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method

검색결과 759건 처리시간 0.027초

시판 포도 주스의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함량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 이혜련;정보라;박주영;황인욱;김숙경;최종욱;이상한;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45-449
    • /
    • 2008
  • 국내에서 제조 및 시판되고 있는 사과를 비롯한 과일 주스 5종, 포도 주스 10종의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DPPH 방법과 FRAP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시판 과일 주스 중 오렌지의 총 페놀 함량이 114.09 nlg/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도주스 10종은 $57{\sim}205\;mg/L$의 함량으로 제품 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과일 주스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자몽이 가장 높았으며 사과, 파인애플이 낮았다. 포도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시료별로 GU4, GU5, GU9가 거의 80%정도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 FRAP방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역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유사한 결과이었다. 그리고 DPPH 및 FRAP, 총 페놀 함량 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7 이상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따라서 총 페놀 함량이 높을수록 과일 주스 제품의 항산화 활성능력이 크게 나타났다.

국내 종실류를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 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Extracted Seed Oils by Pressure Method using Domestic Seeds and Nuts)

  • 구희연;이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55-661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식물자원을 이용한 압착 오일의 화장품소재로서 항산화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4종류의 종실에서 기름을 착유하여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GCMS)로 지방산 성분 분석을 비교하고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DPPH radical scavenging과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활성을 측정하였다. 호박씨 오일, 동백씨 오일, 땅콩 오일은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열처리 후에도 고추씨 오일을 제외하고는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DPPH에서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87.84%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5.20%, 74.16%, 43.18%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은 농도 $200{\mu}{\ell}/m{\ell}$에서 76.72%의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호박씨 오일, 땅콩 오일 그리고 동백씨 오일은 $1000{\mu}{\ell}/m{\ell}$에서 각각 76.25%, 73.34%, 41.2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양성대조군인 올리브 오일과 비교하여 DPPH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 그리고 땅콩 오일이 대조군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ABTS에서는 고추씨 오일, 호박씨 오일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열처리 후 항산화 활성능력은 근소한 차이를 보여, 본 연구를 통해 4종의 오일은 화장품 용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Bacillus sp. FF-7에 의한 항산화물질 생산조건과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Produced Condi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 by Bacillus sp. FF-7)

  • 차재영;김효정;전방실;박진철;옥민;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165-170
    • /
    • 2003
  • 발효식품 시료로부터 분리된 세균을 $DPPH({\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전자공여능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활성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특성 및 165 rRNA 염기서열을 조사한결과 Bacillus sp.으로 판명되어 FF-7로 명명하였다. DPPH 전자공여능법에 의한 Bacillus sp. FF-7이 생산하는 항산화물질의 최적 생산 배지조건은 탄소원 2% galactose와 질소원 1% tryptone 첨가였다. Bacillus sp. FF-7에 의해 생성된 항산화 물질의 활성을 DPPH 전자공여능, 흰쥐 각 조직 microsomal 실험계 및 linoleic acid 과 산화지질 실험계에서 malondialdehyde를 thiobarbituric acid(TBA)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흰쥐 각 조직 microsomal 실험계에서 지질과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뇌(97.50%) >심장(79.95%) >신장(77.84%) >비장(77.47%) >고환(69.96%) >간장(62.45%) 순이였다. Linoleic acid의 과산화지질를 TBA법으로 측정한 결과 반응 4일째까지 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동시에 대조구로 사용한 0.05% BHT 첨가구에서도 실험종료시까지 항산화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FDY003의 항산화활성 및 표준화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and Standardization of FDY003)

