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C

검색결과 774건 처리시간 0.026초

디젤자동차용 산화촉매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Diesel Oxidation Catalysts for Diesel Vehicles)

  • 최병철;박희주;정명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59-64
    • /
    • 2003
  • Recently, as people pay attention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emissions of diesel engine have been a serious problem. We carried out the performance evaluation test of Diesel Oxidation Catalysts (DOC) for HSDI diesel engine equipped vehicles. The DOC, basically coated with Pt catalyst, was manufactured with various washcoat materials. It was found that CO conversion efficiency depends on temperature, but THC conversion efficiency is dominated by temperature and space velocity. The THC and CO conversion efficiencies of aged catalysts were increased with additions of $ZrO_2$ and zeolite B in the washcoat. We found that DOC performance changes with coating techniques, even through it has same washcoat materials. The DOC coated by high temperature washcoat coating technology showed good conversion efficiency than low temperature washcoat coated DOC.

x86 기반 임베디드 리눅스를 위한 DOC 파일시스템 (Building DOC Filesystem for x86-based Embedded Linux System)

  • 이병권;김석일;전중남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667-1670
    • /
    • 2004
  • x86기반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의 저장장치로 단일-칩 플래시 디스크인 DOC(DiskOnChip)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OC 스스로 부팅하도록 부팅이미지, 커널이미지, 루트파일시스템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DOC는 자체 기능으로 에러탐색 및 수정기능과 파일시스템으로 TrueFFS가 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 또한, 구성된 DOC 저장 시스템에 GUI 구현할 수 있도록 Qt-E 계층을 추가하여 시스템 개발자는 단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쉽게 임베디드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 PDF

오존처리에 의한 천연유기물질 변화 및 염소 소독부산물 전구물질 제어 (The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and Disinfection By-Product Precursor by Ozone)

  • 손희종;노재순;김상구;강임석;이용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99-1107
    • /
    • 2005
  • 오존 투입농도 $0.5{\sim}3\;mgO_3/mgDOC$에서 $UV_{254}$와 DOC가 각각 $23%{\sim}65%$, $2%{\sim}15%$의 제거율을 나타내었고, THMFP와 HAAFP의 제거율은 오존 투입농도 $0.5{\sim}3\;mgO_3/mgDOC$에서 각각 $17%{\sim}52%$, $9%{\sim}29%$로 나타났다. 오존 투입농도에 따른 수중 천연유기물질의 특성변화를 조사한 결과, 소수성 및 반친수성 유기물질은 오존 투입농도 $0.5{\sim}3\;mgO_3/mgDOC$에서 각각 $37%{\sim}68%$, $35%{\sim}64%$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반면 친수성 유기물질은 $40%{\sim}49%$의 증가율을 보였다. 오존처리에 의한 천연유기물질 특성변화에 따른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능 변화를 조사한 결과, 소수성 및 반친수성 유기물질에서 생성되는 THMFP와 HAAFP는 오존 투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친수성 유기물질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존처리에 의한 단위 DOC당 THMFP와 HAAFP의 변화에서 두 물질 모두 오존처리에 의해 단위 DOC당 생성능의 감소를 보였고, 오존 투입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단위 DOC당 HAAFP 보다는 THMFP의 경우가 오존처리에 따른 제거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존 투입농도별 천연유기물질 특성변화에 따른 단위 DOC당 THMFP 및 HAAFP 변화를 조사한 결과, 소수성, 반친수성 및 친수성 유기물질에서의 단위 DOC당 THMFP 및 HAAFP 모두 반응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r-THMFP와 chloroformFP에 대한 오존 투입농도별 제거특성은 Br-THMFP의 경우 오존 투입농도에 따라 제거율 및 단위 DOC당 THMFP 제거율이 chloroformFP 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r-HAAFP와 DCAAFP와 TCAAFP에 대한 오존 투입농도별 제거특성을 조사한 결과에서 TCAAFP는 오존 투입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율 및 단위 DOC와의 반응성 감소율도 증가하였으나, DCAAFP는 오존처리 전 후로 제거율 및 단위 DOC와의 반응성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Br-HAAFP의 경우는 $1\;mgO_3/mgDOC$ 이상의 오존 투입농도에서는 제거율의 상승은 나타나지 않았고, Br-THMFP에 비하여 오존처리에 의해 낮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에서 소독부산물 생성능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오존 투입농도를 결정한다면 $1\;mgO_3/mgDOC$가 적정 오존 투입농도로 조사되었다.

