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T40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5초

소형(小型)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의 포장작업성능(圃場作業性能)에 관한 연구(硏究) (Field Performance of a Miniature Power Tiller)

  • 김홍윤;최규홍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1호
    • /
    • pp.15-27
    • /
    • 1981
  • 극소형(極小形) 동력경운기(動力耕耘機)(3.5PS:KC-450)의 포장작업성능(圃場作業性能)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고 이에 대(對)한 이용범위(利用範圍)를 결정(決定)하고저 1980년(年) 3월(月)부터 1980년(年) 10월(月)까지 안성읍(安城邑) 석정동(石井洞)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8PS(DT-85), 5PS(DT-40) 경운기(耕耘機)와 대비(對比)하여 耕耘(경운), 쇄토(碎土), 배토작업(培土作業)에 대(對)한 포장작업성능(圃場作業性能)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다음과 같다. 변속단수별(變速段數別) 작업능률(作業能率)과 포장작업(圃場作業) 효율비교(效率比較) 시험(試驗)에서는 1. 작업속도(作業速度)가 0.9m/sec일때 KC-450기(機)의 이경작업능률(犁耕作業能率)은 125분(分)/10a 무료 DT-85기(機)보다 26분(分)/10a 정도(程度)낮았다. 2. 작업속도(作業速度)를 1m/sec로 이경작업(犁耕作業) 할때에 KC-45기(機)의 포장작업성능(圃場作業性能)은 82%로 DT-85기(機)보다 5% 높았다. 3. 동일(同一) 작업속도(作業遠度)의 쇄토작업(碎土作業)에 있어서 작업능률(作業能率)은 DT-40기(機)와 DT-85기(機)가 높았고 포장작업효율(圃場作業效率)은 KC-450기(機)와 DT-40기(機)가 높았다. 4. 동일(同一) 작업속도(作業遠度)의 배사작업(培士作業)에 있어서 공시기(供試機) 모두 작업능률(作業能率)은 별차이(別差異)가 없었고 포장작업효율(圃場作業效率)은 KC-450기(機), DT-40기(機), DT-85기(機)의 순(順)으로 높았다. 구획규모별(區劃規模別) 작업능력(作業能力) 비교(比較) 시험(試驗)에서는 5. 구획(區劃) 면적(面積)이 클수록 작업능률(作業能率)은 공(共)히 향상(向上)되나 구획면적(區劃面積)이 8a이하(以下)에서는 KC-450기(機)가 작업능력면(作業能力面)에서나, 포장효율면에서 보다 유리(有利)하였다. 작업심도별(作業深度別) 작업능률(作業能率)은 비교(比較) 시험(試驗)에서는 6. DT-85로는 심경(深耕)의 능률적(能率的)인 중작업(重作業)에 유리(有利)하였고 KC-450기(機)는 경심(耕深) 12cm의 모든 작업(作業)에서 운전조작(運轉操作)이 용이(容易)하고 포장작업효율(圃場作業效率)이 타기종(他機種)에 비(比)하여 높았다. 7. 이하(以下)의 결과(結果)로 KC-450기(機)는 채소원예(菜蔬園藝), 약초(藥草), 연초(煙草), 비닐하우스등(等)의 소구획(小區劃), 소규모(小規模) 농작업(農作業)에 신기종(新機種)으로 개발(開發)이 요망(要望) 된다고 사료(思料)된다.

  • PDF

H.264/AVC에서 3차원 변환에 기반을 둔 효율적인 동영상 압축 방법 (The Efficient Coding Tools based 3-Dimensional Transform in H.264/AVC)

  • 조재규;조혜정;이진호;정세윤;안창범;오승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34-4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H.264/AVC에서 사용하는 정수형 변환을 $4{\times}4$ 블록 단위로 적용하고 인접 네 개의 $4{\times}4$ 블록의 같은 주파수 위치의 계수값을 모아서 추가로 $4{\times}1$ 블록 단위로 1차원 변환하는 3차원 변환(3DT : Dimensional Transform)을 기반으로 부호화 방법을 통합한 환경인 3DTE(3DT Environment)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 사용하는 변환인 3DT는 H.264/AVC가 가지는 예측오차를 유지하면서 인접블록 간에 남아있을 공간적 중복도를 추가로 줄일 수 있고 이와 같은 특성에 적합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JM11.0과 비교 실험했을 때 대표적인 시험 시퀀스에 대하여 High profile 환경에서 평균적으로 약 3.58% 정도의 비트율 절감을 얻었다. 특히 HD급과 같이 해상도가 높은 영상에서 평균 약 5.40% 정도의 높은 비트율 절감을 보였다.

