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PD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47초

Response of Bioluminescent Bacteria to Sixteen Azo Dyes

  • Lee, Hwa-Young;Park, Sue-Hyung;Gu, Man-Boc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2호
    • /
    • pp.101-105
    • /
    • 2003
  • Recombinant bioluminescent bacteria were used to monitor and classify the to xicity of azo dyes. Two constitutive bioluminescent bacteria, Photobacterium phosphoreum and Es-Cherichia coli, E, coli GC2 (lac::luxCOABE), were used to detect the cellular toxicity of the azo dyes. In addition, four stress-inducible bioluminestent E. coli, DPD2794 (recA::luxCDABE), a DNA damage Sensitive strain; DPD2540 (fabA::luxCDABE), a membrane damage sensitive strain; DPD2511 (katG::luxCDABE), an oxidative damage sensitive strain; and TV1061 (grpE::luxCDABE), a protein damage sensitive strain, were us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toxicity caused by crystal violet, the most toxic dye of the 16 azo dyes tes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zo dyes result in serious cellular toxicity in bacteria, and that toxicity monitoring and classific ation of some azo dyes, In the field, may be possible using these recombinant bioluminescent bacteria.

Top emission 유기 발광 소자를 위한 투명 금속 cathode 특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transparent metal Cathode for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이찬재;문대규;한정인;백성호;박노훈;주승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디스플레이 광소자분야
    • /
    • pp.107-11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캐소드 방향으로 발광하는 Top emission 소자를 설계 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반투명한 금속 박막을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Top emission 소자를 bottom emission 소자와 비교하였을 때 구동 전압은 다소 높았으며 색좌표 및 스펙트럼이 이동하였는데 이동 정도와 경향성은 파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 PDF

DPD/DPV 프로토콜 요구기준을 만족하는 개선된 OCSP (I-OCSP) 설계 (Design of the Improved OCSP (I-OCSP) satisfying the DPD/DPV protocol requirements)

  • 박종욱;서정훈;이용;이재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A)
    • /
    • pp.458-460
    • /
    • 2003
  • 본 고에서는 현재 X.509 인증서를 검증하기 위하여 온라인으로 인증서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OCSP가 클라이언트.프로토콜.서버 주체별로 IETF 공개키기반구조 워킹그룹에서 정의한 총 23개의 DPD/DPV 프로토콜 요구기준에 적절히 부합하는지 고찰하고 도출된 기술적 보완사항을 적용하여 다양한 응용환경에 적합하며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개선된 OC5P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hoice of Capecitabine or S1 in Combination with Oxaliplatin based on Thymidine Phosphorylase and Dihydropyrimidine Dehydrogenase Expression Status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 Xu, Rong;He, Xiaolei;Wufuli, Reyina;Su, Ying;Ma, Lili;Chen, Ru;Han, Zhongcheng;Wang, Fang;Liu, Jia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4호
    • /
    • pp.408-416
    • /
    • 2019
  • Purpose: To study the efficacy of capecitabine or S-1 plus oxaliplatin (CAPOX or SOX) for treating thymidine phosphorylase (TP)- or dihydropyrimidine dehydrogenase (DPD)-positive advanced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Eighty-six patients with stage IIIC to IV gastric cancer were assessed for TP and DPD expression by immunohistochemistry. The association between CAPOX or SOX efficacy and TP/DPD expression was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bjective remission rate (ORR, 52.27% vs. 47.62%; P>0.05), disease control rate (72.73% vs. 73.81%, P>0.05), progression-free survival (hazard ratio [HR], 1.119; 95% confidence interval [CI], 0.739-1.741; P=0.586), and overall survival (OS; HR, 0.855; 95% CI, 0.481-1.511; P=0.588) between CAPOX and SOX. A higher number of stage IV patients showed TP positivity, while DPD-positive patients predominantly showed intestinal type of gastric cancer. In TP-positive patients, the ORRs associated with CAPOX and SOX treatments were 57.14% and 38.10%, respectively; OS was better with CAPOX than with SOX (HR, 0.447; 95% CI, 0.179-0.978; P=0.046). Among DPD-positive patients, the SOX treatment-associated ORR (60.8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APOX treatment-associated ORR (43.48%). Furthermore, SOX treatment resulted in better OS than did CAPOX treatment (HR, 2.020; 95% CI, 1.019-4.837; P=0.049). Conclusion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efficacy was found between CAPOX and SOX. TP-positive patients might respond better to CAPOX while DPD-positive patients may respond better to SOX. Our findings might serve as a guide for personalized chemotherapy for gastric cancer.

