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gregation Method using R-tree for Spatial Continuous Query in DSMS

DSMS에서 영역을 포함하는 공간 연속질의 처리를 위한 R-tree기반의 집계기법

  • Kim, Sang-Ki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Li, Yan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Lee, Dong-Wook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 Oh, Young-Hwan (Dept. of Information Science, Korea Nazarene University) ;
  • Bae, Hae-Young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김상기 (인하대학교 컴퓨터 정보 공학과) ;
  • 이연 (인하대학교 컴퓨터 정보 공학과) ;
  • 이동욱 (인하대학교 컴퓨터 정보 공학과) ;
  • 오영환 (나사렛대학교 정보통신학과) ;
  • 배해영 (인하대학교 컴퓨터 정보 공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DSMS는 USN과 같은 환경으로부터 스트림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아 등록된 연속질의를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DSMS는 등록된 연속질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버퍼에 관리하며, 스트림데이터의 저장기법에 따라 연속질의 처리 성능 및 버퍼 저장비용이 개선될 수 있으며, DSMS에서 연속질의는 특정 스트림데이터에 대해 일정한 기간 동안의 평균 값, 최대 소 값, 누적 값 등의 집계 연산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DSMS에서는 이러한 집계 연산이 필요한 연속질의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LINT, BINT등의 자원 공유 집계 처리기법이 제안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자원공유 집계 기법들은 위치 값을 포함하는 GeoSensing 데이터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DSMS에서 공간영역질의 기반의 연속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R-tree기반의 집계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각각의 연속질의에 포함된 공간 영역을 R-tree 인덱스로 구성하고, 연속질의에 필요한 공간 스트림데이터에 대한 집계값을 저장하여 연속질의를 처리하는 것이다. 제안기법은 공간 DSMS에서 공간영역 기반의 연속질의 처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R-tree 기반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데이터 만을 버퍼에 관리하여 저장비용을 줄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