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SM

검색결과 1,145건 처리시간 0.024초

객체지향 종속 추적 및 체크포인팅(checkpointing)을 이용한 복구 가능한 분산 공유 메모리 시스템 (Recoverable Distributed shared Memory Systems Using Object-Oriented Dependency Tracking and Checkpointing)

  • 김재훈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476-484
    • /
    • 1999
  • 메시지 전달 방식으로 노드간 통신을 하는 분산 시스템의 고장허용을 위하여 메시지 저장과 체크 포인팅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복구 가능한 분산 공유메모리 시스템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 또한 메시지 전달 방식에서 사용되었던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메시지 전송시스템과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의 근본적인 차이(함수전달(function shipping)과 데이터전달(data shipping)의 차이) 때문에 메시지 전달 시스템에서 사용되었던 방식이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에 항상 적합하게 사용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복구 가능한 분산공유메모리 시스템을 위하여 객체지향방법을 제안하였다. 프로세스간 종속 추적대신 페이지간 종속 추적을 이용한 체크 포인팅 및 복구 가능한 전략을 분산 공유 메모리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 PDF

CONSTRUCTABILITY IMPLEMENTATION MODEL USING DEPENDENCY STRUCTURE MATRIX

  • Youngjib Ham;Moonseo Park;Hyun-Soo L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550-555
    • /
    • 2011
  • Utilizing construction knowledge and experiences in design phase can reduce change orders and improve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phase. To do so, information must be made available to the design team in time. Current approache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constructability knowledge, however, only focus on the formalization of constructability knowledge such as a checklist, which lacks the consideration of the appropriate use at the proper point in time. The inadequate use of constructability knowledge can result in unnecessary reworks. To deal with this problem, the design team needs to know what constructability knowledge is required for specific design activities in the design process. This paper presents a constructability implementation model using the dependency structure matrix (DSM) that focuses on information flows between design activities and constructability knowledge. For this objective, design activities in the design process are modeled in a matrix form based on their dependency. Then, constructability knowledge,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stage, is mapped into activities and incorporated into the matrix, creating Constructability-DSM (C-DSM). Next, the partitioning algorithm is applied to C-DSM for optimal information flow. The Partitioned C-DSM is then analyz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Finally, the optimal utilization of construction knowledge in the design process is determined by identifying what constructability knowledge is required for each design activity, and how and when it is reflected to design for constructability. Thus, this research can help provide robust control actions to reduce unnecessary iterative cycles in design process for efficient constructability implementation.

  • PDF

3차원 거리정보와 DSM의 정사윤곽선 영상 정합을 이용한 무인이동로봇의 위치인식 (Localization of Unmanned Ground Vehicle based on Matching of Ortho-edge Images of 3D Range Data and DSM)

  • 박순용;최성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권1호
    • /
    • pp.43-5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야지 환경에서 동작하는 무인이동로봇에서 획득한 3차원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정보와 로봇이 이동하는 지형의 3차원 DSM (Digital Surface Map)에서 정사윤곽선(Ortho-edge) 특징영상을 생성하고 정합하여 로봇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최근의 무인이동로봇의 위치 인식에 대한연구는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LIDAR 등의 위치인식 센서를 융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LIDAR에서 획득한 거리정보를 ICP(Iterative Closest Point) 기반의 기하정합으로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로봇에서 획득한 센서 정보는 DSM의 센싱 방향과 큰 차이차이가 있어 기존의 기하정합 기술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센싱 방향에서 획득한 3차원 LIDAR 거리정보와 DSM에서 정사윤곽선이라는 특징 영상을 생성하고 이들을 정합하여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한다. DSM으로부터 현재 시점의 정사윤곽선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전방향 LIDAR 거리센서에서 정사윤곽선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그리고 정사윤곽선 영상의 정합 기술을 설명하였다. 실험에서는 다양한 주행 경로에 대한 위치 추정의 오차를 분석하고 제안 기술의 성능의 우수성을 보였다.

