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NA Synthesis Inhibitio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용균과 DNA 패키징 유전자가 결핍된 온도 민감성 박테리오 파아지 람다 시스템에서 재조합 단백질 생산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Temperature Effect on the Productivity of Recombinant Protein in a Lysis and DNA packaging-deficient and Temperature-sensitive Bacteriophage $\lambda$System)

  • 오정석;박태현
    • KSBB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12-115
    • /
    • 2005
  • 본 연구는 장시간의 산업적인 연속 배양에서 문제가 되는 플라즈미드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박테리오 파아지람다를 벡터로 이용하였다. 또한, 벡터의 안정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용균과 ${\lambda}DNA$패키징이 결핍된 돌연변이 람다를 선별하였다. 이 돌연변이 람다는 온도 전환에 의해서 단백질이 생산되는 온도 민감성 돌연변이 cI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조합 단백질 생산, ${\lambda}DNA$ 복제,숙주 세포의 안정성 등이 lytic상태로의 전환을 유도하는 온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 $36^{\circ}C$의 배양 온도는 lytic으로 전환이 잘 되지 않았고, $40^{\circ}C$ 이상의 배양 온도는 완전한 lytic상태를 유도하였다. 그러나$42^{\circ}C$의 배양 온도에서는 생산성이 감소되는 온도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다. 온도가 증가할수록 박테리오 파아지가 들어 있지 않는 대장균의 수는 증가하였고,이것은 새로운 파아지를 만들 수 있는 박테리오 파이지를 사용하여 재감염을 시키면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과적으로 단위 세포당 발현량은 $40^{\circ}C$에서 최대를 나타내었고, 안정성이나 총 발현량의 관점에서는 $38^{\circ}C$가 최적의 온도로 관찰되었다.

핵산합성 억제제인 decitabine과 NF-κB 활성 저해제인 PDTC의 병용 처리에 의한 인체 위암세포사멸 효과 증진 (Increased Apoptotic Efficacy of Decitabine in Combination with an NF-kappaB Inhibitor in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s)

  • 최원경;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268-1276
    • /
    • 2018
  • Cytidine analog decitabine (DEC)은 핵산 합성의 억제제로서 골수이형성 증후군 및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산화질소 합성에서 번역 단계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ammonium pyrrolidine dithiocarbamate (PDTC)는 $NF-{\kappa}B$의 대표적인 억제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위암 AGS 세포를 대상으로 DEC와 PDTC의 병용 처리에 따른 세포증식 억제 기전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PDTC에 의한 AGS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는 DEC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는 G2/M기의 세포주기 정지 및 apoptosis 유도와 관련이 있었다. PDTC와 DEC의 병용 처리에 의한 세포 사멸의 유도는 DNA 손상 유도와 관련이 있음을 H2AX의 인산화 증가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PDTC와 DEC의 병용 처리는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의 파괴를 유도하고,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의 생성과 Bax의 발현을 향상시키고, Bcl-2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의 cytochrome c 유출을 증가시켰다. 또한 PDTC과 DEC의 병용 처리는 외인성 및 내인성 apoptosis 개시 caspase에 해당하는 caspase-8과 caspase-9의 활성뿐만 아니라 caspase-3의 활성화와 PARP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PDTC와 DEC의 병용 처리가 DNA 손상을 유발하고, ROS 증가와 연계된 외인성 및 내인성 apoptosis 사멸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AGS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음을 의미한다.

인체거대세포바이러스에 의한 인체 단핵구세포의 세포주기 저해 (Cell Cycle Arrest in Human Monocyte Cell Line by Human Cytomegalovirus)

  • 장소영;김미숙;이찬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99-304
    • /
    • 2008
  • 마이엘로이드 계열의 단핵세포는 인체세포거대바이러스(human cytomegalovirus, HCMV)의 잠복 부위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세포에서 HCMV에 의한 세포주기의 촉진 또는 억제에 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단핵세포에서의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핵세포에 HCMV가 감염되면 세포주기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Propidium iodide를 이용한 유세포 분석을 통한 세포주기 분석에서 HCMV에 감염된 THP-1 세포에서는 G0-G1기가 증가하고, 그만큼 S가 감소함을 보았다. 반면 HL-60 세포에서는G0-G1기와 S기의 상대적인 비율에 큰 변화가 없었다. BrdU 유입 실험에서 THP-1세포의 DNA 합성이 HCMV 감염에 의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세포주기의 G1기에서 S기로의 전환을 억제하는 p21 단백질은HCMV에 감염된 THP-1 세포에서는 발현이 유도되었지만 HL-60 세포에서는 거의 발현이 되지 않았다. 따라서 HCMV는 promocyte THP-1 세포에서 p21 단백질의 유도에 의해 세포주기를 G0-G1기에서 억류함에 따라 세포중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vivo와 In vitro 실험에서 가미쌍화탕 및 구성한약재가 마우스의 모발 성장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Gamissanghwa-tang and each Medicinal Plant Extract for the Hair Growth of the Mice using In vivo and In vitro Test)

