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method

Search Result 20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대추 아임계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산화방지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from Ziziphus jujuba Mill extract using subcritical water)

  • 고민정;권미리;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29-333
    • /
    • 2021
  • 아임계수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대추 추출물을 얻고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추출조건에 따른 페놀 성분 함량 변화 및 산화 방지효과를 확인하였다. 아임계수 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결과 값이 모두 메탄올 및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아임계수 추출법은 메탄올 및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 보다 추출 시간도 20분 이내로 짧았고,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아임계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과 산화방지 효과의 결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항산화 효과가 있는 페놀류가 많이 추출될수록 산화방지 효과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아임계수 추출 방법은 오직 물을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신가공기술이며 잠재성과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아임계수 추출기술은 앞으로도 다양한 유효성분 추출 및 소재 가공으로 식품 산업에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방천연물 및 약용버섯을 첨가한 조미간장소스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nt and Antibiotic Activities of Seasoned Soy Sauce added with Medicinal Mushrooms and Oriental Medicinal Plants)

  • 정엽;박소영;박시현;염은선;정우용;김수민;송효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3-41
    • /
    • 2023
  • To increas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easoned soy sauce, five kinds of oriental medicinal plant(Scutellaria baicalensis (P1), Coptis japonica makino (P2), Citriunshius pericarpium (P3), Zizyphi spinosi semen (P4), Crataegus pinnatifida(P5)) and four kinds of medicinal mushrooms(Inonotus obliquus (M1), Hericium erinaceus (M2), Phellinus linteus (M3), Lentinula edodes(M4)) were added to seasoned soy sauce. Soluble solid content, pH, salinity, total polyphenol & flavonoid contents were determined. DPPH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OD-like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were analyzed. Experimental sauces showed decreased pH but significant increases of soluble solid content and salinity.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2.76 ㎍ GAE/g in the control. However, M1 and P1 sauce had significantly higher polyphenol contents at 352.14 and 528.25 ㎍ GAE/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s content also showed the same patter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the lowest in the control at 15.75%. It was the highest at 81.80% in M1 and 68.88% in P1.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showed the same tendencies. They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As for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alyzed by the paper-disc method, the activity increased the most in P1 and P2. In particular, P2 had the strongest antibacterial activity. Its activity against different microorganisms was in the order of Staphylococcus aureus > Bacillus cereus > Escherichia coli > Salmonella typhimurium. In conclusion, these new sauces show increased antioxidative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erefore, they are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ways as a functional soy sauc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Leave Extractives of Platanus orientals L.

  • Si, Chuan-Ling;Kim, Jin-Kyu;Kwon, Dong-Joo;Park, Wan-Geun;Bae, Young-S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11-515
    • /
    • 2006
  • From the EtOAc soluble fractions of Platanus orientals Linn leaves, (+)-catechin (1), (+)-epicatechin (2), (+)-gallocatechin (3), kaempferol (4), quercetin (5), 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ide (6),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7) and tyrosol (8) were isolated. The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NMR and MS spectrometer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isolated compounds and fractions were evalu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metho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ounds 1, 2, 3, 4, 5 and EtOAc soluble fraction exhibited greater activities than ${\alpha}$-tocopherol and BHT, while compounds 6, 8 and other fractions showed low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s.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미량 성분 (Anti-oxidative Activity and Trace Component of a Sprout Serum)

  • 조완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19
    • /
    • 2010
  •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components of sprout serum were investigated. In the buds, high levels of zinc, iron and manganese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copper, magnesium, and potassium.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of sprout serum was evaluated with $IC_{50}$. $IC_{50}$ of sprout serum was $58.0\;mgmL^{-1}$, and that of vitamin C was $3.7\;mgmL^{-1}$. In the test of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y of sprout serum, the activity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serum. In this case, the $IC_{50}$ was 2.0 wt%. Cell viability was detected by using the MTT method. Cultured human fibroblast was treated with 15 mM $H_2O_2$ and cell viability was 70% in case of control. However, the effect of treating 0.5% of sprout serum was similar to that of 0.0001% of vitamin C.