A Study on Gamma ray effects on Stress Response and Cellular Toxicity using Bacterial Cells

  • 민지호;이현주;이창우;구만복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187-190
    • /
    • 2000
  • 본 연구는 5가지의 발광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해 방사선으로 알려져 있는 ${\gamma}-rays$가 여러가지 cellular stresses 중, 특히 유전자 손상과 생물막 손상을 유발하였는데, 이들의 손상 정도가 총 방사선량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발생하는 bioluminescence 로써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선량률의 변화를 통하여 방사선으로 인한 유전자 손상 및 일반적인 독성 효과가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선량률 증가에 따라 이들 손상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선량률이 genetic 및 radioprotecion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결정 궤환 구조를 갖는 차동 위상 검출기의 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한 VLSI 설계 (A VLSI Design for High-speed Data Processing of Differential Phase Detectors with Decision Feedback)

  • 김창곤;정정화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9권5호
    • /
    • pp.74-86
    • /
    • 2002
  • 본 논문은 결정 궤환 구조를 갖는 차동 위상 검출기의 고속 데이터 처리를 위한 VLSI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차동 위상 검출 방식의 낮은 BER 성능을 극복하기 위해 DF-DPD, DPD-RGPR, DFDPD-SA 등의 다중 심볼 검출 방식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검출 방식들은 참조 위상으로 사용되는 이전 심볼에서의 잡음 효과를 작게 하기 위하여 검출된 위상을 궤환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하지만, 검출된 위상을 궤환시키는 작용은 데이터 처리 속도를 기존의 차동 위상 검출기보다 느리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결정 궤환 구조를 갖는 차동 위상 검출기가 기존의 차동 위상 검출 방식처럼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VLSI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M-1' 번째 과정에서 'M' 번째 과정을 미리 계산하는 선계산(pre-calculation) 방식과 'M-1'번째 과정에서 예견 위상들을 궤환시키는 선결정 궤환(pre-decision feedback) 방식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구조는 VHDL(Very-high-speed-IC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를 사용하여 RTL(Register Transfer Level)로 구현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구조는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함을 확인하였다.

IoT 장치의 개인정보 데이터 보호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Implementation of System for protecting Privacy data from IoT Things)

  • 김선욱;홍성은;방준일;김화종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2호
    • /
    • pp.84-91
    • /
    • 2021
  • EU의 GDPR에 따르면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 정보 주체(사용자)의 동의 혹은 거절하는 권리가 가장 우선시 되고 있다. 그러므로 정보 주체는 언제라도 동의 철회 및 잊힐 권리를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제한적인 IoT 장치(Constrained Node)에서는 프라이버시에 민감한 데이터의 수집, 처리 등에 대해 정보 주체의 동의 기능 구현 및 수집 정보의 활용 내용을 게시하기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주체가 IoT 장치에서 수집, 처리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정보 유출의 문제를 인지하고, 연결 및 장치 제어가 가능한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IoT 장치의 표준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와 장치 연결 프레임워크인 AllJoyn의 공통 정보를 고려하고, 정보 보호를 위한 메타 데이터 10개를 정의하였다. 이를 DPD(Data Protection Descriptor)라고 명명하였으며, DPD를 기반으로 정보 주체가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SW인 DPM(Data Protection Manager)를 개발하였다.

감시림프절 검사 시 입자크기에 따른 대체 방사성의약품의 유용성평가 (Evaluation on the Usefulness of Alternative Radiopharmaceutical by Particle size in Sentinel Lymphoscintigraphy)

