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visualization

검색결과 1,954건 처리시간 0.033초

사용자 의도 기반 정량적 빅데이터 시각화 가이드라인 툴 (A Guiding System of Visualization for Quantitative Bigdata Based on User Intention)

  • 변정윤;박용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6호
    • /
    • pp.261-266
    • /
    • 2016
  • 기존의 다양한 데이터 시각화 툴에서 제공하는 차트 추천 방식은 사용자의 의도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차트를 추천한다. 일부 시각화 툴에서는 세분화된 정량적 데이터 분류 체계를 따르지 않기 때문에 명확한 데이터 시각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정량적 데이터를 정확하게 분류하고, 사용자 의도를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차트를 추천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가이드라인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분석 가이드라인과, 입력된 데이터 타입과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차트를 추천하는 추천 가이드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통해 차트 선택 과정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차트를 배제하였고, 사용자가 차트를 선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국가수준의 과학데이터 시각화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ing System for Scientific Data Visualization at the National Level)

  • 박동진;채균식;류범종;이상태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2호
    • /
    • pp.85-102
    • /
    • 2011
  • 전통적으로 과학데이터 시각화는 데이터 분석과 관련이 깊은 연구 수행과정 중의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 과학데이터 시각화의 연구영역 자체가 독립적인 학문분야로서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서 시각화의 기술 및 방법들이 점차 고도화되고 복잡해지고 있다. 그러나 과학데이터 시각화 연구가 개인 및 그룹의 연구자들 스스로의 노력으로 시각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문집단에 의한 체계적인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거시적 관점의 국가수준에서 어떻게 과학데이터 시각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것인가를 정책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문헌의 조사를 통하여 주요 성공요인들을 파악하였으며,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할 연구의 영역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국가수준의 시각화 연구지원의 전략적인 방향과 전략적 과제를 제언하였다.

기만적 데이터 시각화 사례 연구 (Case Studies on Deceptive Data Visualization)

  • 김시현;박진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21-528
    • /
    • 2018
  • 데이터 시각화는 정보 전달의 유용한 도구로 자리 잡아,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수준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효율적인 만큼 그릇된 정보를 전달하기도 쉽다는 위험을 안고 있다. 모든 데이터 시각화에는 편집자의 의도가 숨어있으며, 때로는 강력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 이러한 의도를 파악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집단이나 개인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오용된 데이터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 기존의 연구 방향은 효과적인 데이터 시각화 방법에 대한 고찰이나 표현 방식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다. 시각화 방식이 다양해질수록 데이터가 왜곡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므로 충분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목적 지향적 환경에서 벌어지는 기만적 데이터 시각화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인간의 인지 프로세싱이 갖는 취약점을 바탕으로 공격 유형을 분류하여, 데이터 시각화의 맥락에서 어떠한 속임수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이 연구는 공격적 시각화 사례를 연구하는 첫 번째 단계를 제시하여 추가 연구의 길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

공간빅데이터를 위한 정보 시각화 방법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for Spatial Big Data)

  • 서양모;김원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6호
    • /
    • pp.109-1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공간빅데이터의 개념과 특징을 정의하고 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높일 수 있는 정보 시각화 방법론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해결방법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를 공간정보의 정량적인 확장의 결과와 빅데이터의 정성적인 확장의 결과로 정의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최근 활용 서비스 측면이 이슈화 되면서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정보 시각화의 방법은 Matthias, Ben, 정보디자인교과서 등을 통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 되어 있으나 공간빅데이터의 시각화는 방대한 양의 원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조직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려는 정보를 추출해야 하는 차이점이 있다. 추출된 정보는 특성에 따른 적합한 시각적 표현 방법을 사용해야 하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없으므로 필터링, 샘플링, 데이터 비닝, 클러스터링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축소하여 표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LIC 기반의 유동 가시화 기법에 대한 조사 연구 (Survey on the LIC based flow visualization)

  • 이중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30-534
    • /
    • 2007
  • 유동 가시화란 가시화 기술의 한 영역으로, 벡터 데이터를 2차원 또는 3차원의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일반적으로 벡터 데이터는 (x, y, z)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수열의 집합인데, 이를 사람이 그 특징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유동 가시화는 가시화 기법, 대상 데이터의 차원, 대상 유동의 종류 등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가시화 기법은 크게 직접 기법, 인티그레이션(integration) 기법, 파생 데이터 기반 기법 등으로 나눌 수 있고, 데이터의 차원은 2차원, 2.5차원, 3차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유동의 종류는 일정한(steady) 유동과 불규칙한(unsteady) 유동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시화는 그 종류가 매우 많고 다양한데,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인티그레이션 기법인 LIC 기법에 초점을 맞추고 각 기법들을 데이터의 차원으로 분류하고 각 기법의 장단점을 논하고자 한다.