구미강활탕의 성분 분석 및 LDL 산화억제 효능 연구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umiganghwal-tang and Its Anti-atherosclerotic Effect)

  • 김온순;서창섭;신현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5-176
    • /
    • 2013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imultaneous analysis for six compounds in Gumiganghwal-tang (GMGHT, Jiuweiqianghuo-tang) and to investigate the anti-atherosclerotic effects of GMGHT in vitro. Methods : The column for separation of six compounds was used Luna $C_{18}$ column and maintained at $40^{\circ}C$. The mobile phase for gradient elution consisted of two solvent systems, 1.0% acetic acid in water and 1.0% acetic acid in acetonitrile.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t a flow rate of 1.0 mL/min with pothodiode array (PDA) detection at 254, 280, and 320 nm. The injection volume was 10 ${\mu}L$.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MGHT were evaluated by measuri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n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The inhibitory effects on low-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were evaluated by the formation of thiobarbituric acid relative substances (TBARS), relative electrophoretic mobility (REM), and fragmentation of apolipoprotein B (ApoB)-100. Results : Calibration curves were acquired with $r^2{\geq}0.9998$. The contents of liquiritin, ferulic acid, baicalin, baicalein, glycyrrhizin, and wogonin in GMGHT were 1.784, 1.693, 37.899, 0.258, 1.869, and 0.034 mg/g, respectively. The GMGHT showe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RC_{50}$) against ABTS and DPPH radicals were 72.51 ${\mu}g/mL$ and 128.49 ${\mu}g/mL$. Furthermore, GMGHT reduced the oxidation properties of LDL induced by $CuSO_4$. Conclusion : HPLC-PDA is considered as an available and convenient method for quality control and standardization of GMGH and GMGHT has potentials on anti-atherosclerosis by anti-oxidative effect and suppressive effect on LDL oxidation.

십전대보탕 발효물의 성분 분석 및 뇌신경 세포 보호 활성 (The Study on Compounds of the Fermented Sipjundaebo-tang and its Neuroprotective Activity)

  • 양혜진;원진배;마진열;마충제
    • 약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21-126
    • /
    • 2011
  • Sipjundaebo-tang was a well-known restorative traditional herbal prescription that used to treat anemia, anorexia, fatigue and inflamm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bioconversion of compounds in the Sipjundaebo-tang (SJ) and fermented Sipjundaebo-tang with Lactobacillus fermentum KFRI 164 (FSJ) using established HPLC-DAD method. The chromatogram of FSJ has shown that the contents of six bioactive compounds 5-HMF, paeoniflorin, ferulic acid, cinnam aldehyde, decursin, glycyrrhizin in SJ has decreased. And the contents of unknown compounds (1), (2), (3), (4) and (5) in FSJ were higher than each contents of SJ.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J and FSJ were conducted by DPPH free radical and Hydrogen peroxide ($H_2O_2$) scavenging assay.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 value of FSJ has shown higher than 21.9% and 14.5% at a concentration of 0.5 mg/ml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_2O_2$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Also, the neuroprotective activities of SJ and FSJ against glutamate-induced oxidative stress in a mouse hippocampal cell line (HT22) were evaluated by MTT assay. As a result, FSJ has shown higher neuroprotective activity than 56.5% comparing with SJ. In conclusion, the fermented SJ using microorganism could convert compounds in SJ and enhance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activity.

뽕나무 오디추출물의 항염증(抗炎症).항산화(抗酸化) 작용(作用)에 대한 생리활성(生理活性) 검색(檢索)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 김선여;박광준;이완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4-209
    • /
    • 1998
  • 오디의 기능성(機能性)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의 일환으로 뽕나무 품종에 따라 9종의 오디를 채취(採取)하여 냉동건조(冷凍乾燥)한 후 각각에 대하여 항염증 및 항산화효과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작용을 검색하기 위하여 cyclooxygenase II의 활성억제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광뽕 > 검설뽕 > 4배성 휘카스 > 2배성 휘카스 >검설뽕 등의 순으로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현재 항염증제의 표준물질로 사용되고 있는 nabumetone 10ppm에서 활성억제도(活性抑制度)를 1이라 했을 때,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낸 신광뽕 오디의 경우는 0.55의 활성도를 나타냈다. 2. 최근에 천연물(天然物)로부터 항암작용과 더불어 소염작용을 갖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phosphlipase $A_2$의 활성억제도법을 이용한다. 오디 9품종의 MeOH 추출물 $100{\mu}g/ml$의 농도에서 phospholipase에 대한 억제활성은 신광뽕 > 검설뽕 > 휘카스 > 북산2호의 순으로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3. 항염증 작용과 항산화 작용은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DPPH법을 이용하여 radical scavengingrate를 측정했다. 그 결과 신광뽕 > 검설뽕 > 휘카스 > 청일뽕의 순으로 항산화작용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9종의 오디품종중 항염증제로의 이용가능성이 있는 것은 검설뽕, 휘카스 및 신광뽕이었고, 북산2호와 대도상의 항산화 항염증 효과는 전혀 없었다.

