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activity

검색결과 5,179건 처리시간 0.031초

도꼬마리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oxidative stress from fraction of Xanthium strumarium L.)

  • 민영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15-220
    • /
    • 2017
  • 도꼬마리 (X. strumarium )는 국화과에 속하며, '창이자'라는 한약명으로 사용되는 다년생 식물이다. 열매부위와 지상부위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융합 식물활성작용을 관찰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하는 실험법으로는 1, 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DPPH), ABTS assay를 사용하였다. 도꼬마리의 추출물은 단일분리가 아닌 ethanol, petroleum ether, 그리고 ethyl acetate로 추출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연구에 사용되는 radical scavenging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and ABTS를 투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꼬마리는 천연유래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해당화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Rosa rugosa)

  • 서영완;이희정;안종웅;이범종;문성기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67-7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해당화의 항산화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해당화의 dichloromethane과 methanol의 조추출물을 합하여 n-hexane, 15% aq. MeOH, n-BuOH, $H_2O$로써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DPPH 라디칼, peroxynitrite의 소거 활성과 지질 과산화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실험에서 해당화의 유의적인 항산화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4개의 분획물들 중 n-BuOH 획분이 가장 뛰어난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당화의 항산화 효과는 비교적 극성이 큰 2차 대사산물에 의한 것임을 추측할 수 있으며, 해당화의 많은 생물학적인 활성들 중 peroxynitrite 소거 효과와 마우스 간 균질물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활성에 관한 보고는 이것이 처음이다.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의 elastase 활성과 DPPH, NO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ukmigeehwang-hwan Extracts on the Elastase Activity and DPPH and NO Scavenging Activities Original Articles)

  • 이세나;김명규;김명희;김형준;조학준;임강현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69
    • /
    • 2011
  • Objectives : Elastic fibers are found in the skin, lungs, arteries, veins and other structures. Elastases destroy the elastic fibers and cause the emphysema and pulmonary hypertension. Oxidative stress is needed for these pathologic changes. Accordingly,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ukmigeehwang-hwan extracts (YHE) on elastase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YHE. Methods : The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and DPPH and NO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YHE were measured. Results : The elast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YHE. YHE significantly scavenged DPPH and NO free radicals as well. Conclusion : YHE showed the elastase-inhibiting effec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vitro. These results suggest that YHE may have potential roles in the treatment of pulmonary emphysema and pulmonary hypertension.

큰도둑놈의갈고리 지상부의 DPPH Free Radical 소거효과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the Aerial Parts of Desmodium oldhami)

  • 양석원;박새롬;안달래;양재헌;조종현;황용훈;박종한;김대근
    • 생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0-184
    • /
    • 2010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Desmodium oldhami (Leguminosa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radical scavenging effect on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The methanolic extract of D. oldhami showed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Five compounds, kaempferol-3-O-rhamnopyranoside (afzeline) (1),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6$)-$\beta$-Dglucopyranoside] (rutin) (2), kaempferol-3-O-glucopyranoside (astragalin) (3), genistein-7-O-$\beta$-D-glucopyranoside (genistin) (4), kaempferol-3-O-rutinoside (5) were isolated from the activ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D. oldhami through repeated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Among them, compound 2 showed the most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 o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test. Compounds 1-5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참취 데치기 최적 공정 확립과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변화 (Optimization of Blanching Process of Cirsium setidens and Influence of Blanching on Antioxidant Capacity)

  • 조현선;하유진;김연태;강길남;유선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3-182
    • /
    • 2017
  • 본 연구는 참취의 데치기 최적 공정 조건을 확립하고 조건마다 생산된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DPPH를 분석을 수행하여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데치기 최적공정은 시간 과 온도를 요인으로 하여 표면반응분석법으로 수행을 하였다. 데치기 공정 후에 추출물을 제조하여 데치기가 총 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데치기 시간 및 온도 범위에서 총 페놀 함량의 범위는 13.00 - 35.48 mg/g 이고 최대 예측 총 페놀함량은 35.48 mg/g, 플라보노이드는 함량의 범위는 2.35 - 8.38 mg/g 이고 최대 예측 플라보노이드 함량 은 8.38 mg/g, DPPH 라디칼 소거능의 범위는 42.10 - 67.14%이고 최대 예측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7.14%로 측정 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의 변화는 데치기 시간 보다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의 경향을 보면 데치기 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였지만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데치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총 항산화능은 데치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살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물학적 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Biological Properties in Extracts of Euonymus alatus (Thnub.) Sieb.)