평균필터기반 항공레이저측량 자료의 지면정보 추출기법 (Extracting Ground Information from Airborne Laser Scanning Data based on Mean Filtering Method)

  • 최연웅;이근상;채효석;조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61-70
    • /
    • 2005
  •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은 레이저펄스가 투과하지 못하는 건물지역에서는 DEM을 구축하기 위해 원시 DSM 자료로부터 건물 등의 지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레이저측량을 이용하여 구축한 DSM 자료로부터 다양한 크기의 평균필터를 적용하였으며, 표준편차 변화율을 분석하여 $39{\times}39$를 최적의 필터크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최적필터를 적용하여 분석한 DEM과 항공레이저측량 원시 DSM 자료를 상호 비교함으로서 표준오차 ${\pm}0.065m$를 확보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균필터기법이 경사가 완만한 도시지역내 DEM을 추출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위성영상으로 DSM을 생성하기 위한 SGM Cost의 비교 (Comparison of SGM Cost for DSM Generation Using Satellite Images)

  • 이효성;박순용;권원석;한동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73-479
    • /
    • 2019
  • 본 연구는 ISPRS (International Society for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에서 제공하는 스페인 Terrassa 지역의 WorldView-1 고해상도 스테레오 위성영상으로부터 DSM (Digital Surface Model) 제작을 위해 SGM을 적용하였다. SGM (Semi Global Matching)은 스테레오 영상에 대한 매칭 Cost를 여러 방향에서 계산하고, 계산된 Cost를 순차적으로 누적시킨 후, 누적된 Cost의 최소(또는 최대) 값에 해당하는 시차를 계산하는 영상매칭 알고리즘이다. SGM 적용을 위한 Cost는 MI (Mutual Information, NCC (Normalized Cross-Correlation), CT (Census Transform)를 적용하였으며, 각각의 Cost별 DSM에서 지형지물의 외곽선 표현결과 정확도와 그 성능을 제시하였다. 사용 영상과 실험 대상지역을 토대로, CT Cost 결과 정확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외곽선 표현 또한 가장 선명하게 묘사되었다. 아울러 SGM 방법은 기존 소프트웨어에 비해 보다 세밀한 외곽선을 표현한 반면 수계지역에서는 많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ADHD 변증 유형별 부주의 및 과잉행동-충동성 증상 특징 연구 (Pattern Characteristics of Symptoms for ADHD in Korean Medicine)

  • 김락형;안윤영;김미연;정민정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8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characteristics of symptoms for ADH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tern identifications in TKM and TCM and three presentations of ADHD defined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DSM-5). Methods The pattern characteristics of symptoms for ADHD from the 13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s were analyzed. ADHD symptoms of each pattern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symptoms of inattention, hyperactivity-impulsivity and others.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for ADHD in Traditional Medicine were compared with three presentations of ADHD defined in DSM-5. Results 1. The pattern of dual deficiency of the heart and spleen (心脾兩虛) showed predominant symptoms of inattention and rarely showed those of severe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This characteristic of ADHD can be related to the predominantly inattentive presentation in DSM-5. 2. The pattern of phlegm-fire harassing the heart (痰火擾心), and the pattern of deficiency of liver-yin and kidney-yin (肝腎陰虛), frequently showed symptoms of hyperactivity-impulsivity compared with those of inattention. This characteristic of ADHD can be related to the predominantly hyperactive-impulsive presentation in DSM-5. 3. The pattern of spleen weakness and liver energy preponderance (脾虛肝旺) frequently showed both symptoms of hyperactivity, and this characteristic of ADHD can be related to the combined presentation in DSM-5.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presentations of ADHD defined in DSM-5 and the pattern identifications of ADHD in TKM and TCM.

발달지체 진단에서 CBCL 1.5-5 유아행동평가척도-부모용의 변별력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CBCL 1.5-5 in Diagnosis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 하은혜;김서윤;송동호;곽은희;엄소용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2권2호
    • /
    • pp.120-127
    • /
    • 2011
  •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discriminant validity and the clinical cutoff score of Child Behavior Checklist 1.5-5 in the diagnosis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Methods:The participants were screened by Denver II which includes 156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288 normal infants. Chi-squared test, t-test, ROC curve analysis, odds ratio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data. Results:Only 47 items out of 99 items among the CBCL 1.5-5 of total groups, 36 items of boys and 48 items of girls, discriminated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well.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by mean differences on the subscales of Withdrawn, Sleep Problems,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Total Problems,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and DSM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Problems between the two groups. Additionally, ROC analyses demonstrated that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significantly predicted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compared to normal infants. Also, the clinical cutoff score criteria adopted in the Korean CBCL 1.5-5 for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were shown to be valid. Conclusion:The subscales of Withdrawn, Attention Problems, Internalising Problems, Total Behavior Problems and DSM 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significantly discriminated in the diagnosis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well.

