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life stress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3초

대전지역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에 관련된 요인 (Stress and Stress Management in Clinical Nurses Working from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City)

  • 윤현숙;조영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43
    • /
    • 2004
  • This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stress and the degree of stress coping among nurse as well as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daily life styles, duty,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at group. 525 nurses, from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city underwen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uring the 3-week period from July. 21 to August. 9, 2003. The questions focu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ocio-demographic and duty characteristics, daily life styles, and stress and methods of coping with stres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degree of stresses, 66.1% of the study subjects were at the potential risk of stress, with the high risk group constituting 30.3% and the normal group 3.6%. The stress and the degree of stress coping were shown to be affected by socio-demographic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s well as daily life styles. The group at higher risk of stress was shown to have a lower degree of coping with stress, implying that a lower degree of coping with stress would in turn heighten the occurrence of stres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ffective strategy that includes stress-reduction programs available in the field and prompting further build-up of comprehensive stress-management programs.

융복합 시대에 다문화 부모의 일상생활스트레스가 자녀의 학습 케어 형태에 미치는 영향 :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Daily Life Stress on the Learning Care Style of Multicultural Paren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arent Efficacy)

  • 조옥선;방해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73-18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시대에 다문화 부모의 일상생활스트레스가 자녀의 학습 케어 형태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 있어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MAPS 다문화 청소년패널 5차년도 다문화 학부모용 데이터에 응답한 960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부모의 일상생활스트레스는 자녀의 학습 케어 형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부모의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녀의 학습 케어 형태 간에 있어 부모효능감은 완전매개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즉, 다문화 부모의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부모효능감을 통해 자녀의 학습 케어 형태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부모효능감의 간접효과를 의미한다.

여고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자아통제감과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male Highschool Students's Sense of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ir Daily Stress)

  • 황란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63-373
    • /
    • 2023
  • 본 연구목적은 여고생 164명의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과 그 변인들 간의 관계, 여고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대상자의 자아통제감은 평균 20.47±3.86점으로, 학교생활 만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평균 105.88±19.63점으로, 학교생활 만족 정도와 부모님의 양육 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평균 58.96±17.33점으로,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 정도 및 부모님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통제감은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고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자아통제감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여고생의 정서적, 정신적 건강증진 측면에서 일상적 스트레스를 완화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단기간 템플스테이 체험이 일상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 Short-term Temple Stay Experience on Daily Life Stress Reduction)

  • 서용석;백원기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8-36
    • /
    • 2015
  • 본 연구는 단기간 템플스테이 체험이 일상스트레스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남 여 모두 템플스테이 체험 전 보다 체험 후 평균 일상 스트레스 척도 점수가 현저히 낮았다. 템플스테이 체험 전, 템플스테이 체험 1주일 후, 1개월 후, 3개월 후의 스트레스 척도 점수는 성별과 연령에 관계없이 거의 모두 템플스테이 직전이 가장 높았다. 이어 템플스테이 체험 3개월 후, 1개월 후, 1주일 후의 순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령별 스트레스 척도 점수는 남성의 경우 6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30대와 40대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재가 여성노인의 하부요로증상, 일상생활불편감 및 수면의 질과의 관계 (Relation of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Daily Life Inconvenience, and Sleep Quality in Community Elderly Women)

  • 송민선;최찬헌;양남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8-6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daily life inconvenience, and sleep quality in elderly community woman. Methods: Participants were 140 elderly wome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0,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ith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rate of urge incontinence was 25.0%, stress incontinence 36.4%, unexplained incontinence 15.7%, and nocturnal incontinence 9.3%. Those participants with urge incontinence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daily life inconvenience scores; urge incontinence, stress incontinence, and unexplained incontine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sleep quality scores. Furthermore, frequent urination, nocturia, and incomplete empty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daily life inconvenience scores; and frequent urination, nocturia, hesitancy, straining, intermittent stream, burning, incomplete emptying, bladder pain, and abnormal strength of stream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wer sleep quality scor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ies considering incontinence and urination symptoms to reduce daily life inconvenience caused by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and improve sleep quality in elderly women.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이규현;권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820-828
    • /
    • 2014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는 D광역시의 중학생 6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삶의 문제, 사회적지지, 우울 및 자살생각 척도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하였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5점 만점에 1.2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종교, 학업성적, 가족형태, 학교폭력 경험 유무, 경제상태에서 유의한 자살생각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일상생활 스트레스, 삶의 문제 및 우울과 정적, 사회적지지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삶의 문제, 우울, 사회적지지, 일상생활 스트레스, 학교폭력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중학생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 삶의 문제, 우울, 일상생활 스트레스 및 학교폭력을 감소시키고 사회적지지를 증진하는 중재 프로그램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기혼 직장여성의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와 일상스트레스, 일-가정양립갈등 그리고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Family Life due to COVID-19, Daily Stress,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rking Women)

