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검색결과 4,119건 처리시간 0.036초

물오리나무 유래 고함량 Oregonin 추출방법 및 생리활성 연구 (Extraction Method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High Content Oregonin Derived from Plant of Alnus sibirica Fisch. ex Turcz)

  • 최선은
    • 생약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5-174
    • /
    • 2019
  • Oregonin is known as a representative active substance of plants of the Alnus species. In this study, we will show the results of establishing a method for extracting trace amounts of useful substances in plants. Additionally, a variety of physiological activity studies were conducted with extracts containing high content of useful substances. In this study,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activities of supercritical fluid residue 60% EtOH extracts of Alnus sibirica (ASCFR) were investigated in vitro. To explor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haracteristics of supercritical extract,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beta}$-hexosaminidase release in IgE-stimulated RBL-2H3 cells were examined, respectively. Results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ells stimulated with LPS produced more nitric oxide than normal control cells. However, cells treated with supercritical fluid residue 60% EtOH extract decreased produ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nti-allergic activity studies, ASCFR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anti-allergic activity. Based on results and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SCFR has potential as basic research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therapeutic supplements-based medicines or functional cosmetics related to chronic inflammatory skin immunity diseases.

아연-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세포액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Zinc-Enrich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in In vitro Model Systems)

  • 차재영;박보경;안희영;엄경은;전방실;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9-184
    • /
    • 2009
  • 아연 고함유 효모 S. cerevisiae FF-10의 항산화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DPPH 전자 공여능, linoleic acid을 이용한 ferric thiocyanate법과 TBA법에 의한 과산화지질 생성 정도 및 흰쥐 간 조직 생체막을 이용한 TBARS법에 의한 과산화지질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은 효모 생육배지인 YM 기본배지와 아연 생산량을 증대시키는 YM 최적배지에서 각각 배양된 S. cerevisiae FF-10의 세포 파쇄액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DPPH 전자 공여능은 양성 대조구로 사용한 BHT에서 가장 높았고, YM 기본배지 보다는 YM 최적배지에서 배양된 FF-10 세포 파쇄액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간 조직 생체막 과산화지질 생성 정도는 BHT > 최적 생산배지 > 기본배지 순으로 저해되었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과산화지질 생성정도는 음성 대조구에서 반응 1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한 후 반응종료일까지 계속 그 수준이 유지되었고, 양성 대조구인 BHT 처리구에서는 과산화지질 생성이 억제되어 높은 항산화활성이 확인되었으며, YM 기본배지 보다는 YM 최적배지에서 높은 과산화지질 생성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in vitro 항산화 실험계인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간 조직 생체막과 linolic acid 지방산을 이용한 ferric thiocyanate and TBARS 측정에서 항산화 활성은 양성 대조구인 BHT 보다는 낮았으나 최적배지에서 배양된 아연 고함유 효모 S. cerevisiae FF-10 균주의 세포 파쇄액에서 모두 높게 나타나 in vivo 항산화 실험계에서도 확인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생물전환에 의한 발효 목초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wood vinegar by bioconversion)

  • 조영호;조재수;이계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434-4442
    • /
    • 2011
  • 활성 산소종은 반응성이 매우 크고 지질, 단백질 및 핵산에 산화를 유발하여 잠재적으로 세포에 매우 해로운 물질이다. 활성 산소종은 또한 인체에 있어서 노화, 발암, 죽상경화증 유발과 같은 해로운 영향을 준다고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총산도, 초산, pH 및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등을 분석하였고, 생물전환된 목초액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DPPH, 초과산화물 음이온, 과산화수소, 산화질소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물전환된 목초액의 총산도와 초산의 양은 생물전환 전보다 낮았지만, pH는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생물전환된 목초액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11.17 mg/$m{\ell}$ 과 0.42 mg/$m{\ell}$였다. 생물전환된 목초액의 각종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농도는 초과산화물 라디칼 소거활성 < DPPH 라디칼 소거활성 < 과산화수소 라디칼 소거활성 < 산화질소 라디칼 소거활성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목초액을 생물전환할 경우 여러 가지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을 높여 천연 의약품 및 화장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주요 재배 매실 품종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ajor Cultivars Prunus mume in Korea)

