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LMS 프로토콜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4초

스마트 그리드 기반 통합 SCADA Data Gateway 플랫폼 (The Integrated SCADA Data Gateway Platform based on SmartGrid)

  • 송병권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40-145
    • /
    • 2014
  • OPC UA(IEC62541)는 SG(Smart Grid) 응용 플랫폼 간에 연계 프로토콜로서, 2012년 12월에 IEC TC57 그룹에서 IEC62541로 표준화되었다. IEC61850은 디지털 변전소 및 스마트 배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SCADA 표준 프로토콜이고, DNP3.0은 RTU나 IED와 같은 장비에 대해 데이터 수집 제어를 위한 프로토콜로서 기존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다. DLMS/COSEM은 전기 계량기를 제어하고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스마트 계량기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상위 SG 운영 플랫폼에서 IEC61850 이나 DNP3.0을 비롯한 다양한 전력 IT 시스템들을 투명하게(Transparent) 관리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에 독립적인 미들웨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IEC61850, DNP3.0, DLMS/COSEM 기반의 디지털변전소, 스마트 배전시스템 및 기존 배전 자동화 시스템을 단일 OPC UA 클라이언트로 통합 관리하기 위한 SDG(Scada Data Gateway)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이 게이트웨이는 OPC UA를 통해서 스마트미터, 디지털변전소 및 스마트배전 시스템을 관리한다.

Meter Configuration Script를 이용한 DLMS/COSEM 계량기 S/W 설계 방법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sign method for DLMS/COSEM meter S/W using Meter Configuration Script)

  • 임창준;한광수;김병섭;김종배;정남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108-110
    • /
    • 2006
  • 계량기의 시장이 독점 시장에서 자유 시장으로 천이 되면서 시장은 계량기의 상호운용능력과 계량기의 지능, 관리능력 그리고 보안등의 부가적인 기능들을 요구 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맞추어 DLMS 프로토콜을 표준으로 하고 COSEM 오브젝트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는 계량기 표준인 IEC 62056이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EC 62056에서 정의한 프로토콜 및 서비스에 적합한 DLMS/COSEM 계량기의 S/W 아키텍처 및 그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계량기 S/W는 크게 MCS와 MOM으로 구성되며, MCS는 계량기의 모델링 스크립트로 COSEM 오브젝트와 계량기의 구체적인 기능을 명시하고, MOM은 MCS를 읽어 계량기를 구동 시키는 모듈로 MCS에서 선언된 기능 및 동작을 해석하여 계량기를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기능을 갖는 계량기로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 PDF

OPC 기반 전력 IT 시스템 연동 플랫폼 (Power IT System Integration Platform based on OPC)

  • 송병권;김건웅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3-40
    • /
    • 2010
  • OPC는 산업자동화와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을 지원하는 개방형 연결 시스템이다. OPC XML-DA는 웹 서비스 기반의 플랫폼에 독립적인 통신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OPC를 사용해 변전소 자동화 프로토콜로 사용되는 IEC61850을 통해 배전 프로토콜인 DNP3.0, AMI에서 사용되는 DLMS 프로토콜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전력 IT 시스템 연동 플랫폼을 제안한다.

TETRA 기반 전력자동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Gateway System for Power Automation based on TETRA)

  • 송병권;김건웅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1-50
    • /
    • 2010
  • TETRA는 ETSI에서 제안한 디지털 주파수 공용 통신의 표준 규격이다. 현재 한국에서 전력IT 무선 백본 망으로 채택되었다. 경찰서와 소방서는 TETRA 망을 사용한다. 현재 전력자동화 프로토콜로는 배전 자동화에 사용되는 DNP3.0, 원격 검침에 사용되는 DLMS, 변전소 자동화에 사용되는 IEC61850 프로토콜이 있다. 이러한 전력 자동화 프로토콜들은 CDMA나 WCDMA 모뎀을 이용하여 송수신되고 있다. 만약 전력자동화 프로토콜을 TETRA 네트워크로 전송 한다면, 경찰서나 소방서와의 시스템과 상호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상황 대처를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TETRA를 이용하는 전력자동화 프로토콜로 전송 할수 있는 전력자동화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제안한다.