  • 서경수;임종국;박재호;김충현;정규영;정형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03
  • 화살나무의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HL-60 세포를 이용한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화살나무 추출물의 부위별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잎, 날개, 뿌리, 종자, 줄기순으로,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은 잎, 뿌리, 날개, 종자, 줄기 순으로 높았다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한 정제 후의 DPPH 및 xanthine oxidase 억제활성은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는 LH-4 분획이, 뿌리 추출물에서는 LH-5 분획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줄기 추출물에서 LH-4 분획물의 DPPH 및 xanthine oxidase 억제가는 각각 2.38 ${\mu}g$/$m\ell$, 5.32 ${\mu}g$/$m\el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제된 추출물들의 주된 화합물은 polyphenolic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생육시기간에 부위별 POD 활성은 5월의 뿌리 및 9월의 잎 조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SOD 활성은 5월과 9월의 줄기에서만 나타났다. POD 동위효소 패턴은 잎과 줄기간에는 비슷하였으나, 뿌리에서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SOD 동위효소 패턴은 POD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HL-60 세포의 증식에 대한 화살나무의 정제된 추출물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감태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분석 (Phenolic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Ecklonia cava Extracted with the Ultrasonic Wave Method)

  • 김소정;김동균;박종범;이택견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13-918
    • /
    • 2013
  • 해조류 유래 유용성분 추출을 위한 초음파 추출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동결건조한 감태 분말로부터 열수($65^{\circ}C$), 물($24^{\circ}C$), 50% 에탄올 및 100% 에탄올 뿐만 아니라 초음파 추출을 수행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분석하고, 초음파 추출과 전통적인 추출법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초음파 추출에 의한 감태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142.80 mg/g)은 열수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10.03 mg/g)의 약 14배 이상 높았다. 열수 추출물에 비해 초음파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약 4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약 14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음파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에서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tyrosinase 저해 활성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각각 $R^2$=99.47 및 99.99)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전통적인 용매 추출법보다 초음파 추출법이 감태의 유용성분 추출에 더 적합함을 의미한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ruit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Major. from Korea

  • Choi, You Jin;Hwang, Keum He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86-191
    • /
    • 2013
  • Screenings of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Major. fruits extracted 80% methanol were performed using four antioxidant assay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oth in total phenolic contents (TP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TF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reducing power assa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flavonoid content in the extract were measured to be $224.4{\pm}0.52$ mg GAE/100 g and $12{\pm}0.25$ mg QE/100 g, respectively. When the tested concentration was $500{\mu}g/mL$,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were 84.15% and 88.8%, respectively. The reducing power and nitric oxide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at the manner of dose-depend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thanolic extracts of Crataegus pinnatifida Bge. fruits possess excell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may serve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 purified from black eelpout (Lycodes diapterus) hydrolysate

  • Lee, Jung Kwon;Byun, Hee-G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10호
    • /
    • pp.22.1-22.7
    • /
    • 2019
  • The functional peptides from protein hydrolysates of various fishery sources have been identified such as antioxidant activity. The main intention of this study was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 from black eelpout muscle. The antioxidative peptides were purified from black eelpout (Lycodes diapterus) muscle using different proteases.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eelpout hydrolysates was evaluated us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mong six hydrolysates, the pepsin hydrolysate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the other hydrolysates. Therefore, it was further purified and a peptide with seven amino acid residues of DLVKVEA (784 Da) was identified by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The EC50 value for scavenging DPPH radicals by purified peptide was 688.77 μM. Additionally, the purified peptide exhibited protective effect against DNA damage induces by oxidation in mouse macrophages (RAW 264.7 ce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lack eelpout muscle protein hydrolysate could potentially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bioactive peptides in basic research.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cts from Fruit of Curdrania tricuspidata)

  • 차재영;조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47-551
    • /
    • 2001
  • The comparative activities of acetone, ethanol, and aqueous fractions extracted from fruit powder of Cudrania tricuspidata by different temperature were tested by in vitro experimental models;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and autooxidation of rat hepatic and renal microsomes by using thiobarbituric acid (TBA) for assay of free malondialdehyde production, and scavenging activities of free radicals by DPPH (α, α'-diphenyl-β-picrylhydrazyl). In DPPH method, acetone fraction extracted at 30℃ showed the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cetone fractions extracted at 30℃ and 60℃ and ethanol fraction extracted at 30℃ showed stronger than BHT (butylated hydroxitoluene) although used ten-fold lower concentrations. In thiocyanate method used linoleic acid an inhibitory effects of all fractions showed higher than control treatment. TBA method used linoleic acid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in acetone fraction extracted at 30℃ and 60℃. an inhibition activity against lipid peroxidation in hepatic microsomes of rats showed the highest at acetone faction extracted at acetone fraction among extracted fractions was shown to be the most potent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this action was more potent in fractions extracted at 30℃ than those extracted at 6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