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Minimum Temperature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의 도시화에 의한 극한기온의 변화 (The Impacts of Urbanization on Changes of Extreme Events of Air Temperature in South Korea)

  • 이승호;허인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7-27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극한기온 지수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여 도시화 효과가 극한기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국에서 60개 기상관측지점을 대상으로 극한기온과 관련된 16개의 지수를 분석하였다. 여름철 관련 극한기온 지수값은 대부분 증가하였고, 겨울철 관련 극한기온 지수값은 감소하였다. 여름철 지수 중 변동 임계치를 갖는 지수가 열대야와 같은 고정 임계치를 갖는 경우보다 증가 경향이 더 뚜렷하였다. 겨울철과 관련된 극한기온 지수값의 감소 경향이 여름철과 관련된 극한기온 지수의 증가 경향보다 뚜렷하였다. 이는 도시의 기온이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더 상승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이다. 일최고기온과 관련된 지수의 증가 경향보다 일최저기온과 관련된 지수의 감소 경향이 뚜렷하다. 이런 결과도 도시에서 최고기온보다 최저기온의 상승 경향이 더 뚜렷한 것과 비슷한 경향이다.

서리 피해 방지를 위한 서리 발생일의 기상 특성에 대한 연구 (The Weather Characteristics of Frost Occurrence Days for Protecting Crops against Frost Damage)

  • 권영아;이효신;권원태;부경온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24-842
    • /
    • 2008
  • 본 연구는 서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서리 발생일의 기상 요소별 특성을 분석하여 서리가 발생할 수 있는 기상 조건을 파악하였다. 첫서리 현상이 발생하는 시기인 가을과 마지막 서리 현상이 나타나는 봄으로 나누어 서리 현상일의 기압계 유형, 최저기온, 초상최저기온, 일교차, 평균 상대습도, 최소상대습도, 평균 풍속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기압계 유형별로는 우리나라 남서쪽에 중심을 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고 있을 때 서리 현상은 가장 잘 발생했다. 초상최저기온은 지표에 발생하는 서리 현상을 감지하기 때문에 농업적 목적으로는 최저기온보다 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도 해안지역의 경우는 최저기온이 영상이어도 서리가 발생했으나 서리 발생일의 초상최저기온은 모든 지역에서 영하였다. 서리 현상일의 일교차는 내륙 지역은 $14^{\circ}C$ 이상이었으며, 해안 지역은 $9{\sim}12^{\circ}C$이었다. 서리 현상이 발생하기 위한 최소상대습도는 $30{\sim}50%$였으며, 내륙 지역이 해안 지역보다 낮았다. 풍속은 약할수록 서리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대부분 지역에서 서리가 발생한 날의 평균 풍속은 2m/sec 이하였으며 일부 도서 지역과 해안 지역에서는 $4{\sim}6m/sec$를 나타냈다.

월 평균 기온과 강우 자료를 이용한 일 기온 자료의 생성 (Generation of daily temperature data using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 문경환;송은영;위승환;서형호;현해남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2-261
    • /
    • 2018
  • 이 연구는 월평균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일 최고기온, 일 최저기온을 생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전국 23개 기상관서의 과거 30년간의 일기상자료를 분석하여 일 최고기온 및 일 최저기온의 연간 변동 경향을 나타내는 모수(중심값($\hat{U}$), 진폭(C), 편이(T))와 일간 변동을 반영하는 모수(A, B)를 탐색하였다. 그 중 중심값은 지점간의 연 평균자료로부터 도출하였고, 중심값을 제외한 모수들은 전국 평균을 기상생성과정에 적용하였다. 먼저 강우발생 유무에 따라 일 기상자료를 생성한 후 월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마지막으로 일 최고기온 및 일 최저기온을 생성하였다. 이 방법으로 전체 23개 지역에 대하여 월별로 생성하였을 때 전체 월별 분포의 95% 이상 관측된 분포와 유사한 일 자료를 생성할 수 있었다. 또 이 방법에 의해 과거 자료와 유사한 생장도일(Growing Degree Day)를 생성할 수 있었고, 조사대상이 아닌 지역에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기후변화시나리오 등 월 자료가 확보되어 있는 경우에 일기상자료를 생성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904년 이래의 부산 기후 변동성 및 생활기상지수들의 기후변화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s in Weather Indexes in Busan Since 1904)