  • 윤정훈;김남권;임규상;노석선;황충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61-570
    • /
    • 2004
  • To screen the effective materials for hair loss treatment, the Gamissanghwa-tang extracts were tested.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Gamissanghwa-tang extracts have the hair growth promoting effect. After topical application of each test materials to the back of CS7BL/6 mice, the earlier conversion of telogen-to-anagen phase was induced. In the experiments of 5α-reductase type II inhibition assay, Radix Paeoniae Alba, Semen Cuscutae showed effective potential to inhibit the activity of 5α-reductase type II. And hair growth index of the Gamissanghwa-tang extracts ranked as 1.2, especially the hair growth index of Fructus Rubi is highest as 1.8. But there were no plant extracts which have effect on the DNA proliferation of hair dermal papilla cell measured by [³H]thymidine incorporation, the expression of growth factors such as IGF-I, KGF, HGF estimated by RT-PCR and protein synthesis of vibrissae hair follicle measured by [/sup 35/S] cysteine incorporation. Cortex Cinnamomi showed anti-bacterial effect on P. ovale, Radix Paeoniae Alba has the highest radical scavening activity and Radix Glycyrrhizae has the highest effects of NO synthe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missanghwa-tang can be used as a potent treatment agent for helping hair growth stimulation.

B16F1세포에서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합성에 대한 유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효능 (Effect of Ulmus macrocapa Ethanolic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 Cells)

  • 권은정;박혜정;김문무;이경록;홍일;이도경;오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46-951
    • /
    • 2014
  • 멜라닌은 superoxide, hydroxyl radical, singlet oxygen, hydrogen peroxide와 같은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질, 단백질, DNA 산화를 야기시키는 활성산소는 주근깨와 기미의 원인으로 알려진 melanin 과잉생산을 유도한다. 한약재중에서 본 연구에 사용된 유백피는 주요 성분으로 flavonoids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16F1에서의 유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UMEE는 $3.12{\mu}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항산화 실험에서 UMEE는 높은 환원력과 DPPH 소거효과를 보여주었다. 더욱이 UMEE는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UMEE는 in vitro에서 tyrosinase활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UMEE는 melanogenesis에서 중요한 효소인 tyrosinase 및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UMEE가 항산화 활성뿐 만 아니라 tyrosinase 및 TRP-2의 발현억제를 통한 미백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에 미백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적인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Giberellic acid와 Abscisic acid가 대맥종자(大麥種子) 및 초엽(?葉)에서 핵산합성(核酸合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Gibberellic and Abscisic Acids on The Synthesis of Ribonucleic Acid in Seeds and Coleoptiles of Barley)

