼, 대산벼, 농호벼, 호안벼, 광안벼를 공시하여 적정 파종기를 구명하기 위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소요기간은 5월 30일 파종기에서 12일로 가장 짧았으며, 입모수는 5월 10일과 5월 30일에서 많았다. 2. 4월 30일과 5월 10일 파종에서 수수가 많아 10a당 쌀수량이 485-494 kg으로 다른 시기 보다 증수되었으며, 품종별로는 5월 10일 파종의 동안벼가 513 kg으로 가장 많았다. 3. 완전미비율은 5월 10일 파종이 90.4%로 가장 높았고, 5월 30일 파종은 83.1%로 가장 낮았다. 4. 품종별 완전미비율은 5월 10일 파종한 대산벼에서 92.1%로 가장 높았으며, 4월 20일과 5월 30일 파종한 광안벼에서 각각 동할미 및 청미의 비율이 높아 완전미비율은 78.8%로 낮았다. 5. 회귀식에 의한 적정파종기는 호안벼는 5월 10일, 동안벼는 5월 3일, 농호벼는 5월 8일, 광안벼는 5월 1일, 대산벼는 5월2일이었다.

  • PDF

비닐피복과 파종기 이동에 따른 결명의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as Affected by Vinyl Mulching and Sowing Time in Cassia tora L.)

  • 권병선;박희진;임준택;신동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5-319
    • /
    • 1990
  • 결명을 비닐피복과 무피복 재배하에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의 특성을 검토하여 남부지방의 결명재배 체계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시험했던 바 그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출현일수와 성숙기는 무피복구보다 비닐피복구에서 빨랐고 특히 성숙기는 비닐피복구가 무피복구에 비해 약 30일 정도 빨랐으며 특히 4월 10일 파종기에서 가장 빨랐다. 2. 경장, 경직경, 분지수, 1주협수, 협장, 1협립수 등의 모든 형질이 비닐피복구에서 우수하였으며 이들 생육특성 중에서 경직경과 분지수는 파종기가 늦으면 작거나 적어지는 경향이었으나 경장, 1주협수, 협장, 1협립수 등의 형질은 4월 10일을 기점으로 이보다 빠르거나 늦으면 작거나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3. 천립중과 종실수량 역시 비닐피복구에서 높았으며 4월 10일 파종구를 기점으로 이보다 파종기가 빠르거나 늦으면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4. 비닐피복과 무피복 재배하에서 파종기에 따른 유용형질들의 분산분석에서 높은 유의성의 변이를 보였고 이들의 상호작용에서도 모든 형질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 PDF

수확시기별 제주산 가공용 감귤의 이화학적 특성과 hesperidin함량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Hesperidin Contents of Jeju Processing Citrus Fruits with the Harvest Date)

  • 양지원;최일숙;이정희;조장원;김성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52-658
    • /
    • 2012
  • 수확시기에 따른 제주산 가공용 감귤의 이화학적 특성과 hesperidin함량을 검토하였다.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당산비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pH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적정산도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L, b값과 탁도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a값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백탁현상의 주요원인이 되는 hesperidin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빠르게 수확한 과즙을 이용하여 가공품을 제조 시 혼탁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Effects of Seeding Date and Cultivar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Forage Rye in Yeongseo Region of Gangwondo

  • Kang, Shingon;Chemere, Befekadu;Kim, Jiyung;Kim, Byoung Wan;Sung, Kyung Il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3-107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eeding date and performance of early maturing rye cultivars for the Dry matter yield (DMY) and nutritive value during 2016 and 2017 in Yeongseo region of Gangwondo, South Korea. The experimental field was designed as a split-plot arrangement. The treatments were two planting dates on September 25 and October 02 as the main plots, and two cultivars of forage rye including Gogu and Koolgrazer as sub-plots. The cultivars were harvested on April 26 at the heading stage of both years. In this experiment, the sowing dates and cultivars of the forage rye did not effect on DMY. The DM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ultivars of forage rye and seeding date of both years. Similar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DMY of Gogu and Koolgrazer in both seeding date and years. The CP, NDF, ADF, and RFV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ultivars of forage rye and seeding date of both years. Considering the DMY and nutritive value of the current experiment, seeding of forage rye cultivars Gogu and Koolgrazer on September 25 and October 2 could be used as an recommended seeding date at northern area. In addition, based on the climat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both cultivars had relatively similar forage yield and quality that makes them to be recommended for cultiva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DMY was first presented in Yeongseo region where there is no cultivation data for forage rye.