  • 전하은;하경자;김혜렴
    • 대기
    • /
    • 제33권1호
    • /
    • pp.1-20
    • /
    • 2023
  • Holding the longest observation data from April 1904, Busan is one of the essential points to understand the climate vari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without missing data since implementing the modern weather observation of the South Korea. Busan is featured by coastal areas and affected by various climate factors and fluctua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s in climatic variables, extremes, and several weather index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points in daily mean rainfall intensity and temperature were found in 1964 and 1965. Based on the change point detection, 117 years were divided into two periods for daily mean rainfall intensity and temperature, respectively. In the long-term temperature analysis of Busan, the increasing trend of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during the period of 1965~2021 was larger than the daily mean temperature and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Applying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daily maximum temperature is largely affected by the decadal variability compared to the daily mean and minimum temperature. In addition, the trend of daily precipitation intensity from 1964~2021 shows a value of about 0.50 mm day-1, suggesting that the rainfall intensity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ceding period. The results in extremes analysis demonstrate that return values of both extreme temperatures and precipitation show higher values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period, indicating that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extreme phenomenon increases. For Wet-Bulb Globe Temperature (effective humidity), increasing (decreasing) trend is significant in Busan with the second (third)-largest change among four stations.

한반도 지역의 환경시험 온도 일주기 연구 (A Study on Daily Temperature Cycle of Environmental Test in the Korean Peninsula)

  • 이정용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2-70
    • /
    • 2007
  • Most design temperature of environmental test in korea is based on the standard of Department of Defense. There are few studies to establish temperature standard. Besides the representative environmental test guide 'MIL-STD-810F' encourage to tailor to generate the most relevant test data possible and to test to make a match of test environment with operational environment.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irrational to comply with baseless daily cycle. Thus the study about design method of test temperature is essential. So, the daily cycles to be appropriate to the Korean peninsula was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is research shows how to derive two main element, frequency-of-occurrence and daily maximum (minimum) temperature in daily cycles, in case we can not find the daily cycle.

냉기호 형성 집수역의 일 최저기온 분포에 미치는 바람효과 (Wind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Across a Cold Pooling Catchment)

  • 김수옥;김진희;김대준;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7-282
    • /
    • 2012
  • 냉기호 지대 안에서도 일정 수준의 바람이 부는 장소에서는 일 최저기온이 기존 공간기후모형에 의해 예측된 만큼 떨어지지 않음이 관찰되었다. 경남 하동군 악양 집수역 출구부근의 실측자료를 토대로 냉기호가 형성된 25일에 대하여 기존 방법에 의한 일 최저기온 예측 시 발생하는 추정오차를 그 때 관측된 풍속과 비교한 결과 바람이 강해질수록 추정오차가 커지는 경향이 뚜렷해서 풍속이 2m/s에 이르면 냉기호 효과가 완전히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속과 추정오차 간 관계는 Y=2X+0.4 ($R^2$=0.76)로 표현되며 이 식에서 Y는 추정오차($^{\circ}C$), X는 풍속(m/s)이다. 이 식을 기존 일 최저기온 추정모형의 냉기집적효과에 결합하여 악양 집수역 냉기호 수몰지역에 위치한 3곳의 일 최저기온 추정에 이용하였다. 이때 입력 풍속은 바람장 모형 구동에 의한 모의풍속이었다. 추정된 일 최저기온은 오차의 평균평방근(RMSE)이 기존 모형의 1.72에서 1.20으로 줄어들고, 평균오차(ME)로 표현한 편기성(bias)도 -1.33에서 -0.37로 개선되었다.