Data Technology and Knowledge-based Six Sigma

  • Park, Sung H.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4권1호
    • /
    • pp.40-45
    • /
    • 2003
  • A new term Data Technology (DT) is defined, and its roles in modern technology are explained. Next, knowledge-based Six Sigma (KBSS) is proposed, and how the methodologies how it can be implemented in industry are suggeste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DT and KBSS Is commented.

Changes in Apoptosis-related Gene Expression Induced by Repression of FGFR1 by RNA Interference in Embryonic Fibroblasts and Cancerous Cells from Chicken

  • Lee, Sang-In;Lee, Bo-Ram;Hwang, Young-Sun;Rengaraj, Deivendran;Han, Jae-Y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6호
    • /
    • pp.521-527
    • /
    • 2010
  •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1 (FGFR1) plays roles in angiogenesis, wound healing, and embryonic development via the reg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survival. It is well known that ectopic expression of FGFR1 is associated with cancer development. To characterize the function of FGFR1 in the normal and cancer cell lines DF-1 and DT40, respectively, we performed FGFR1 knockdown by RNA interference. In the DT40 cells, FGFR1 knockdown induced upregulation of FGFR2 and FGFR3 expression, downregulation of pro-apoptosis-related genes, and upregulation of anti-apoptosis-related genes. However, in DF-1 cells, FGFR1 knockdown induced upregulation of pro-apoptosis-related genes and downregulation of anti-apoptosis-related genes. Our data suggest that repression of FGFR1 induced upregulation of other FGF receptors and anti-apoptosis-related genes in cancer cells and pro-apoptosis-related genes in normal cells.

아시아 동양인들의 비정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tropia in Asian Population)

  • 이영일;홍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7-81
    • /
    • 2008
  • 목적: 서울 종로구 A 안경원에 방문한 21~30세의(남자: 39명, 여자: 53명) 일본 및 중국 등과 같은 아시아계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비정시의 정도와 굴절이상을 분석하였다. 방법: 타각적, 자각적 시력검사를 시행하여 굴절이상상태를 연구 조사하였다. 결과: 총 검사안 184중 근시는 83.16%, 정시는 16.84%로 나타났다. 비정시안에서 경도근시는 전체 40.53%이었고, 가장 많은 수의 중도근시는 51.63%이었고, 고도근시는 7.85%이었다. 난시안 중에서 근시성 직난시는 46.67%, 근시성 도난시는 35.56%, 근시성 사난시는 17.77%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의 평균 동공중심간 거리는 64.5${\pm}$2.9 mm와 61.9${\pm}$2.3 mm로 남성이 여성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 안경사들이 아시아계 동양인들의 시력검사 및 렌즈를 처방할 때에도 여러 가지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장치의 영상획득 조건에 따른 화질 분석 (Analysis of Image Quality According to Imaging Parameters in Digital Tomosynthesis)

  • 이다혜;이승완;김번영;임도빈;남기복;조정효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77-486
    • /
    • 2020
  • 본 연구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장치에서 재구성 필터, X-선원 이동궤적 및 이동간격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임상적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필터링후역투영법 재구성 시 Ramp, Shepp-Logan, Cosine, Hamming, Hann 및 Blackman 필터를 사용하였고, X-선원 이동궤적의 변화를 위해 1 × 36, 2 × 18, 3 × 12, 4 × 9 및 6 × 6 배열 형태의 이동궤적을 모사하였다. X-선원 이동간격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X-선원간 거리를 5, 10, 20, 30 및 40 mm로 변화시켰다. 재구성 영상의 깊이분해능, 공간분해능 및 잡음을 평가하기 위해 인공물확산함수, 반치폭 및 신호대잡음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Ramp 및 Blackman 필터를 사용하였을 때 각각 공간분해능 및 잡음 특성이 최대화 되었으며, X-선원 이동궤적의 형태가 1 × 36일 때 깊이분해능과 잡음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X-선원 이동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깊이분해능 및 잡음 특성은 향상되었고, 공간분해능은 저하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장치를 통한 3차원 영상획득 시 재구성 필터, X-선원 이동궤적 및 이동간격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은 각기 다르며, 진단 목적에 부합하는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7-Dimensional Telescope (7DT) for multi-messenger astronomy

  • Im, Myungshin;Lee, Hyung Mok;Jung, Jae-Hun;Kim, Chunglee;Shafieloo, Arman;Uhm, Z. Lucas
    • 천문학회보
    • /
    • 제46권2호
    • /
    • pp.52.4-52.4
    • /
    • 2021
  • The 7-dimensional Telescope (7DT) is an innovative multiple telescope system that can perform a rapid identification of optical counterparts of gravitational-wave (GW) sources and a wide variety of other astronomical projects. This telescope is being developed as a part of the recently approved National Challenge program, the GW Universe project, with a full operation planned at the end of 2023. The word 7-dimension stands for x, y, z positions, the radial velocity, the time, the wavelength, and the flux of astronomical sources, implying the telescope's capability of performing time-series wide-field, IFU-type spectroscopic observations. The 7DT is composed of about twenty 0.5-m wide-field telescopes, and it can obtain spectral-imaging data at 40 different wavelengths to the depth of 20 AB mag with 3 min exposure for a given epoch. In this talk, we will introduce the telescope system, and outline its scientific capabilities with an emphasis on multi-messenger astronomy and a few other key science topics.

