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CT

검색결과 1,152건 처리시간 0.024초

CRT 기반의 DCT 영역 제로-워터마킹 (DCT Domain Zero-Watermarking based on CRT)

  • 김형도;손규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15
    • /
    • 2011
  • 제로-워터마킹은 디지털 콘텐츠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 왜곡과 품질 저하를 피할 수 있는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DCT 영역에서 CRT를 기반으로 한 제로-워터마킹 기법인 DCT0CRT를 제안한다. 무질서한 방식으로 선택된 DCT 블록의 DC 또는 낮은 주파수의 AC 계수들 중에서, 워터마크 정보와 매칭되는 CRT 기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 정보를 키로 생성함으로써, DCT 영역에서 제로-워터마킹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 워터마킹 기법은 이미지에 어떤 변경도 하지 않기 때문에, 이 워터마킹 기법을 적용한 이미지의 품질은 다른 CRT 기반 워커마킹 기법에 비하여 우수하며, 샤프닝, 블러링, JPEG 손실 압축 등을 이용한 공격에도 워터마크가 강인함을 보여준다.

3D-DCT 기반 집적영상 압축 방법의 율-왜곡 최적화를 통한 부호화 효율 향상 방법 (Coding Efficiency Improvement By Applying Rate-Distortion Optimization To 3D-DCT Based Integral Image Compression Method)

  • 전주일;강현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집적영상의 압축 방법 중에 하나인 적응적인 블록 모드 선택을 이용한 3D-DCT 기반의 압축 방법에 율-왜곡 최적화 방법을 적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적응적인 블록 모드 선택을 이용한 3D-DCT 기반의 압축 방법은 영상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3D-DCT 블록을 구성한 후에 3D-DCT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에서 최적 블록 모드를 선택할 때, 율-왜곡 최적화 방법을 적용하여 부호화 효율을 개선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집적영상에 적합한 최적의 라그랑지 계수를 제시하였다.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과 비교해 약 5%의 비트량 절감 효과를 가진다.

스위칭 엑티비티를 최소화한 저전력 DCT 아키텍쳐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w-Power DCT Architecture by Minimizing Switching Activity)

  • 김산;박종수;이용주;이용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6C호
    • /
    • pp.603-613
    • /
    • 2006
  • 저전력 설계는 시스템의 소모전력을 줄임으로써 에너지 절약과 함께 휴대용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극대화시킴에 있어 직면한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량형 CSHM을 이용하여 저전력 DCT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구조는 Computation Sharing Multiplication 연산 과정 중 불필요한 비트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지 않는다. 실험 결과, 기존의 DCT 알고리즘과 동일한 연산 결과를 보이면서도 최대 약 9%의 소모전력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저전력 DCT 구조는 저전력 및 고성능으로 DCT 알고리즘을 처리해야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DCT 영역에서의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이용한 정지 영상 워터마킹 방법 (Still Image Watermarking in the DCT Domain Using the Human Visual System)

  • 권오형;박래홍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2C호
    • /
    • pp.1214-122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DCT 평면에서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을 사용한 정지영상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하였다. 정지영상에 삽입된 워터마크의 가시성을 줄이기 위하여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나타내는 MTF를 사용하였다. 제안한 워터마킹 방법이 lowpass filtering 및 cropping 등의 공격에 강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공간평면과 DCT 평면 사이의 에너지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DCT 평면에서 삽입될 워터마크의 길이와 공간 평면에서 원하는 peak signal to noise ratio (PSNR)가 주어졌을 때 DCT 평면에서 워터마크 weighting factor를 구하는 식을 유도하였으며, 원하는 PSNR과 공간평면 및 DCT 평면에서 계산된 PSNR이 본 실험에서 사용한 7가지 영상에 대하여 최대 0.07dB이내로 오차를 나타내었다.

알고리즘 분해를 이용한 2-D DCT (An efficient VLSI Implementation of the 2-D DCT with the Algorithm Decomposition)

  • 정재길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
    • /
    • pp.27-35
    • /
    • 1995
  •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코딩에 적용되는 2-D DCT의 효율적인 VLSI 구현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2차원 상태공간식에 근거한 알고리즘 및 데이타 분할기법을 활용하여 다중프로세서 구조에서 문제가 되는 프로세서간의 통신량을 크게 감축시켰으며, 모든 통신을 국부적(local)이 되도록 하였다. 순차 주사 방식의 영상데이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입력장치에 소요되는 하드웨어를 최소화하였으며, 계산의 순서를 조정함으로써 일반적인 행.열 분할 방법을 사용하는 2-D DCT에서 필요로 하는 Transposition RAM을 제거하였다. 제안된 VLSI 구조는 실시간 one-chip 2-D DCT 및 보다 큰 2-D DCT로 확장될 수 있다.