인명.재해 피해 저감을 위한 폭염특보기준 검토 및 보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amination and revision about the standard level of the Extreme heat watch warning system for reduction of personal or property injury)

  • 박종길;정우식;송정희;김은별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89-92
    • /
    • 2008
  • The extreme heat watch warning system(EHWWS) that Korea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carried out a preliminary from July 1, 2007, considered both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daily maximum heat index simultaneously. It was requested revision of the standard level of EHWWS to solve the difficulty of forecasting occurred when we were considering two parameters simultaneously and we did not considering heat index according to areas. For this, we established three type standard, such as type 1 that considered both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daily maximum heat index, Under the extreme heat day that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more than $25^{\circ}C$, type 2 that considered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type 3 that considered only daily maximum heat index and then analyzed whether these 3 types satisfies the excess mortality of the extreme heat warning or not. As a results, type 1 and 2 were more explain away excess mortality each warning step than type 3. type 2 could also apply case of not to consider heat index according to areas and had a merit for extreme heat forecasting easily because the standard was simple. Therefore we think type 2 is more suitable and reasonable standard for Korea extreme heat watch warning system(KEHWWS) than type 1. In addition, we need to develop model that exactly predicts the excess mortality will be take place during the extreme heat warning and construct KEHWWS.

  • PDF

우리나라의 최저기온 분석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inimum Temperatures in Korea)

  • 설동일;민병언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55-169
    • /
    • 1994
  • The minimum temperatures are important element in the daily human life, the climatic classification, and so on. In this study, the authors aim to make an analysis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inimum temperatures of 95 weather stations in Korea by using the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of Korea VolumeI, VolumeII, and the Climatological Standard Normals of North Korea.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aily, fifthly, and tenthly minimum temperatures show the highest rate of occurrance on 14th of January( Occurrance rate : 56.6% ), 16~20th of January( 37.6% ), and the middle ten days of January( 82.1% ) respectively. 2)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minimum temperatures in winter, the values of northern part, inland area, and west coastal region are lower than those of southern, coastal, and east coastal regions respectively. And, bigger cities and industrial area( Seoul, Incheon, Daejeon, Daegu, etc. ) have larger values than the its vicinities. 3) When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is $0^{\circ}C$ and less, the days of northern part, inland area, and wests coastal region are higher than those of southern, coastal, and east coastal regions respectively.

  • PDF

한국의 주요 대도시에 대한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의 장기변동 경향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망 (Long-term Trends of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for the Major Cities of South Korea and their Implications on Human Health)

  • 최병철;김지영;이대근
    • 대기
    • /
    • 제17권2호
    • /
    • pp.171-183
    • /
    • 2007
  • Trends of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in major cities of South Korea (Seoul, Busan, Incheon, Daegu, and Ulsan) during the past 40 years (1961-2000) were investigated. Temperature records for the Chupungryeong st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large cities because of the rural environment of the station. There were distinct warming trends at all stations, although the warming rates depend on each station's local climate and environment. The warming rates in Korea are much greater than the global warming trends, by a factor of 3 to 4. The most increasing rate in daily maximum temperature was at Busan with $0.43^{\circ}C$ per decade, the most increasing rate in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at Daegu with $0.44^{\circ}C$ per decade. In general, the warming trends of the cities were most pronounced in winter season with an increasing rate of $0.5^{\circ}C$/decade at least. Diurnal temperature range shows positive or negative trends according to the regional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daily temperatures for the past 40 years at Seoul and Chupungryeong shows that there have been reductions in cold day frequencies at both stations. The results imply that the impacts on human health might be positive in winter and adverse in summer if the regional warming scenario by the current regional climate model reflects future climate change in Korea.

기압배치형별 중부지방의 1월 최저기온 분포에 관한 연구: 철원의 최저기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tributions of Minimum Temperature during January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focused on Minimum Temperature at Cheorwon)

  • 이승호;장지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2-4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방의 1월 최저기온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철원의 극한 최저기온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부지방 25개 관측소의 1991~2010년 1월 기온 분포 특성과 철원 기온과 춘천, 홍천, 봉화, 대관령, 원주, 제천 등 중부내륙 지역의 기온 차이를 기압배치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일평균기온과 평균 일최저기온은 철원과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낮게 나타나지만, $-15^{\circ}C$ 이하 일수와 같은 극한기온의 출현빈도는 철원에서 두드러졌다.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하거나 우리나라 북쪽에 이동성 고기압이 위치할 때 철원 기온이 비교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낮다.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을 받을 때는 철원과 비교지점 간 기온 차이가 적거나, 봉화, 제천과 같은 분지의 기온이 더 낮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