  • 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2호
    • /
    • pp.84-102
    • /
    • 1978
  • 대맥(大麥)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 $10{\mu}M$ GA를 처리(處理)하여 배양(培養) 10시간(時間)에 배지(培地)에서 ABA의 농도(濃度)가 각각(各各) $0.1{\mu}M,\;5{\mu}M$$10{\mu}M$이 되도록 ABA 용액(溶液)을 첨가하여 ${\alpha}-amylase$ 생성(生成)의 소장(消長)을 그리고 $10{\mu}M$ GA와 $10{\mu}M$ ABA 혼합액(混合液) 처리(處理)하여 10시간(時間) 배양(培養) 후(後) 핵산(核酸)의 거동을 $10{\mu}M$ GA처리구(處理區)의 그것과 비교(比較)하였다. 대맥(大麥) 초엽(?葉)에 $10{\mu}M$ GA와 $10{\mu}M$ ABA를 처리(處理)하여 초엽의 생육(生育), chlorophyll, RNase의 활성(活性), 단백질(蛋白質) 및 총(繼) RNA 함량(含量)의 소장(消長)을 처리구(處理區)의 그들과 비교(比較)하였고 이들 hormone 처리(處理) 20시간(時間) 배양후(培養後) 핵산(核酸)의 거동 및 polysome과 menosome의 상대적(相對的)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여 몇 가지 결론(結論)을 얻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GA 처리(處理)에 의(依)한 총(總)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은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으며 ${\alpha}-amylase$의 분비(分泌)는 배양(培養) 18시간(時間)부터 활발(活潑)하였다. 2) $0.1{\mu}M$ ABA 첨가는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부분적(部分的)으로 저해(沮害)시켰으나 $5{\mu}M$$10{\mu}M$ ABA 첨가는 다같이 첨가 4시간(時間) 후(後)에 완전(完全)히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저해(沮害)시켰으며, 배양과정중(培養過程中) $5{\mu}M$ ABA 첨가는 GA의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완전(完全)히 ${\alpha}-amylase$의 생성(生成)을 저해(沮害)시켰다. 3) ABA는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서 ${\alpha}-amylase$의 분비(分泌)에 별(別)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4) 무배아반편종자(無胚芽半片種子)에서 GA 단독(單獨) 처리구(處理區)와 GA-ABA 처리구간(處理區間)에 핵산(核酸)의 분획(分劃)에서 별(別) 이(異)가 없었다. 5) 초엽에서 GA의 처리(處理)는 r-RNA 획분(劃分)을 증가(增加)시킨 반면(反面) ABA 처리(處理)는 r-RNA 획분(劃分)을 감소(減少)시킴과 동시(同時)에 s-RNA 획분(劃分)을 증가(增加)시켰는권(權) 이는 이들 hormone이 RNase의 활성(活性)에 상이(相異)한 영향(影響)을 준 것으로 보였다. 6) 초엽에서 ABA 처리(處理)는 RNA-DNA 획분(劃分)의 성분비(成分比)를 감소(減少)시켰다. 7)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RNase의 활성(活性)을 감소(減少)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의 활성(活性)을 증대(增大)시켰다. 8)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총(總) RNA에 큰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를 현저히 감소(減少)시켰다. 9) 초엽에 있어서 GA 처리(處理)는 초엽의 생장(生長) 및 chlorophyll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들을 감소(減少)시켰다. 10) 초엽에서 GA 처리(處理)는 단백질(蛋白質) 및 polysome의 형성(形成)을 촉진(促進)시켰으나 ABA 처리(處理)는 이들을 감소(減少)시켰다. 11) ABA 처리(處理)는 polysome의 형성(形成)이 저해(沮害)되는 까닭은 ABA가 r-RNA의 합성(合成)을 저해(沮害)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_1$이 배양랫트 신경교세포의 성장 및 생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GF ${\beta}_1$ on the Growth and Biochemical Changes in Cultured Rat Glial Cells)

  • 김용식;윤용하;박난향;박찬웅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7-179
    • /
    • 1994
  • Recent evidence indicates that glial cells have a wide range of funtions which are critical for maintaining a balanced homeostatic environment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CNS) peripheral nervous system(PNS). Morever, astrocytes are known to participate in the tissue repair and neuroimmunologic events within the CNS through many kinds of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GF\;{\beta}_1$, on the growth and biochemical changes of rat glial cells in culture. The proliferative effect was determined by $^3H-thymidine$ uptake and the double immunostain with anti-cell-specific marker and anti-Bromodeoxyuridine(BrdU) antibody. To check the effect of biochemical changes we compared the amounts of glial fibrillar acidic protein(GFAP) and the activity of glutamine synthetase(GS) in astrocyte. And the amounts of myelin basic protein and the activity of 2',3'-cyclic nucleotide phosphohydrolase(CNPase) were measured in oligodendrocyte and the amounts of peripheral myelin in Schwann cell. When $TGF\;{\beta}_1$, was treated for 2 days with cultured glial cell, $TGF\;{\beta}_1$, decreased the $^3H-thymidine$ uptake and proliferation index of double immunostain of astrocytes, which indicates the inhibition of astroglial DNA synthesis, but stimulated the growth of Schwann cell. Also, $TGF\;{\beta}_1$, decrease the GS activity and increased the amounts of GFAP in astrocyte. In the case of Schwann cells the amounts of peripheral myelin was increased when treated with $TGF\;{\beta}_1$. However, $TGF\;{\beta}_1$, didn't show any effect on the proliferation and biochemical changes in oligodendrocy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GF\;{\beta}_1$, might have a critical action in the regulation of proliferation and biochemical changes in glial cells, especially astrocyte.