Effect of Sowing Date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Alfalfa in a Dry Paddy Field

  • Lee, Bae Hun;Lee, Ki Won;Kim, Ji Hye;Lee, Se Young;Chang, Hyoung Ki;Park, Hyung S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69-175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dry matter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sowing dates during the autumn season of 2021-22 in a dry paddy field of Chilbo-myeon, Jeongeup-si, Jeollabuk-do. Treatments comprised four sowing dates at 10-day intervals, i.e., October 8, October 18, October 28, and November 8, 2021. The winter survival rate of alfalf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treatments but was at a satisfactory level for all (p<0.05). The winter survival rate for the fourth sowing date, a month later than the first sowing date, was approximately 11.7% lower than that for the first sowing date. The plant height ranged between 82.3-93.1 cm and 60.5-63.7 cm at the first and second harvest, respectively, smaller at the second harvest than at the first harvest. The total dry matter yield of alfalfa was the highest at 13,316 kg/ha for the first sowing date, and the later the sowing date, the lower the dry matter yield. The protein content of alfalfa ranged between 13.6-17.3% in the first harvest, lower than the standard alfalfa protein content of 20% or more. In relative feed value, the first sowing (Oct. 8) was the most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irst harvest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arly and mid-October sowing dates are optimum for sowing alfalfa during autumn and result in improved plant growth, dry matter yield, protein content, and winter survival compared to those at later sowing dates. Therefore, dry paddy fields can be safely employed for alfalfa cultivation with sowing dates in early and mid-October during autumn.

Effect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on Yield and Quality of Korean Soft Wheat Cultivar 'Goso'

  • Han-yong Jeong;Yulim Kim;Chuloh Cho;Jinhee Park;Chon-Sik Kang;Jong-Min Ko;Jiyoung Sh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3-63
    • /
    • 2022
  • Wheat flour can be categorized into bread, all-purpose, cake flour according to its protein content. Since optimal wheat flour protein content is different for each end us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nitrogen fertilizer methods depending on the end use and cultivar. Optimal wheat flour protein content of soft wheat (for cake flour) is lowest (<=10%) among all end u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itrogen fertilizer methods for high yield and low protein content. In order to analyze the yield and quality changes of soft wheat as nitrogen fertilizer amount and splitting timing, soft wheat cultivar 'goso' was sown on paddy soil in jeunju, Republic of Korea ('21.10).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was divided into 4 levels by adjusting 2kg/10a increments from 5.1 to ll.lkg/lOa, and in the N 7.1 and 9.1 kg/1 Oa(standard) treatment, N amount divided into sowing date:regrowing stage=3:7,4:6(standard), 5:5. In regrowing stage, Tiller number and N fertilizer amount at sowing date showed a correlation; y=-121.14x2+792.66x-525.41 (R2=0.77*, y: Tiller number/m2, x: N amount at sowing date(kg/10a)). Tiller number in regrowing stage was the highest when the nitrogen fertilizer amount at sowing date was 3.23kg/10a. spike number per m2 was the highest when N fertilizer was divided into sowing date:regrowing stage=3:7(N amount: 9.1kg/10a). If N fertilizer amount was fixed, grain yield was also the highest when N fertilizer was divided into sowing date :regrowing stage=3:7. Also, N amount at sowing date and grain yield showed no correlation, but N amount at regrowing stage and grain yiel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s N amount increased, protein content also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