차세대 검침 기반구조를 위한 스마트 미터 집중기 제어 프로토콜의 구현과 성능분석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Smart Meter Concentrator Control Protocol for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 장순건;최인지;박병석;김영현;윤종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3호
    • /
    • pp.41-4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전력량계 집중장치와 검침서버간에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집중장치는 DLMS/COSEM 표준프로토콜 기반에서 스마트 전력량계에 대한 연결설정 및 데이터 수집절차를 수행한다. 하지만 수집된 자료를 전달할 때 필요한 집중장치와 검침서버간에는 표준화된 프로토콜이 없어 제품마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집중장치와 검침서버간의 프로토콜로 기존의 DLMS/COSEM 표준프로토콜을 확장한 개방형 프로토콜인 Smart Meter Concentrator Control Protocol(SMCCP)를 제안하였다. 이것은 집중장치로 하여금 검침서버를 대신하여 검침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프록시모드 뿐만 아니라 검침서버와 전력량계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릴레이모드도 설정하고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의 동작을 실증할 수 있는 에뮬레이터 및 프로토콜 분석도구를 구현하였다. 또한 각 모드에 대한 동작과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OMNET++기반의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여 모드별 평균세션유지시간 및 통신링크 점유율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원격검침 표준 프로토콜 인증 시스템 구축과 표준화에 관한 연구 (Case Study on Auto Meter Reading Protocol Certificate System for Smart Grid and Standardization)

  • 최인지;박병석;최효열;명노길;이상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1B호
    • /
    • pp.75-8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의 대표적 서비스인 원격검침을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 DLMS(Device Language Message Specifications)의 도입에서부터 정착까지 한국전력공사의 원격검침 인증 시스템 구축내용과 연구개발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재 운용 중인 55만 저압고객에 대한 고속 PLC를 활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은 전력회사의 자체 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써, 전 세계적으로도 사업화에 빠르게 적용한 케이스이다. 여기에는 국제 표준 기반 원격검침 프로토콜을 탑재한 전자식 전력량계와 원격검침 핵심 기기 간 프로토콜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의 적기 구축이 큰 성공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한국전력공사에서는 DLMS 표준 기반 인증 시스템의 구축을 통하여 국내의 원격검침 서비스와 관련된 장비의 품질을 높이고, 시장의 확장을 선도하였으며, 스마트 그리드의 초창기 사업화 안착에도 많은 기여를 하였다. 또한, 전력선통신 분야 원천기술 개발의 지속 추진을 통한 각종 IPR의 확보 및 표준화 활동을 통하여 스마트 그리드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HDLC 프로토콜 기반 DLMS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 (DLMS Traffic Monitoring System base on HDLC Protocol)

  • 송병권;김새벽;김경헌;정태의;김진철;김영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D)
    • /
    • pp.491-494
    • /
    • 2008
  • 기존의 전력량계의 원격 검침을 위한 DLMS/COSEM(Device Languag Message Specification / Companion Specification for Energy Meters) 시스템에서의 실제 송,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표현 및 분석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이로 하여금 실제 검침원에게 시스템에서의 송 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실제 값 들을 분석하여 이틀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어 오류 발생 시에 세부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오류 원인을 찾아 낼 수 있다.

  • PDF

DLMS와 LwM2M 프로토콜 간 데이터 연동 모델 연구 (Data Interworking Model Between DLMS and LwM2M Protocol)

  • 명노길;박명혜;김영현;강동훈;은창수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6권1호
    • /
    • pp.29-33
    • /
    • 2020
  •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와 Internet of Things (IoT)는 동일한 구성방식과 동작원리에도 불구하고, 현장 단말인 스마트미터와 센서에서 사용하는 객체 모델링과 통신 프로토콜 차이로 인하여 이질적인 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향후에는 IoT 기술 확장과 시장지배력 강화에 따른 상호 간 연계 및 연동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evice Language Message Specification(DLMS) 및 Lightweight Machine to Machine (LwM2M) 표준의 객체 모델링 방식과 자원관리 특징을 분석하여 상호 간 연동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연동 모델은 DLMS와 LwM2M 간 1 대 1 변환 방식을 제공하며, LwM2M의 캡슐화(Encapsulation) 전송방식 대비 최대 46.5%로 패킷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범용 SCADA 게이트웨이 개발을 위한 IEC 61850 통신기능 분석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IEC-61850 for Development of General SCADA Gateways)

  • 김건웅;송병권;김새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83-986
    • /
    • 2008
  • SCADA 시스템과 관련된 많은 표준 프로토콜이 등장하고 있는데, 앞으로 DNP, IEC61850, DLMS 등의 프로토콜들이 공존하는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프로토콜들의 공존을 위한 범용 SCADA 게이트웨이 개발을 위해 분석한 IEC 61850의 통신기능을 소개하고 있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량계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 of a Watt-Hour Meter Monitoring System using Powerline Communication)

  • 박근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143-114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계량기의 데이터를 PC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전력선 통신(PLC : Power Line Communication) 모뎀과 데이터 수집 장치 (DCU : Data Concentrator Unit)를 적용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전력선 통신 모뎀은 기존의 전력선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기술로 별도의 신호선 설치에 대한 부담을 개선한다. 본 시스템은 가정용 계량기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가정의 전, 현 월 사용 전력량을 서버용 PC로 확인하여 요금 관리, 고장 관리를 편리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