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egwallyeong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6초

Study on the diagnosis of disturbed forest eco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in case of Daegwallyeong and Chupungryeong

  • Lee, Seon-Mi;Cha, Jae-Gyu;Moon, Ho-Gyu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7호
    • /
    • pp.182-190
    • /
    • 2017
  • Background: Baekdudaegan was designated in 2005 as a protected area to prevent destruction and conserve. However, there are many disturbed and destroyed areas. The total disturbed area amounts to $25.9km^2$ (0.94%), including $13.4km^2$ (0.49%) in the core area and $12.5km^2$ (0.45%) in the buffer area.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vegetation types established in the disturbed areas and diagnose the current conditions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the forest ecosystem. Methods: We surveyed the vegetation in the disturbed areas of Daegwallyeong and Chupungryeong and the surrounding natural areas. The survey condu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5 targeted a total of 54 quadrats by Braun-Blanquet method (Daegwallyeong, 22; Chupungryeong, 32). We also investigated the height and coverage of each layer. We classified the vegetation types based on the field data and analyzed the ratio of life form and the exotic plants, species richness, and vegetation index (Hcl).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as calculated from rapideye satellite imagery in 2014 and 2015. Results: Veget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11 groups according to the criteria that included successional sere or plantation at first, followed by developmental stage and origi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species richness, vegetation index (Hcl), ratio of tree plants, and the NDVI tended to increase, while the ratio of the exotic plants tended to decrease with the time since disturbance. These indicators had the classified values according to the vegetation types with time since the disturbance. Conclusions: These indicators can be effectively used to diagnose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vegetation in the disturbed area of the Baekdudaegan area. In addition, the NDVI might be effective for the diagnosis of the disturbed status instead of the human efforts based on the higher spatial resolution of satellite imagery. Appropriate diagnosis of the disturbed forests in the Baekdudaegan area considering the established vegetation types is essential for the elaboration of restoration plans. In addition, restoration target and level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urbed status of restoration site.

국가숲길에 대한 국민과 이용객 인식조사: 지리산둘레길과 대관령숲길을 중심으로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Public and Visitors about the National Forest Trail : Focusing on Jirisan Trail and Daegwallyeong Forest Trail)

  • 이수광;김근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86-200
    • /
    • 2022
  • 본 연구는 국가숲길과 관련된 이해관계자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일반 국민 1,200명과 국가숲길(지리산둘레길, 대관령숲길)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객 800명을 대상으로 국가숲길에 대한 인식분석을 실시하였다. 국가숲길 인지도는 일반국민과 이용객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국가숲길 제도의 필요성, 이용의사와 추천의사는 유의한 수준으로 이용객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국가숲길 이용목적, 선택이유, 관심사항, 문제점, 필요규제, 기대역할에 응답한 1순위는 일반국민과 이용객 간에 유사하게 나타났다. 일반국민과 이용객의 관심사항과 희망하는 활동사항 간에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나 경관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가숲길에 올 수 있도록 하는 유인인자로 경관을 우선시하여 주요 조망점들에 대한 세부적인 특성 조사를 통해 일반국민과 이용객이 원하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숲길과 관련된 이해관계자에게 국가숲길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Implementation of an Automatic Observation System for Cloud Observations

  • Kwon, Jung J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79-88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utomatic observation system for cloud amount and height observations. Observation system consists of clouds observations machinery, operational programs, cloud amount extraction program, cloud height extraction program, expert support program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Daegwallyeong and Busan, through experimental observation confirm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ystem.

춘천, 대관령, 소백산 지역의 안개조성의 비교 : 대관령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of fogwater at Chunchon, Daegwallyeong, and Mt. Sobaek : Effect of geographical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 홍영민;김현진;김은미;김현숙;이강휴;이보경;김만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9-151
    • /
    • 2002
  • 산성을 유발하는 물질들은 대기 중에서 비나 눈, 안개, 구름 등에 유입되어 강하하는 습성강하와 기체상 입자상 물질의 형태로 지표로 이동하는 건성강하를 통해 대기 중에서 제거된다. 습성강하물 중 안개는 비보다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고, 수분량이 적으며, 대기 중에 체제하는 시간이 매우 길어 대기 중에서 오염물질이 계속 유입되므로 비보다 오염물질의 농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다. (중략)

  • PDF

대관령지역 안개의 화학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fogwater at Daegwallyeong)

  • 홍영민;김현진;김은미;김현숙;이강휴;이보경;김만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0-281
    • /
    • 2002
  • 안개는 지표면과 인접한 대기 중에서 발생하여 장시간 체류하는 현상으로, 입자크기는 1-100$\mu\textrm{m}$정도로 빗물입자(0.1-3.0mm)보다 작다. 또한, 구름은 고도 600m 이상에서 형성되며 안개입자와 동일한 기 작에 의해 발생하여 장거리 이동을 하게 되는데, 관측자의 위치 및 고도에 따라 안개 또는 구름으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안개는 일반적으로 시정거리 1km이하의 기상현상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대기 중의 입자상.기체상 오염물질을 지표 및 동ㆍ식물의 표면으로 이동시키는 매개체의 역할로 생각할 수 있다. (중략)

  • PDF

마이크로웨이브 라디오미터에서 관측된 가강수량 및 구름물량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Precipitable Water Vapor and Liquid Water Path by Microwave Radiometer)