  • PDF

벽면충돌분무에 관한 수치해석 (A Study of Numerical Analysis on Wall Impinging Spray)

  • 염정국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28
    • /
    • 2013
  • Phenomenon of droplet impingement with high temperature wall needs to be investigated because atomization process of droplet and cooling process of the wall by the impingement are very important in industry, thus studies concerned with temperature of piston wall have been conducted in spray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iesel engine. Hence, in this study, we defined $DT_{sat}(=T_w-T_{sat})$ superheat degree of the wall by difference between $T_w$ considering surface temperature of piston in the actual engine and $T_{sat}$ saturation temperature of the fuel and then investigated spray behavior of wall impinging with variance of the boiling process.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wall impingement of droplet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 of boiling condition, calculational conditions were set as $DT_{sat}=40K$(nucleate boiling), $DT_{sat}=140K$(transition boiling), and $DT_{sat}=240K$(film boiling). As a result, it can be found that fuel vapor increases and droplet mass decreases in the order of the nucleate boiling, transition boiling, and film boiling.

알루미늄 분체의 폭발위험성과 화염전파속도 (Explosion Hazards and Flame Velocity in Aluminum Powders)

  • 한우섭;이수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3
    • /
    • 2012
  • 알루미늄 분진폭발특성에 미치는 입경과 농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20 L 구형 분진폭발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알루미늄 분진의 체적 평균 입경은 15.1 및 $34.8{\mu}m$이다. 실험결과, 평균 입경 $15.1{\mu}m$에서의 폭발하한농도(LEL)는 $40g/m^3$, 최대폭발압력($P_{max}$)은 9.8 bar, 폭발압력상승속도는 ($[dP/dt]_{max}$)는 1852 bar/s이었으며, 평균입경 $34.8{\mu}m$의 경우에는 LEL이 $70g/m^3$, $P_{max}$는 7.9 bar, $[dP/dt]_{max}$는 322 bar/s가 얻어졌다. Al분진의 폭발하한농도는 입경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평균입경 $15.1{\mu}m$에서의 Al분진폭발압력으로부터의 화염전파속도의 계산값은 평균입경 $34.8{\mu}m$의 경우보다 5배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흙 수로에 대한 삼수손실량 추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Seepage Losses in Earth Channel)

  • 정하우;유한열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853-2877
    • /
    • 1973
  • Models of cross-sections and channels were made in order to measure seepage losses. Cross-sections were made of sand, sandy clay loam and loam, their thicknesses being 30cm and 40cm, respectively. Flow depths kept in the cross-sections were 4cm, 6cm, 8cm and 10cm. Straight and curved channel models were provided so as to measure seepage losses, when constant water depths maintained at the heads of the channels were 7.3cm and 5.7cm,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experiment are presented as follows: 1) A cumulative seepage loss per unit length at a point in the channel varies in accordance with time and flow depth. The general equation of cumulative seepage loss may be as follows(Ref. to Table V.25): $$q_{cum}=\int_{o}^aq(a)dt+\int_a^bq(b)dt+\int_b^tq(c)dt$$ 2) In case that the variation of water depth through the channel is slight, the total seepage loss may be computed by applying the following general equation: $$\={q}_{cum}{\cdot}x=\int_o^tq_{cum}\frac{{\partial}x}{{\partial}t}dt$$ 3) Because seepage loss varies considerably according to water depth in case that the variation of flow depth through the channel is great, seepage loss should be computed by taking account of the change of flow depth. 4) The relation between time and traveling distance of water flow may be presented as the following general equation(Ref. to Table V.29): $$x=pt^r$$ 5) The ratios of the seepage losses of the straight channel to the curved channel are 1:1.03 for a flow depth of 7.3cm and 1:1.068 for that of 5.7cm. 6) The ratios of the seepage losses occurring through the bottom to those through the inclined plane in the channel cross-section are 1:2.24 for a water depth of 8cm and 1:2.47 for a depth of 10cm in case that soil-layer is 30cm in thickness. Similarly, those ratios are 1:2.62 and 1:2.93 in case of a soil-layer thickness of 40cm(Ref. to Table V.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