  • 서호진;임순희;송장훈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77-48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재배 매실 품종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64.13-93.43mg{\cdot}100g^{-1}$으로 품종 간 함량에 차이가 있었다. 이 중 '앵숙'과 '단아'의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6.16-18.57mg{\cdot}100g^{-1}$으로 총 페놀과 같이 품종 간에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 중 '고성'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남고', '회향실', '장속', '단아', '앵숙'에서 모두 50% 이상 비교적 강하게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모든 품종에서 80% 이상으로 전체적으로 높은 소거할성을 보였다. 이 중 '앵숙'이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 능력은 모든 품종에서 50% 이상의 높은 소거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이중 '남고'(76.03%), '고성'(70.56%), '양로'(70.32%)에서 70%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항고혈압, 및 항당뇨 활성 (Functional Chemical Component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and Lespedeza cuneata)

  • 박성익;손호용;이창일;황희영;박승우;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9-177
    • /
    • 2020
  •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메탄올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제조하고, 분획물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항산화, ACE 저해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연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분석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90.8%, 야관문 91.2%로 소거활성이 가장 높았다. ABTS 분석 결과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6.1%로 가장 높았고 야관문은 chloroform 분획물에서 95.6%로 가장 높았다. FRAP assay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어성초 360.1 mg TE/g, 야관문 239.2 mg TE/g로 가장 높았다. ACE 저해활성의 경우 chloroform 분획물이 어성초 13.2%, 야관문 35.2%로 가장 높았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어성초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56.3%, 야관문은 water 층에서 93.6%로 가장 높았다. 어성초와 야관문에서 확인한 개별성분에 의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페놀산 개별 성분의 활성은 caffeic aicd가 93.4%로 가장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개별 성분의 활성은 quercetin이 96.3%로 가장 높았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어성초와 야관문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황련(Coptis Radix)으로부터 분리된 물질의 항균효능 및 화장품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matrial Isolated from Coptis Radix)

  • 장영아;김보애;정재식;황혜진;이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1-279
    • /
    • 2017
  • 본 연구는 황련으로부터 분리된 fraction의 항균효능과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고 그것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황련으로부터 분리된 fraction의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 균주로 disc diffusion 방법을 통해 생육저해환(clear zon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r. 1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S. aureus와 candida. A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하였다. 항산화 평가를 위해 황련 fraction의 농도(50, 125, 250) ${\mu}g/mL$에 따라 처리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과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Fr. 1, 2, 3, 4의 $250{\mu}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각 11.4%, 30.3%, 42.0%, 53.1%로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동일농도에서 각 28.6%, 96.2%, 98.6%, 97.1%로 나타났다. Fr. 3, 4는 동일농도의 대조군 BHT 활성의 86.5%보다 높은 활성산소 저해능을 보였다. 황련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WST assay 결과에서 Fr. 4를 제외하고는 Fr. 1, 2, 3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황련으로부터 분리된 fraction은 항균능과 항산화 능을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추출 용매를 달리한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cv. Niitaka) 과피의 생리 활성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orean Pear Peel (Pyrus pyrifolia cv. Niitaka))