  • 이대연;김완수;이호성;이영우;조주휘;이인희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112-1121
    • /
    • 2019
  • Objectives: FDY003 is a raw material for medicine consisting of a natural product that is expected to have the advantages of low side effects and high efficacy. In this study, we predict the efficacy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drug by method validation of anticipated index compounds and the measur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Methods: FDY003 is prepared by extracting and purifying 70% of ethyl alcohol (EtOH). The method validation of cordycepin and chlorogenic acid was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 diode array (HPLC-PDA) and the content of FDY003 was calculated. In order to monitor the biological activity of FDY003,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 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The equivalent values of antioxidants such as trolox, ascorbic acid, gallic acid, and caffeic acid were measured by ABTS and FRAP. Results: Chlorogenic acid and cordycepin were both found suitable for method validation in HPLC and FDY003 containing 9.92±0.50 and 17.97±0.27 ㎍/g, respectively. In DPPH,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value of FDY003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FDY003 confirmed antioxidant activity by ABTS and FRAP. Conclusions: FDY003 contains certain components including cordycepin and chlorogenic acid and has antioxidant ability by various mechanism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FDY003 is capable of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cancer activity.

느타리, 새송이, 팽이버섯의 용매추출에 따른 항산화활성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leurotus ostreatus (Jacq.) Que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Extracts by Different Solvent)

  • 최진희;김진성;박종대;성정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22-632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solvent extraction method [Distilled water (DW), 70% ethanol, 99% ethanol] of mushrooms, including Pleurotus ostreatus (Jacq.) Que,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and improve their usability as natural antioxidants.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ies in each mushroom,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cation radical (ABTS+) and fluorescence recovery after photobleaching (FRAP) were measured. All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DW mushroom extract (p<0.001).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P. eryngii and F. velutipes DW and 70% ethanol mushroom extracts (p<0.05). All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using DPPH and FRAP assays in the DW extraction method (p<0.001). P. ostreatus (Jacq.) Que and P. eryngii showed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DW extraction method, and F. velutipe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70% ethanol extraction method (p<0.001). As a result of comparing IC50 values of DPPH and ABTS+ radicals and FRAP EC50 values, the DW P. ostreatus (Jacq.) Que extract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p<0.001).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mushrooms (p<0.01). Therefore, extraction of the mushrooms with DW can enhance the extraction of effective bioactive substances and antioxidant activity.

모시대(Adenophora remotiflora)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Volatil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denophora remotiflora)

  • 김성향;최향숙;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9-113
    • /
    • 2007
  • 신선 및 자연건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을 SDE 방법으로 추출한 후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 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linoleic acid system과 DPPH 방법으로 유리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신선한 모시대에서 산류 4종, 알데하이드류 7종, 알코올류 12종, 에스터류 9종, 탄화수소류 23종, 케톤류 2종 및 기타 3종의 총 60종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자연건조한 모시대에서 확인된 성분은 총 72종으로 산류 6종, 알데하이드류 11종, 알코올류 14종, 에스터류 10종, 탄화수소류 25종, 케톤류 3종 및 기타 3종이었다. Linoleic acid peroxidation 억제효과를 살펴보면, BHT가 가장 높은 억제 효과가 나타났고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였을 때 신선한 모시대 추출물의 휘발성 성분의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자연건조 시료는 동일하였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모시대 휘발성 성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로 측정한 결과, BHT가 가장 높았으며 자연건조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이 ${\alpha}-tocopherol$ 보다 높은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신선한 모시대의 휘발성 성분도 ${\alpha}-tocopherol$과 같은 수준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 시료는 낮게 나타났다.

한국 전통 한 그릇 음식(비빔밥) 및 그 재료들의 항산화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Materials in a Traditional One-dish Meal (Bibimbab))