  • PDF

Diphlorethohydroxycarmalol Suppresses Ultraviolet B-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s via Inhibition of JNK and ERK Signaling in Human Keratinocytes

  • Piao, Mei Jing;Kumara, Madduma Hewage Susara Ruwan;Kim, Ki Cheon;Kang, Kyoung Ah;Kang, Hee Kyoung;Lee, Nam Ho;Hyun, Jin Wo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6호
    • /
    • pp.557-563
    • /
    • 2015
  • Skin aging is the most readily observable process involved in human aging. Ultraviolet B (UVB) radiation causes photo-oxidation via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reby damaging the nucleus and cytoplasm of skin cells and ultimately leading to cell death.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high levels of solar UVB irradiation induce the synthesi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n skin fibroblasts, causing photo-aging and tumor progression. The MMP family is involved in the breakdown of extracellular matrix in normal physiological processes such as embryonic development, reproduction, and tissue remodeling, as well as in disease processes such as arthritis and metasta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phlorethohydroxycarmalol (DPHC) against damage induced by UVB radiation in human skin keratinocytes. In UVB-irradiated cells, DPHC significantly reduced expression of MMP mRNA and protein, as well as activation of MMPs. Furthermore, DPHC reduced phosphorylation of ERK and JNK, which act upstream of c-Fos and c-Jun, respectively; consequently, DPHC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Fos and c-Jun, which are key components of activator protein-1 (AP-1, up-regulator of MMPs). Additionally, DPHC abolished the DNA-binding activity of AP-1, and thereby prevented AP-1-mediated transcriptional activation. These data demonstrate that by inactivating ERK and JNK, DPHC inhibits induction of MMPs triggered by UVB radiation.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roA from Rhizobium leguminosarum with Significant Glyphosate Tolerance in Transgenic Arabidopsis

  • Han, Jing;Tian, Yong-Sheng;Xu, Jing;Wang, Li-Juan;Wang, Bo;Peng, Ri-He;Yao, Quan-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9호
    • /
    • pp.1162-1169
    • /
    • 2014
  • Glyphosate is the active component of the top-selling herbicide, the phytotoxicity of which is due to its inhibition of the shikimic acid pathway. 5-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 (EPSPS) is a key enzyme in the shikimic acid pathway. Glyphosate tolerance in plants can be achieved by the expression of a glyphosate-insensitive aroA gene (EPSPS). In this study, we used a PCR-based two-step DNA synthesis method to synthesize a new aroA gene ($aroA_{R.\;leguminosarum}$) from Rhizobium leguminosarum. In vitro glyphosate sensitivity assays showed that $aroA_{R.\;leguminosarum}$ is glyphosate tolerant. The new gene was then expressed in E. coli and key kinetic values of the purified enzyme were determined. Furthermore, we transformed the aroA gene into Arabidopsis thaliana by the floral dip method. Transgenic Arabidopsis with the $aroA_{R.\;leguminosarum}$ gene was obtained to prove its potential use in developing glyphosate-resistant crops.

Haematologic Parameters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 Combination Therapy

  • Inanc, Mevlude;Duran, Ayse Ocak;Karaca, Halit;Berk, Veli;Bozkurt, Oktay;Ozaslan, Ersin;Ozkan, Met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호
    • /
    • pp.253-256
    • /
    • 2014
  • Background: The standard treatment in the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consists of 5-FU based infusional regimens. However, with oral fluoropyrimidines, equal tumor responses may be obtained. Capecitabine causes macrocytosis of the cells by inhibition of DNA synthesis. In this context, a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mean corpuscular volume (MCV) and response to 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 but whether this relationship also pertains in colorectal cancer has not been established.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2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a oxaliplatin (XELOX)${\pm}$Bevacizumab combination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hree groups. Hematological parameters (MCV, MPV, PCT, PLT, NLR) were recorded retrospectively, before treatment and after 3 cycles of chemotherapy. Results: After three cycles of therapy, 20 (19.6%) patients had progressive disease (PD), 41 (40.1%) had stable disease (SD), and 41 (40.1%) demonstrated a partial response (PR). In 62 (60.7%) treatment was with capesitabin plus XELOX therapy, and in 40 (39.2%) it was XELOX-Bevacizumab combination therapy.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before the treatment in terms of MCV, MPV, PCT, PLT, and NLR. MCV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chemotherapy response groups (PR and SD). In addition,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for platelet count in chemotherapy response groups. While NLR decrease was seen in only a PR group, PCT decrease was observed in all three groups. PCT and PLT values were higher in patients receiving Bevacizumab. Conclusions: PLT, PCT, MPV, and NLR values were decreased due to Capecitabine-based chemotherapy, however MCV was increased. PCT and PLT values were higher in patients who received Bevacizumab than those who did not. MCV, PLT, and NLR can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response to colorectal carcinoma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