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VB-T2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3초

데이터 재사용기반 DVB-T2 등화 성능 개선 (Improved Equalization Performance for DVB-T2 based on Data Reuse)

  • 강은수;한동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9권8호
    • /
    • pp.33-38
    • /
    • 2012
  • 본 논문은 DVB-T2 시스템에서 잡을 효과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등화 알고리즘이 제안한다. 제안알고리듬은 동일한 시간영역 OFDM 심볼 내에서 신호 구간 선택을 달리하여 예측한 채널응답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를 평균하여 성능을 개선한다. 컴퓨터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알고리듬의 성능을 기존 알고리듬과 비교 평가한다.

DVB-T2 기반으로 지상파 UHDTV방송과 직접수신환경 구축 연구 (The Research on the UHDTV Broadcasting and Construction of Direct Reception Environment with the DVB-T2 Base)

  • 박성규;박구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7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HDTV와 3DTV보다 4배 이상 초고화질의 UHDTV와 Full-HD급 3DTV 등 지상파에서의 차세대방송 구현 가능성을 DVB-T2 전송방식과 HEVC 압축방식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4K 혹은 8K-UHDTV 대용량 데이터전송을 위하여 일본과 여러 나라에서 새로운 전송기술을 연구 중이지만 여기서는 현재 상용화된 기술 중 DVB-T2 전송기술을 중심으로 자료를 통하여 가능성을 알아본다. 지상파방송 디지털전환에 이어 또다시 차세대방송을 위한 전환의 성공조건으로 UHDTV와 3DTV전송도 중요하지만 시청자 직접수신과 실내수신 및 언제 어디서나 자유로운 수신환경 제공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주파수 활용과 수신능률 향상을 위하여 VHF대역과 UHF 700MJHz대역 등 2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SFN 송출망의 효과를 제시하고, 소출력 Gap Filler 및 가정용 SFN Gap Filler를 활용한 자유로운 수신환경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 PDF

DVB T2 기반 고정 및 이동 방송 융합형 3D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그널링 연구 (A Study on Signaling for Providing DVB T2 Based Fixed and Mobile Hybrid 3DTV Services)

  • 이주영;김성훈;김휘용;최진수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22
    • /
    • 2014
  • 3D 방송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주파수 효율성을 극대화한 방식인 고정 및 이동 방송 융합형 3DTV 방송 방식이 북미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고정 및 이동 방송 융합형 3DTV 방송 방식은 기존의 고정 방송 및 이동 방송망을 활용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스트림을 전송하는 방식이며, 3D 방송서비스 제공을 위해 별도의 주파수 할당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높은 주파수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SC의 고정 및 이동 방송 규격과 DVB T2의 고정 및 이동 방송 규격의 차이를 시그널링 정보 전송 관점에서 분석하고 고정 및 이동 방송 융합형 3DTV 서비스를 DVB T2 방송환경에서 제공하기 위한 시그널링 방식을 제안한다.

  • PDF

DVB-T2 수신기를 위한 BICM 모듈의 DSP 구현 (A DSP Implementation of the BICM Module for DVB-T2 Receivers)

  • 이재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91-59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유럽형 방송 시스템인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Second Generation Terrestrial) 수신기의 핵심블록인 BICM(Bit Interleaved Coded Modulation) 모듈의 구조를 설계하고 DSP(Digital Signal Processor) TMS320C6474를 통해 구현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8비트 이상을 사용하는 고정소수점 BICM 모듈이 부동소수점 BICM 모듈과 거의 동일한 BER(Bit Error Rate) 성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유럽형 디지털 지상파 방송 서비스와 스펙트럼 인지 기반 개인/휴대형 TVBD와의 간섭분석 (Interference Analysis of the European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ing Service and the Personal/Portable TVBD based on Spectrum Cognition)

  • 최주평;장형민;이원철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7
    • /
    • 2012
  • 본 논문은 TV 화이트 스페이스(TV white space) 대역에서 1차 우선 사용자인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 - Second Generation Terrestrial) 차세대 유럽형 방송 서비스와 스펙트럼 인지 기능이 탑재된 IMT-Advanced LTE 기반 개인/휴대용 TVBD(TV Band Device) 무선기기와의 공존 가능성 파악을 위해 간섭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유럽에서 적용되는 DVB-T2와 TVBD 각각에 대해 방사 및 블로킹 마스크, 안테나 높이 및 이득, 전송전력 및 대역폭, 송수신 링크에 대한 채널모델을 적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DVB-T2의 인접채널에서 동작 가능한 TVBD 사용자의 허용가능 전송전력과 개수, 간섭환률 변화량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스펙트럼 인지 성능에 따른 허용가능 TVBD 총 개수의 변화량에 대해서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DVB-T2 기반의 UHDTV 방송을 위한 초고차 성상 변조방식의 비트 인터리버 설계 (Bit Interleaver Design of Ultra High-Order Modulations in DVB-T2 for UHDTV Broadcasting)