  • 김업식;윤혜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77-683
    • /
    • 2004
  • 한국 전통 한 그릇 음식인 비빔밥에 들어가는 재료로 호박(squash), 참취(frugrantedible wild aster), 표고버섯(shiitake mushroom, Cortinellus shiitake), 고사리 (roots of ballonflowers, Platycodongroundiflourum), 도라지(fornbraber) 및 당근(carrot)을 생시료, 간단 조리 및 양념 조리 한 것의 ethanol 추출물에 대한 DPPH 수소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사람의 소화기관 환경과 유사한 $pH\;1.2\~3.0$(위 환경)과 pH 6.0(장 환경)에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소공여능은 생시료, 간단조리, 및 양념조리 모두 참취가 월등히 높았고, 그 다음이 표고버섯이었다. 전반적으로 간단조리시나 양념 조리함으로써 항산화성이 향상되었다. 비빔밥을 한 그릇 음식인 김밥 및 햄버거와 비교했을 때 비빔밥>김밥>햄버거의 순으로 비빔밥의 항산화성이 월등히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p<0.05). 아질산염 소거능을 사람의 소화기관 환경과 유사한 $pH\;1.2\~3.0$(공복 시 및 비공복시 위 환경)과 pH 6.0(장 환경)에서는 비빔밥 재료들의 생시료, 간단조리 및 양념조리 시 시료간에 유의적 차가 없었으나(p<0.05), 생시료보다 간단조리나 양념조리 경우 아질산염 소거능이 약간 향상되었으며 공복환경(pH 1.2)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참취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우수하였다. 장 환경에서 시료간 조리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위한경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비빔밥을 김밥이나 햄버거와 비교시 비빔밥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위 환경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오배자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Rhus javanica Linne)

  • 차배천;이승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1-187
    • /
    • 1998
  • 인구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령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이 야기되고 있고, 이들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이들의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30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MeOH 엑스에 대한 자유라디칼소거효과 및 오배자의 분획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PPH법을 사용하여 약용식물 10종의 MeOH 엑스에 대한 1차 라디칼 소거작용 검색 시험을 한 결과 오배자, 토복령과 호장근의 MeOH 엑스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 을 나타내었으며 이중에서 오배자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1차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오배자에 대하여 오배자의 MeOH 엑스로부터 각 극성별로 분획하여 얻어진 n-Hpxane, EtOAc, BuOH, $H_2O$ 엑스에 대하여 DPPH법을 이용한 라더칼 소거작용을 시험한 결과, n-Hexane, EtOAc, BuOH 엑스가 강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3. Ferric-Thiocyana법을 이용하여 오배자의 n-Hexane, EtOAc, BuOH 및 $H_2O$엑스에 대하여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시험한 결과 오배자의 n-Hexane, EtOAc, 및 BuOH 엑스는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 및 합성 항산화제 인 BHA 보다 우수한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H_2O$ 엑스는 tocopherol 보다는 우수하고 BHA와는 유사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추출용매 조건에 따른 비파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유효성분의 분석법 밸리데이션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 김현희;허미라;이송미;임순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1-30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진 비파의 잎과 이에 비하여 연구가 미흡한 비파 어린잎에 대한 항산화 활성 등 생리활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 근거를 제공하여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비파 잎 및 비파의 어린잎을 열수, 20% 에탄올, 80%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용매 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주요성분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높았던 비파 잎 및 어린잎의 80% 에탄올 추출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94.7 mg QE/g 및 502.3 mg QE/g으로 장미과 식물과 비교해 보았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모든 추출물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비파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 $IC_{50}$ 값이 13.9와 $10.9{\mu}g/mL$로 분석되어 비파 어린잎 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비파 잎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성 화합물 중 항산화 효능이 입증된 ellagic acid와 chlorogenic acid 성분의 표준화를 위하여 HPLC-DAD를 이용하여 chlorogenic acid와 ellagic acid의 함량분석 및 분석법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결과 비파 잎 80%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비파 잎의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각종 가공식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 개발가치가 한층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식용식물의 항산화효과 검색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 조세연;한용봉;신국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3-137
    • /
    • 2001
  • 21종 식용식물의 부위별 MeOH Ex. DPPH와 TBA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DPPH를 이용한 유리라디칼 소거 효과는 참취잎, 쑥갓잎 및 머위잎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시료추출물의 buffer에 의해 유발된 과산화지질 억제효과는 참외껍질의 억제 효과 강도는 $IC_{50}$ 값이 $10\mu\textrm{g}/mL$로 매우 강하였다. $S_2O_z$로 유발시킨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0.25 mg 농도에서 L-ascorbic acid의 과산화 억제율과 비교하면 가지 잎, 머위 잎, 감자껍질의 항산화 억제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FeSO_4$로 유발시킨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쑥갓잎의 $IC_{50}$가 0.08 mg/mL로 특이적으로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