  • PDF

한약재의 물 추출물이 당대사 관련 효소와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lucose-regulating Enzym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Herbs)

  • 최면;김대중;이현주;유진균;서동주;이준희;정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42-5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를 가진 GK 흰쥐(Goto-Kakizaki) 간에서 추출한 cytosol과 심장에서 추출한 mitochondria를 이용한 모델계에서 당대사 관련 효소인 glucokinase glucokinase(GCK), pyruvate dehydrogenase(PDH), acetyl-CoA carboxylase(ACC) 및 glucosidase 활성에 대한 한약재의 물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역시 그들의 물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DPPH 방법으로 알아보았다.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산수유(CF), 목단피(MDB), 천화분(CHB) 그리고 산약(SY)의 물 추출물이 강했고 반면에 백목령(BBR), 숙지황(SGH)과 택사(TS)는 낮은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간 cytosol의 GCK 활성은 산수유(CF)와 천화분(CHB)에서 다른 추출물보다 더 강했다. 심장미토콘드리아의 PDH 활성은 택사(TS)를 제외하고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높았다. 간 cytosol의 ACC 활성은 대조군보다 산수유(CF), 천화분(CHB), 숙지황(SGH), 택사(TS) 그리고 산약(SY) 추출물에서 높았다. 산수유(CF), 백복령(BBR) 및 목단피(MDB) 추출물은 ${\alpha}$-glucosidase 활성 감소를 유도했다. 따라서 모든 추출물은 혈당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항당뇨 기능성식품이나 약품 개발을 위한 기능성 천연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복령(Poria cocos Wolf)과 산수유(Corni fructu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비교 (Biological Activities of Poria cocos Wolf and Corni fructus Extracts based on their extraction solvent)

  • 오희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03-1311
    • /
    • 2019
  • 본 연구는 열수와 에탄올 용매에 따른 복령 및 산수유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추출물들의 총 polyphenol 함량은 복령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복령 에탄올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능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산수유 열수 추출물은 모든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령 열수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복령과 산수유에 함유된 총 polyphenol과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에탄올 추출방법 보다는 열수 추출방법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복령추출물이 산수유 추출물에 비해 NO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PP+에 의해 유도된 SH-SY5Y 신경세포에 복령 열수 추출물은 산수유 열수 추출물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복령과 산수유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항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한 한인진의 항염 및 항산화 복합 활성 최적 추출 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f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s for Simultaneou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temisia iwayomogi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박다원;최우석;이창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19-33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한인진으로부터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매 및 추출법을 개발하여 최적의 추출 조건을 확인하였다.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헥산 및 EA를 추출 용매로 한 초음파, 초고압 추출법과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을 한 후 NO 생성 저해 활성과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항염, 항산화 활성, 수율 및 안전성을 모두 고려하여 볼 때 에탄올 용매의 초음파 추출법이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음파 최적 추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사용하여 연구한 결과, 수율의 최적 추출 조건은 에탄올 함량(45.71%), 추출 시간(63.33 min), 초음파 출력량(308.84 W)일 때, 15.85%의 가장 높은 수율을 보이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실제 수율은 $16.40{\pm}0.28%$였다. 항염과 항산화 복합 활성의 최적 추출 조건은 에탄올 함량(94.54%), 추출 시간(90.00 min), 초음파 출력량(400.00 W)일 때, 각각 94.54%, 58.0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실측검증에서 각각 $89.77{\pm}1.37%$, $60.12{\pm}0.39%$으로 예측 값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