DSMS에서 영역을 포함하는 공간 연속질의 처리를 위한 R-tree기반의 집계기법 (Aggregation Method using R-tree for Spatial Continuous Query in DSMS)

  • 김상기;이연;이동욱;오영환;배해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C)
    • /
    • pp.80-84
    • /
    • 2008
  • DSMS는 USN과 같은 환경으로부터 스트림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아 등록된 연속질의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DSMS는 등록된 연속질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버퍼에 관리하며, 스트림데이터의 저장기법에 따라 연속질의 처리 성능 및 버퍼 저장비용이 개선될 수 있으며, DSMS에서 연속질의는 특정 스트림데이터에 대해 일정한 기간 동안의 평균 값, 최대 소 값, 누적 값 등의 집계 연산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DSMS에서는 이러한 집계 연산이 필요한 연속질의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LINT, BINT등의 자원 공유 집계 처리기법이 제안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자원공유 집계 기법들은 위치 값을 포함하는 GeoSensing 데이터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DSMS에서 공간영역질의 기반의 연속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R-tree기반의 집계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각각의 연속질의에 포함된 공간 영역을 R-tree 인덱스로 구성하고, 연속질의에 필요한 공간 스트림데이터에 대한 집계값을 저장하여 연속질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안기법은 공간 DSMS에서 공간영역 기반의 연속질의 처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R-tree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데이터 만을 버퍼에 관리하여 저장비용을 줄일 수 있다.

  • PDF

협업을 위한 XMDR-DSM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XMDR-DSM System Design for Cooperative)

  • 문석재;정계동;최영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5호
    • /
    • pp.701-714
    • /
    • 2009
  • 서비스 기반의 전사적 데이터 통합은 기업 변화의 가속화에 따른 통합적인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다. 기업 간 협업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분산된 데이터베이스들에 접근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근은 글로벌 쿼리 기반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이기종간의 상호운용을 위해서 데이터 이질성, 스키마 이질성, 유효성 검증과 같은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협업은 동적이면서 신뢰성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협업을 위한 XMDR-DSM(eXtended MetaData Registry-Data Service Mediator) 시스템을 제안한다. XMDR-DSM은 XMDR-DS와 XMDR-DQP, XMDR-DAI로 구성되어 글로벌 스키마와 로컬 스키마간의 매핑을 지원해주고, 데이터 접근 및 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기종 데이터베이스 상호간의 업무 지원이 가능하게 하고, 정보를 재활용 가능한 자산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점과 교환의 표준화를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플로우 기반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원화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보 수명을 증대하고 비용절감을 할 수 있게 된다.

Development of a Beam Source Modeling Approach to Calculate Head Scatter Factors for a 6 MV Unflattened Photon Beam

  • Park, So-Yeon;Choi, Noorie;Jang, Na Young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32권4호
    • /
    • pp.137-14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head scatter factor (Sc) by applying a developed multi-leaf collimator (MLC) scatter source model for an unflattened photon beam. Methods: Sets of Sc values were measured for various jaw-defined square and rectangular fields and MLC-defined square fields for developing dual-source model (DSM) and MLC scatter model. A 6 MV unflattened photon beam has been use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a 0.125 cm3 cylindrical ionization chamber and a mini phantom. Then, the parameters of both models have been optimized, and Sc has been calculated. The DSM and MLC scatter models have been verifi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values to the three Sc set measurement values of the jaw-defined field and the two Sc set measurement values of MLC-defined fields used in the existing modeling, respectively. Results: For jaw-defined fields, the calculated Sc using the DSM was consistent with the measured Sc value. This demonstrates that the DSM was properly optimized and modeled for the measured values. For the MLC-defined fields, the accuracy between the calculated and measured Sc values with the addition of the MLC scatter source appeared to be high, but the only use of the DSM resulted in a significantly bigger differences. Conclusions: Both the DSM and MLC models could also be applied to an unflattened beam. When considering scattered radiation from the MLC by adding an MLC scatter source model, it showed a higher degree of agreement with the actual measured Sc value than when using only DSM in the same way as in previous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