  • 신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251-260
    • /
    • 2022
  • 본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 일상스트레스, 일-가정양립갈등 그리고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코로나 19로 인한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 이들의 일-가정양립 갈등 감소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대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20년에 조사된 여성 가족 패널조사 8차 년도 데이터에서 기혼여성 임금노동자를 추출한 1,934명이 분석되었다. 가설검증을 위해 Amos 20.0으로 경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19로 인한 가족생활 변화가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정양립 갈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일상스트레스를 통해서 일-가정양립갈등 증가와 직무만족도 감소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일상스트레스가 일-가정양립갈등 증가와 직무만족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일-가정양립갈등이 직무만족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에 따라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무구속 심탄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스트레스 분석 기초연구 (Basic Study for Stress Analysis Using an Unconstrained BCG Monitoring System)

  • 노윤홍;정도운
    • 센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8-123
    • /
    • 2011
  • Heart related diseases mainly caused by heavy work load and increasing stress in human daily life. Therefore, researches on mobile healthcare monitoring for daily life has been carried out. Notably, wearable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which has least restriction has been tried to provide an emergency alert of abnormal heart rate. In this study, we developed chair type unconstrained BCG measurement system which able to perform continuous heart status monitoring at the office and daily life in the unconstrained way. Furthermore, adaptive threshold is used to detect the heart rate from BCG signals. The HRV(heart rate variability) is calculated from heart rate interval. ECG signal measured using conventional method and BCG signal measured using unconstraint system are carried out simultaneously for the purpose of performance evaluation. From the comparison result, BCG signal shows a similar heart beat characteristic as ECG signal. This proves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implementation of unconstraint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In addition, medical examination like valsalva maneuver is performed to observe the changes in HRV due to stress. By performing valsalva maneuver, heart is said to be placed under an artificial physical stress condition. Under this artificial physical stress conditio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 of HRV parameters are evaluated.

부부의 일상 스트레스와 공동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Couple's Daily Stress and Dyadic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 원수경;설경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813-82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daily stress and dyadic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al Model (APIeM). Methods: Participants were 314 couples who met the study's eligibility criteri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pril 2016 through apartment and cooperative company communities in Seoul. Two APIeMs of positive and negative dyadic coping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and Mplus 7.4. All measures were self-administered. Results: Daily stress and positive and negative dyadic coping in both spouses had direct actor effects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Daily stress in both spouses had an indirect actor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their positive and negative dyadic coping. The husband's daily stress had an indirect partner effect o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his positive dyadic coping, while the wife's positive dyadic coping had a direct partner effect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he husband's daily stress had an indirect partner effect o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his negative dyadic coping, while the wife's negative dyadic coping had a direct partner effect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Conclusion: Dyadic coping is an effective way to deal with couple's daily hassles as it increase their satisfaction in marriage.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일상생활스트레스 변화 양상에 따른 방임 및 자녀의 학업성취 차이: 성장혼합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Trajectories of Mothers' Daily Life Stress and its Association with Early Adolescents' Perceived Neglecting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Growth Mixture Modeling)

  • 윤홍주;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48-35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외국인 어머니의 6년 동안의 일상생활스트레스 변화 양상에 기초한 잠재계층을 찾고,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시기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학업성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다문화청소년패널 1차년도(2011년)부터 6차년도(2016년)의 1,039명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성장혼합모형분석, 다집단 분석,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장혼합모형분석을 통해 어머니의 일생 생활스트레스 변화 유형은 '고수준 무변화형 집단', '중수준 변화형 집단', '저수준 변화형 집단'의 세 개 잠재계층이 확인되었다. 둘째,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자녀가 지각한 방임적 양육태도 수준은 6개년도 모두 고수준 무변화형 집단이 중수준과 저수준 변화형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업성취의 경우 중학교 시기에서만 저수준 변화형 집단이 고수준 무변화형 집단보다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잠재계층에 따른 방임적 양육태도의 종단적 변화양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학업성취의 경우 고수준 무변화형 집단과 중수준 변화형 집단은 학업성취가 매년 감소하는 패턴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저수준 변화형 집단은 초등학교 시기에는 학업성취 수준의 변화가 없다가, 중학교 시기에 감소하는 패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일상생활스트레스 변화 양상이 자녀가 지각한 방임적 양육태도 및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며, 다문화 가정의 외국인 어머니가 일상생활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원체계 확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