  • 박지수;한인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4-260
    • /
    • 2015
  • 본 연구는 전라남도 대표 과일인 나주 신고배를 대상으로 배과피를 분리 건조한 후 용매에 따른 배 과피의 생리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과피를 1.5 mm의 일정한 두께로 분리해낸 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건조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열풍건조법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60oC에서 건조시켰다. 열풍건조 시킨 시료를 분쇄기로 분쇄하였고, 3가지 용매인 물, 80% ethanol, 80% methanol로 추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페놀 함량측정에서는 물 추출물에 비해 80% ethanol과 80% methanol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80% methanol 추출물이 43.76 mg QE/g으로 3가지 용매 중 가장 많은 양의 총 페놀 함량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플라보노이드 함량측정에서는 80% ethanol 추출물이 28.51 mg QE/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Radical 소거 활성에 대한 항산화실험은 DPPH radical scavenging, ABTS radical scavenging, 환원력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DPPH와 ABTS에 대한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모두 물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각각 3.57, 44.14 Mg TEAC/g의 값을 보였고, DPPH radical 소거 활성실험에서는 각 용매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반면, 환원력에서는 80% methanol 추출물에서 197.46 Mg TERP/g으로 가장 높았고, 물 추출물에서 79.62 Mg TERP/g으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각 용매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에서는 80% methanol 추출물이 91.7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물 추출물에서 83.04%의 가장 낮은 저해효과를 보였으며, 두 용매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알코올 분해능 활성은 전체적으로 좋은 편이였으나 그 중 물 추출물이 173.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항균실험에서는 B. cereus, E. coli, P. aeruginosa 에서 모두 항균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된 3가지 용매 중 물 추출물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알코올 분해능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으며, 80% ethanol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80% methanol 추출물에서는 총 페놀 함량, 환원력, ${\alpha}$-glucosidase에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배 과피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생리 활성에 따라 본 실험 결과를 응용하여 적합한 추출용매를 선택하면 목적하는 생리 활성의 효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juda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Extracts from Auricularia auricula-judae)

  • 유상철;오태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7-332
    • /
    • 2016
  • 본 연구는 목이버섯을 대상으로 acetone, ethanol 및 ethyl acetate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확보된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등의 항산화 활성과 6종의 균주에 대한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목이버섯의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용매에 따라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극성이 큰 acetone과 ethanol에서 ethyl acetate 추출물에 비해 다소 높게 조사되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thyl acetate> acetone> ethanol 추출물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58.7~23.1%, 32.2~10.0% 등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목이버섯 ethanol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목이버섯의 항균 활성 측정 결과 acetone 추출물이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Micrococcus lut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및 Enterobacter cloacae 등 6개의 균주 모두에 대하여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acetone, ethanol 및 ethyl acetate 추출물 모두에서 다른 균에 비해 B. subtilis에 대하여 생육저해환이 다소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본 연구를 통하여 목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목이버섯을 이용한 천연 첨가제 혹은 건강 기능성 식품의 원료소재 등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버섯균사체를 달리한 발효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Fermented with Different Mushroom Mycelia)

  • 김단비;신기해;이종석;이옥환;박인재;조주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5-21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영지버섯발효 추출물, 상황버섯발효 추출물 및 노루궁뎅이버섯발효 추출물의 pH, 항산화 성분함량(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ORAC 지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FRAP활성 및 reducing power),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pH는 가시오가피 상황버섯발효 열수추출물이 4.55로 가장 높았고 상황버섯발효 70% 에탄올추출물이 3.72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은 가시오가피 영지버섯발효 열수 추출물이 42.09 mg GAE/g으로 가장 많았으며, 상황버섯발효 70% 에탄올추출물이 29.46 mg GAE/g으로 가장 적었다. 반면에 총 플라보노이드의 경우 가시오가피 노루궁뎅이버섯발효 열수추출물(23.93 mg RE/g)에서 가장 높았고, 상황버섯발효 70% 에탄올추출물(15.19 mg RE/g)으로 가장 낮았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ORAC 지수는 총 페놀함량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4.29-50.08%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7.73-88.07%), FRAP활성(0.10-0.22) 및 reducing power (0.29-0.70)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가시오가피 영지버섯발효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16.89-22.69%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가시오가피 추출물들은 다양한 항산화 모델에서 효능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건조 방법에 따른 느타리버섯과 새송이버섯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eryngii Hot Water Extracts by Drying Methods)

  • 김나미;박종대;최윤상;이명희;성정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4-7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β-glucan content of extracts extract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at 30, 55 and 80℃ after hot air drying or freeze drying of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eryngii. For the analysis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mushroom, β-glucan,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DPPH·ABTS+·Nitrite assay were measured. Also,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freeze drying rather than hot air drying,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However, the total pheno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with hot air drying rather than freeze drying,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in both mushrooms. DPPH scaveng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 in both mushrooms,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ion temperature. Pearson's correlations between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r=0.719~0.753 (p<0.01). As a result, the β-glucan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BTS radical cation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st during freeze drying and extraction at 80℃. An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obtained during hot air drying and extraction at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