  • 양하영;장기호;차주완;최영진;류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33-241
    • /
    • 2012
  • 가강수량과 구름물량의 시공간적 분포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청주, 합천, 대관령에서 마이크로웨이브 라디오미터의 관측을 수행하였다. 각 지역에서 관측된 가강수량을 검증하기 위해 고층자료에서 산출된 가강수량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상관계수가 0.8 이상으로 좋은 상관도를 보인다. 청주, 합천, 대관령 지역의 가강수량의 계절적인 변동과 일변화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일반적으로 1000 LST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900 LST에 극대 값을 보인다. 반면에 구름물량은 지역적으로 계절적인 차이를 보인다. 이는 평지에 위치한 청주, 소백산맥으로 인한 편서풍 구름 차폐가 발생하기 쉬운 합천, 안개 및 구름이 잦은 대관령(834 m 해발고도) 등 각기 다른 지형 및 지리적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강원 지역의 장기 겨울철 강수 및 강설 변화의 경향 분석 (Long-term Changes in Wintertime Precipitation and Snowfall over Gangwon Province)

  • 백희정;안광득;주상원;김윤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9-123
    • /
    • 2017
  • The effects of recent climate change on hydrological systems could affect the Winter Olympic Games (WOG) because the event is dependent on suitable snow and ice conditions to support elite-level competitions. We investigate the long-term variability and change in winter total precipitation (P), snowfall water equivalent (SFE), and ratios of SFE to P during the period 1973/74~2015/16 in Gangwon province. The climatological percentages of SFE relative to winter total precipitation were 71%, 28%, and 44% in Daegwallyeong, Chuncheon, and Gangneung, respectively. The winter total P, SFE, and SFE/P has de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although significant increases of winter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were detected at a 95% confidence level. Notably, a significant negative trend of SFE/P at Daegwallyeong in February, the month of the WOG, was attributable to a larger decrease in SFE related to the increases i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Winter wet-day minimum temperatures were warmer than climatological minimum temperatures averaged over the study period. The 20-year return values of daily maximum P and SFE decreased in Yongdong area. Since the SFE/P decreas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probability of rainfall rather than snowfall can increase if global warming continues.

2017-2022년 남한지역 레이더 및 지상 강수 자료를 이용한 인공강우 항공 실험 가능시간 분석 (Analysis of Available Time of Cloud Seeding in South Korea Using Radar and Rain Gauge Data During 2017-2022)

  • 노용훈;장기호;임윤규;정운선;김진원;이용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57
    • /
    • 2024
  • The possible experimental time for cloud seeding was analyzed in South Korea. Rain gauge and radar precipitation data collected from September 2017 to August 2022 in from the three main target stations of cloud seeding experimentation (Daegwallyeong, Seoul, and Boryeong)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ssumption that rainfall and cloud enhancement originating from the atmospheric updraft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cloud seeding experiment was applied. First, monthly and seasonal means of the precipitation duration and frequency were analyzed and cloud seeding experiments performed in the past were also reanalyzed.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xperiments were possible during a monthly average of 7,025 minutes (117 times) in Daegwallyeong, 4,849 minutes (81 times) in Seoul, and 5,558 minutes (93 times) in Boryeong, if experimental limitations such as the insufficient availability of aircraft is not considered. The seasonal average results showed that the possible experimental time is the highest in summer at all three stations, which seems to be owing to the highest precipitable water in this period. Using the radar-converted precipitation data, the cloud seeding experiments were shown to be possible for 970-1,406 hours (11-16%) per year in these three regions in South Korea. This long possible experimental time suggests that longer duration, more than the previous period of 1 hour, cloud seeding experiments are available, and can contribute to achieving a large accumulated amount of enhanced rainfall.

재배지 고도에 따른 무 품종별 설포라판, 총페놀함량 및 항산화 특성 (Sulforaphane and Total Phenolic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adish according to Genotype and Cultivation Location with Different Altitudes)

  • 임주성;이응호;이종남;김기덕;김화영;김명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335-342
    • /
    • 2010
  • 무 13종을 고도가 다른 3지역(강릉-해발5m, 진부-해발550m, 대관령-해발 750m)에서 재배하여 설포라판함량, 총페놀함량,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설포라판함량은 재배지역과 품종에 따라 0.1-$120.5{\mu}g{\cdot}g^{-1}$의 큰 차이가 있었으며 재배지역($P{\leq}0.001$), 품종($P{\leq}0.001$), 그리고 두 요소의 교호작용($P{\leq}0.01$)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관령에서 재배된 무 품종들은 다른 두 지역보다 설포라판함량이 높았으며, 품종들 중에는 검정무(근부, $107.8{\mu}g{\cdot}g^{-1}$)와 푸른무(엽부, $120.5{\mu}g{\cdot}g^{-1}$)가 가장 높았다. 총페놀함량은 근부의 경우 품종별($P{\leq}0.001$) 큰 차이가 있었으며, 품종 및 지대의 교호작용($P{\leq}0.01$)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으나, 지역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엽에서는 근부와 달리 지역($P{\leq}0.01$)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품종별($P{\leq}0.001$) 그리고 지대와 품종의 교호작용($P{\leq}0.001$)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전자공여능으로 분석한 항산화능은 재배지대와 품종, 그리고 두 요소의 교호작용에 의해 차이가 났다. 한편, 주요 시식부위인 무의 근부에서 총페놀함량과 항산화능의 상관성은 매우 높은 정의 상관(Pearson's r=0.897)을 보였으나 설포라판과 총페놀함량 및 설포라판과 항산화능은 상관성이 낮았다. 본 연구에서 무는 일반식품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의 원료로도 가치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건강기능성을 목적으로 한 무의 생산을 위해서는 품종과 재배지대의 선택이 중요하며, 지대가 높은 고랭지가 유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