낙동강 수계에 대한 정수처리공정에서 응집공정의 DOC 제거 특성 (Characteristics of DOC Removal by Coagulation Process in the Water Treatment of Nakdong River)

  • 황덕흥;김동윤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6-73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rive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target materials(DOC and turbidity) during the coagulation process after the injection of coagulants(PACl and FeCl3). Used apparatus were a jar test and a pilot plant. A great portion of DOC among the total removed DOC was achieved at the slow mixing process among the coagulation process. The ranges of removed DOC and optimum pH for each coagulant were 0.45~1.47mg/l and 6.0~6.5 by PACl, and 0.97~2.61mg/l. and 5.0~5.5 by FeCl3, respectively. Both of coagulants showed little increase of DOC removal above coagulant dosage 20mg/l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MWD) of removed DOC was measured by get filtration(GF) technique. The MWD variation by gel filtrationin(GF) for removed DOC in the coagulation process were as follows; for raw water, the percentages of each MWD for total area were < MW 6,500 25.5%, MW 6,500~66,000 67.1%, and > MW 66,000 7.4%. For the same coagulant dosage(12mg/l), the percentages of each MWD for total area by PACl were < MW 6,500 20.5%, MW 6,500~66,000 48.7%, and > MW 66,000 9.1%, and those of FeCl3 were MW 66,000 18.2%. For each coagulant, the removal percentage of MW 6,500~66,000 occurred a little, but at a part of

  • PDF

Doc2Vec과 Word2Vec을 활용한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 한국어 신문 기사 분류 (Categorization of Korean News Articles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sing Doc2Vec and Word2Vec)

  • 김도우;구명완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7호
    • /
    • pp.742-74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문장의 분류에 있어 성능이 입증된 word2vec을 활용한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문서 분류에 적용 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doc2vec을 함께 CNN에 적용하고 기반 모델의 구조를 개선한 문서 분류 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토큰화 방법을 선정하기 위한 초보적인 실험을 통하여, 어절 단위, 형태소 분석, Word Piece Model(WPM) 적용의 3가지 방법 중 WPM이 분류율 79.5%를 산출하여 문서 분류에 유용함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WPM을 활용하여 생성한 단어 및 문서의 벡터 표현을 기반 모델과 제안 모델에 입력하여 범주 10개의 한국어 신문 기사 분류에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모델이 분류율 89.88%를 산출하여 기반 모델의 분류율 86.89%보다 2.99% 향상되고 22.80%의 개선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doc2vec이 동일한 범주에 속한 문서들에 대하여 유사한 문서 벡터 표현을 생성하기 때문에 문서의 분류에 doc2vec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다양한 조류종들의 세포외 유기물질에서의 염소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Characteristics of Formation of Chlorination Disinfection By-Products in Extracellular Organic Matter of Various Algal Species)

  • 손희종;박홍기;황영도;정종문;김상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41-547
    • /
    • 2015
  • Forma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including trihalomethans (THMs) and haloacetic acids (HAAs) from chlorination of six different species (Chlorella vulgaris, Scenedesmus sp., Anabaena cylindrical, Microcystis aeruginosa, Asterionella formosa and Aulacoseira sp.) of algal extracellular organic matter (EOM). The EOM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six algal species reaching at the stationary phase in the growth curve showed most of its SUVA254 showed below 1 and this means hydrophilic organic matter is much higher than hydrophobic organic matter. Chloroform formation potential (CFFP), dichloroacetic acid formation potential (DCAAFP) and trichloroacetic acid formation potential (TCAAFP) were mainly composed of THMFP and HAAFP in the EOM of various algal species. In the case of THMFP/DOC and HAAFP/DOC values, EOM of blue-green algae has appeared highest and EOM of green algae and diatom in order. THMFP/DOC was higher than HAAFP/DOC in EOM of blue-green algae. In comparison of formation potential by unit DOC composed of HAAFP in algal species EOM, DCAAFP/DOC was 1.5 times to 7.5 time higher than TCAAFP/DOC in the EOM of blue-green algae, while DCAAFP/DOC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CAAFP/DOC in the EOM of green algae and diatom.