  • 강인웅;김영민;서재현;김흥묵;김형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4호
    • /
    • pp.195-205
    • /
    • 2014
  • UHDTV(ultra-high definition television)가 초고해상도 방송 서비스를 지향하는 차세대 방송 서비스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상용 방송 시스템으로 UHDTV의 요구 전송량을 온전히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초 고차 성상을 이용한 전송량 증대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시스템 중에서 UHDTV 전송에 가장 적합한 DVB-T2(Digital video broadcasting-2nd generation terrestrial) 시스템에 초 고차 변조를 적용할 경우 오류 정정부호의 부호어와 성상의 Unequal error protection을 적절히 이어주는 비트 매퍼가 필요하다. DVB-T2 시스템의 비트 매퍼는 비트 인터리버와 비트-셀 역다중화기로 나누어져 있으며, 두 가지 블록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비트 인터리버 설계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여 UHDTV 시스템에 적용될 초 고차 성상의 비트 인터리버 설계 방법론에 대한 정립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DVB-T2의 비트 인터리버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1024-QAM과 4096-QAM의 비트 인터리버를 제안된 설계 방법을 통하여 설계하였다.

이중 편파 MIMO를 쓰는 DVB-T2 시스템의 비트 매퍼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Bit Mapper of the Dual-Polarized MIMO DVB-T2 System)

  • 강인웅;김영민;서재현;김흥묵;김형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A권9호
    • /
    • pp.817-825
    • /
    • 2013
  • 초고해상도의 비디오와 다채널 오디오를 통한 극사실적인 방송 서비스를 지향하는 UHDTV (Ultra-High Definition TeleVision)가 차세대 방송 표준으로 논의되고 있으나 기존의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률이 UHDTV 방송 서비스의 요구 전송률에 크게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새로운 지상파 방송 시스템의 개발 또는 현재 시스템의 전송률 증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DVB-T2 (Digital Video Broadcasting-2nd generation Terrestrial) 시스템에 고차 성상 변조 및 이중 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다중 입출력 시스템을 적용하여 데이터 전송량을 증가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정규 LDPC (Low-Density Parity Check) 부호를 사용하는 DVB-T2에 기반한 다중 입출력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다중 입출력 시스템을 위한 최적의 비트 매퍼 설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비트 매퍼 설계는 단일 입출력 시스템에 대해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중 입출력 시스템의 위한 최적의 비트 매퍼를 설계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 이중 편파 다중 입출력 시스템의 VND (Variable Node Degree) 분포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새롭게 정의하고 정의된 파라미터에 따른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분석하였다.

DVB-H 수신기의 전력소모감소를 위한 동기화 기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ynchronization Techniques for Power Saving of DVB-H Terminal)

  • 남승우;손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4-181
    • /
    • 2005
  • 이 논문은 DVB-H수신기의 전력소모를 줄이면서도 채널에 강건한 새로운 동기 방법을 제안하였다. DVB-H시스템에서는 수신기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Time-Slicing방법을 사용하는데 버스트 시간이 짧을수록 수신기의 유효동작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전력소모가 감소된다. 수신기의 유효동작시간에는 버스트를 동기화하기 위한 시간이 포함되므로 이 동기화시간을 줄이면 DVB-H수신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DVB-T에서는 채널추정에 사용되는 분산파일럿의 동기화를 위해 프레임동기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68 OFDM심볼시간이 걸렸으나 이 논문에서는 참조 OFDM심볼 네 개를 수신기에서 따로 저장하고 현재 입력되는 OFDM심볼과의 상관계수값을 구하여 높은 강건성을 유지하면서도 분산파일럿 동기화에 1 OFDM심볼시간만 소요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방식의 강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이동수신 채널환경에서 최소보호비를 구하여 기존 방식과 비교분석하였다.

DVB-H 시스템을 위한 단일 주파수 네트워크의 성능 (Performance of Single Frequency Network for DVB-H System)

  • 김주찬;이소영;김진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51-15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DVB-H 시스템의 성능측정과 적절한 단일주파수망의 셀 커버리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수행된 결과로부터 2K 전송모드가 8K 전송모드에 비하여 도플러 주파수에 강인함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단일주파수망 설계에 있어 부분적으로 응용될 수 있다.

임베디드용 멀티모드 방송 수신 모듈 및 역다중화기 설계 및 구현 (An Implementation of The Embedded-Based Multi Mode Receiver Module & Demuxer)

  • 권기원;김성준;박세호;박용석;홍석건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62-67
    • /
    • 2011
  • In this paper, Multi Mode Receiver Module is designed in one H/W module for Multi-mode Digital Broadcasting. Multi mode means Digital TV, Mobile TV and Digital Radio on the Broadcasting. and T-DMB, DAB(+), ISDB-T and DVB-T standard. Our Module can receive various broadcasting signal such as ISDB-T, DVB-T and DAB. The Multi mode Receiver Module & demuxer was implemented using the one SoC Chip has good performances to receive the multi mode signals as well as standard interface such as SPI, to connect the main CPU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