  • 조광모;정영환;최도철;신주철
    • 핵의학기술
    • /
    • 제20권2호
    • /
    • pp.36-41
    • /
    • 2016
  • 1. 목적 현재 감시림프절 검사에는 $^{99m}Tc-Phytate$만 사용한다. 만약 일시적으로 공급이 중단된다면 대체 가능한 방사성의약품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시림프절 검사의 성공요소 중 방사성의약품의 입자 크기에 중점을 두어 핵의학 검사에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들의 입자크기를 측정해보고 감시림프절 검사 시 $^{99m}Tc-Phytate$를 대체할 수 있는 방사성의약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2. 방법 Zetasizer Nano ZS90 (Malvern, UK)를 통하여 체내검사에 이용되는 Phytate, MAG3, DPD, DMSA, MAA, DTPA, HDP의 입자크기를 분석하였다. 동물실험은 9주령의 백서 6마리를 사용하여 각각 3마리씩 $^{99m}Tc-Phytate$를 사용한 대조군과 감시림프절 검사 시 유용하다고 알려진 입자크기를 갖는 $^{99m}Tc-MAG3$, $^{99m}Tc-DPD$$^{99m}Tc-DMSA$를 사용한 실험군을 설정 하였다. 백서의 발등에 11.1 MBq ($300{\mu}Ci$)을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피하주사 하고, 동적영상과 정적지연영상을 획득한 후 육안으로 서혜부 림프절을 관찰하였다. 3. 결과 나노입자 분석기를 통하여 측정한 입자크기는 각각 Phytate 105~255 nm ($81.9{\pm}23%$), MAG3 91~255 nm ($98.7{\pm}17%$), DPD 105~342 nm ($77.3{\pm}11%$), DMSA 164~342 nm ($99.2{\pm}35%$), MAA 1281~2305 nm($90.6{\pm}82%$), DTPA 342~1106 nm ($79.4{\pm}28%$), HDP 295~955 nm ($94{\pm}33%$)로 나타났다. $^{99m}Tc-Phytate$를 사용한 대조군은 모든 실험에서 서혜부 림프절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99m}Tc-Phytate$와 가장 유사한 크기의 $^{99m}Tc-MAG3$는 서혜부 림프절에 저류하지 않고 빠르게 통과하였고, $^{99m}Tc-DPD$$^{99m}Tc-DMSA$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서혜부 림프절에 대조군과 비슷하게 저류되어 림프절 관찰이 용이하였다. 결론: 본 실험을 통해서 핵의학 체내검사에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들의 입자크기 분포를 확인하였다. $^{99m}Tc-MAG3$$^{99m}Tc-Phytate$와 가장 유사한 입자크기를 가지고 있으나 동물실험에서는 서혜부 림프절이 관찰되지 않고 빠르게 신장을 통해 배출되었다. 반면에 $^{99m}Tc-DPD$$^{99m}Tc-DMSA$의 경우 유사시 대체 방사성의 약품으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oxicity Monitoring of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Using Freeze-dried Recombinant Bioluminescent Bacteria

  • Kim, Sung-Woo;Park, Sue-Hyung;Jiho Min;Gu, Man-Boc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5권6호
    • /
    • pp.395-399
    • /
    • 2000
  • Five different freeze-dried recombinant bioluminescent bacteria were used for the detection of cellular stresses caused by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These strains were DPD2794 (recA::luxCDABE), which is sensitive to DNA damage, DPD2540 (fabA::luxCDABE), sensitive to cellular membrane damage, DPD2511 (katG::luxCDABE), sensitive to oxidative damage, and TV1061 (grpE::luxCDABE), sensitive to protein damage. GC2, which emits bioluminescence constitutively, was also used in this study. The toxicity of several chemicals was measured using GC2. Damage caused by known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such as nonyl phenol, bisphenol A, and styrene, was detect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oxicity mode, while others, such as phathalate and DDT, were not detected with the bacter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are toxic in bacteria, and do not act via an estrogenic effect, and that toxicity monitoring and classification of some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may be possible in the field using these freeze-dried recombinant bioluminescent bacteria.

  • PDF

질화갈륨 소자를 이용한 DPD용 Amplifier Pallet 개발 (Design of Amplifier Pallet for DPD Using Gallium Nitride Device)

  • 오성민;박정훈;조삼열;이재훈;임종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76-7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고 효율 및 고 출력 특성을 가지는 질화갈륨(GaN) 소자를 이용하여 WiMAX 및 LTE System에 사용될 수 있는 DPD용 Pallet Amplifier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Pallet Amplifier는 Pre-drive로써 저 전류의 MMIC를 채택하고, Drive 단과 Main 단에 15W 급과 30W 급의 질화갈륨 소자를 사용 하였으며, 추가적인 효율 개선을 위해 PCB상에 Doherty Structure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을 구현하였다. 제작된 Pallet Amplifier는 음 전원 Bias 제어 회로, 온도에 따른 Gain 보상회로, Sequence 회로 및 Main 전원 Drop에 따른 보호 회로를 구현하였다. WiMAX Signal을 이용한 Modulation Power 10Watt Test에서 약 36.8~38.3%의 Pallet 효율과 DPD Solution인 TI GC5325SEK DPD Board 사용 시 ACLR은 약 46dBc 이상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작된 Pallet Amplifier는 Upper Band와 Lower Band로 나누어 제작되었던 기존 Pallet Amplifier와 달리 하나의 Pallet Amplifier로 2496~2690MHz에서 모두 사용하면서 종전에 사용되고 있는 Pallet Amplifier에 비해 Size가 최소 10% 이상 축소되어 효율 및 크기 면에서 종전 Pallet Amplifier보다 큰 이점을 갖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