댐저수지 유입 후 유기탄소 농도 및 성상 변화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Carbon After Entrance into Dam Reservoirs)

  • 신재원;이보미;허진;박지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1-87
    • /
    • 2013
  • Changes of organic carbon after the entrance into dam reservoirs were investigated using water samples collected in May, September, and October in 2010 from the inflow sites and the outlets of four selected dam reservoirs-Soyang, Chungju, Chungju regulation, and Uiam. Increase of refractory dissolved organic carbon (R-DOC) was observed only for large dam reservoirs with long residence times whereas the trend was not found for relatively small reservoirs. The effects of residence times on organic carbon changes were further confirmed b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nthly residence times and the relative increase of either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or R-DOC concentrations. Comparison of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of DOC revealed that the changes in the large reservoirs in May might result from in-lake processes. The inflow of terrestrial sources of DOM during storms appears to largely affect the DOC quality of the large reservoirs for the rest of the sampling periods. The mechanism, however, did not fully explain the behaviors of DOC for the small sized reservoirs. Our combined results suggested that both residence time and the input of allochthonous carbon sources might substantially influence the quantity of DOC as well as its quality in dam reservoirs.

Investigating SIR, DOC and SAVE for the Polychotomous Response

  • Lee, Hak-Bae;Lee, Hee-Mi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9권3호
    • /
    • pp.501-506
    • /
    • 2012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entral subspace related with SIR, DOC and SAVE when the response has more than two values. The subspaces constructed by SIR, DOC and SAVE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SAVE paradigm is the most comprehensive. In addition, the SAVE coincides with the central subspace when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of predictors given the response is normally distributed.

고도처리공정이 관로 내 잔류염소 감소 및 THM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vanced Treatment Process for Residual Chlorine Decay and THM Format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 이두진;김영일;김성수;이경혁;박현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9-424
    • /
    • 2007
  •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욕구가 커짐에 따라 막, 오존, 활성탄 등 다양한 고도처리공정이 정수장에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도처리공정의 도입으로 인한 관로 내 잔류염소 감소 및 THM 생성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오존, 활성탄, 오존/GAC 공정별 DOC 제거특성과 bottle test를 이용한 잔류염소 감소 및 THM 생성특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처리공정에서 DOC 제거율보다 $UV_{254}$ 유발물질의 제거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존공정에 의한 DOC 제거율은 기존 모래여과수 대비 약 4%에 불과하였으나, $UV_{254}$는 약 17%로 DOC 제거율보다 훨씬 더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오존에 의해 소수성 유기물이 친수성 유기물로 변환되었기 때문이다. 오존/GAC 공정이 유기물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모래여과, 오존, GAC, 그리고 오존/GAC공정을 거친 처리수의 잔류염소 감소계수는 각각 0.0230, 0.0307, 0.0117 그리고 0.0098 $hr^{-1}$ 나타났으며, 190시간 반응 이후 모래여과수는 THM이 81.8 ${\mu}g/L$ 생성된 반면, 오존, GAC, 그리고 오존/GAC의 처리수는 모래여과수에 비해 각각 6.0, 26.2, 30.3% 적게 생성되었다. 결론적으로 고도처리공정에 의해 관로 내 잔류염소의 지속성이 증대되었으며, THM 생성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속 모래여과 공정에서의 Geosmin 제거 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Geosmin in a Slow Sand Filteration Process)

  • 손희종;염훈식;장성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754-760
    • /
    • 2010
  • 완속 모래여과 컬럼의 생물막(schmutzdecke)은 운전 시작 30일 정도에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체량과 활성도는 각각 $4.5{\times}10^6\;CFU/g$$3.42\;mg{\cdot}C/m^3{\cdot}hr$로 나타났다. 정상상태에 도달한 생물 여과층의 박테리아 종 분포는 Pseudomonas sp.가 차지하는 비율이 56%였으며 그 중에서 Pseudomonas fluorescens가 전체비율의 22%를 차지하였다. 운전 시작 30일 후의 용존 유기탄소(dissolved organic carbon, DOC)와 geosmin의 제거율은 각각 27%와 95%로 나타나 최대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에는 DOC와 geosmin의 제거율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수온 변화에 따른 DOC와 geosmin의 제거율 변화에서 유입수의 수온이 $5^{\circ}C$일 경우 geosmin과 DOC의 평균 제거율은 각각 62%와 10%로 나타났으나 수온을 $15^{\circ}C$$25^{\circ}C$로 증가시켰을 경우에는 geosmin과 DOC의 평균 제거율이 각각 88%와 25% 및 100%와 42%로 나타났다. 수온 변화에 따른 완속 모래여과 컬럼의 상부 생물막 층에서의 geosmin과 DOC에 대한 생물분해 속도상수(k)는 $1.842{\sim}15.965\;hr^{-1}$$0.253{\cdot}1.123\;hr^{-1}$이였고, 상부의 생물막 층이 그 하부 보다 DOC와 geosmin에 대한 생물분해 속도상수가 각각 18~32배 및 20~51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