  • PDF

온-라인 데이터 가시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적용 (DEVELOPMENT OF ON-LINE DATA VISUALIZATION PROGRAM AND ITS APPLICATION)

  • 강상현;김병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 /
    • pp.290-296
    • /
    • 2008
  • In this paper development of on-line data visualization program is described and some examples of data postprocessing are shown. The program is written in JAVA language and runs as a JAVA applet on the web browser such as Internet Explorer or Firefox. Remote users can use the program to visualize and analyze their own flow data by accessing the program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d loading data files in proper formats from their local computers. This paper describes briefly about algorithms for data visualization, structure and available functions of the program, and web sever system. The mechanism of how the JAVA applet can access and process local data files and relevant coding techniques are explained as well. Also explained is what is required for the remote users and client computers to access the program on-line. Some visualization examples performed on a local computer are illustrated by accessing the server remotely.

  • PDF

온-라인 데이터 가시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적용 (DEVELOPMENT OF ON-LINE DATA VISUALIZATION PROGRAM AND ITS APPLICATION)

  • 강상현;김병수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90-296
    • /
    • 2008
  • In this paper development of on-line data visualization program is described and some examples of data postprocessing are shown. The program is written in JAVA language and runs as a JAVA applet on the web browser such as Internet Explorer or Firefox. Remote users can use the program to visualize and analyze their own flow data by accessing the program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d loading data files in proper formats from their local computers. This paper describes briefly about algorithms for data visualization, structure and available functions of the program, and web sever system. The mechanism of how the JAVA applet can access and process local data files and relevant coding techniques are explained as well. Also explained is what is required for the remote users and client computers to access the program on-line. Some visualization examples performed on a local computer are illustrated by accessing the server remotely.

  • PDF

Analysis of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SW Data Format for Multi-physics and Visualization

  • Ryu, Gimyeong;Kim, Jaesung;Lee, Jongsuk Ruth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2호
    • /
    • pp.889-906
    • /
    • 2020
  • Analysis of multi-physics systems and the visualization of simulation data are crucial and difficult in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In Korea,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developed EDISON, a web-based computational science simulation platform, and it is now the ninth year since the service started. Hitherto, the EDISON platform has focused on providing a robust simulation environment and various computational science analysis tools. However, owing to the increasing issues in collaborative research, data format standardiz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addition, as the visualization of simulation data becomes more important for user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analyzing input / output data information for each software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data format and metadata for the representative software provided by EDISON. In this paper, we analyz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d computational structural dynamics (CSD) simulation software in the field of mechanical engineering where several physical phenomena (fluids, solids, etc.) are complex. Additionally, in order to visualize various simulation result data, we used existing web visualization tools developed by third parties. In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data forma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undation of multi-physics and a web-based visualization environment, which will enable users to focus on simulation more conveniently.

웹 환경에서의 지도 기반 데이터 시각화 인터페이스 툴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Interface Tool for Map Data Visualization)

  • 최진;길선영;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216-1223
    • /
    • 2017
  • Because of the open data in public domains, it is easy to collect the public data. However, people find difficulty in visualizing the data in material that they actually want. Especially, A map is a difficult material to do the visualization work, without using the specific tools and learning.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interface tool for map data visualization that user can easily visualize various national statistics data on the map. We designed the interface by classifying the properties of the map systematically, focusing on the completion and convenience for making the map. After that, we developed a web-based application using D3.js. After user evaluation, we found that our application can visualize the map more quickly and completely than any other web interfaces for map data visualization. Users also found a higher satisfaction in operating convenience.

공공 빅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InfograaS의 아이디어 제안 (Idea proposal of InfograaS for Visualization of Public Big-data)

  • 차병래;이형호;심수정;김종원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24-53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빅데이터의 일종인 LOD (linked open data)를 가공 및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LOD는 공공 데이터를 공유 및 재활용하기 위한 웹기반의 오픈 데이터이다. 특히 BA(business analytics)와 Info-graphic을 위한 시각화 (visualization) 기술을 제공하는 새로운 SaaS (software as a service) 비즈니스 영역을 InforgraaS (Info-graphic as a service)라고 정의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시각화 및 비즈니스 전문가 없이 비전문가 또는 초보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데이터 시각화 (data visualization)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전달되는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 시각화의 목적은 챠트와 그래프를 통해 정보를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공공기관의 빅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과 오픈 소스인 하둡, R, 기계학습, 데이터 마이닝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처리 결과를 이해하기 쉬운 그래픽 또는 챠트로 표현하고 공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