  • PDF

DCT 기반의 워터마크 재정렬을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Using Watermark Reordering Based on Discrete Cosine Transform)

  • 배성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5호
    • /
    • pp.609-614
    • /
    • 2002
  • 워터마킹은 소유권을 주장하기 위하여 워터마크라는 디지털 신호를 영상에 첨가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DCT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을 개선하여 비가시성과 견고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새로운 DCT 기반의 디지털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원 DCT 계수의 상대적 중요성이 워터마킹된 DCT 계수에서도 보존되며, 원 DCT 계수의 왜곡을 최소화시키는 워터마크 재정렬 방법을 이용함으로서 비가시성과 견고성을 향상시킨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워터마킹 방법보다 비가시성을 약 9~12[dB] 향상시키며, 다양한 공격에 대해 견고성이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영상 특성을 이용한 3D-DCT 기반의 적응적인 비디오 워터마킹 (Adaptive Video Watermarking based on 3D-DCT Using Image Characteristics)

  • 박현;이성현;문영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3호
    • /
    • pp.68-7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각 특성(Human Visual System)과 3D-DCT(Three Dimensional Discrete Cosine Transform) 블록 특성을 이용한 적응적인 비디오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3D-DCT 계수들의 분포에 따라 3D-DCT 블록을 움직임과 텍스쳐 모두 있는 블록, 움직임은 거의 없고 텍스쳐만 있는 블록, 움직임과 텍스쳐 모두 거의 없는 블록 등 3가지 패턴으로 분류한다. 또한 분류된 3D-DCT 블록의 패턴 비율에 따라 영상을 움직임과 텍스쳐 모두 있는 영상, 움직임은 거의 없고 텍스쳐만 있는 영상, 움직임과 텍스쳐 모두 거의 없는 영상 등 3가지 타입으로 분류한다. 제안된 워터마크 삽입 방법은 분류된 3D-DCT 블록패턴과 영상 타입에 따라 적응적으로 학습된 민감도 테이블과 비례 상수를 이용하여 입력 비디오 영상의 3D-DCT 중간 대역 계수에 적응적으로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실험 결과들은 제안된 방법이 투명성과 강건성에서 이전 방법보다 우수함을 보인다.

영상의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DCT 기반 워터마킹 기법 (Improvement of DCT-based Watermarking Scheme using Quantized Coefficients of Image)

  • 임용순;강은영;박재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7-22
    • /
    • 2014
  • 모바일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정보에 디지털 신호를 삽입하여 저작권을 주장하는 방안으로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 이산 코사인 변환(DCT)을 기반으로 하는 워터마킹 알고리즘 방법을 제안하였다. 워터마크 삽입 기법은 디지털 원영상의 DCT와 양자화를 통하여 계수들(Quantized Coefficient)를 얻게 되었고, 양자화 계수들은 원하는 위치(Key)에 따라 DCT를 기반으로 한 워터마크(DCT-based watermark)를 삽입하게 되었다. 워터마크가 삽입된 부호화 정보는 역 양자화와 역 DCT를 통하여 워터마크 된 영상을 얻게 된다. 워터마크 추출 기법은 워터마크된 영상과 위치(Key)만을 사용하며, 워터마크 된 영상을 DCT와 양자화를 통하여 원하는 위치(Key)에서 계수를 분리하여 역 DCT하여 원 워터마크를 얻을 수 있었다. 모의실험 결과, 워터마크된 영상과 추출된 워터마크에서 영상의 화질(PSNR)과 워터마크의 정규화 상관도 (NC) 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DCT 계수 제거 트랜스코딩에서의 전파 왜곡의 통계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Statistical Properties of Propagation Errors in DCT Coefficient-Dropping Transcoder)

  • 김진수;김재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55-564
    • /
    • 2007
  •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계수 제거 기법은 MC(Motion Compensated)-DCT 기반의 MPEG 비디오에서의 효율적인 율적응 트랜스코딩 기법이다. 그러나, 이들 기법에서는 DCT 계수 제거로 인한 왜곡이 전파되게 되고 종종 심각한 화질 열화를 유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왜곡 전파 특성에 대한 두 가지의 통계적 성질을 제시하고 수식적으로 분석한다. 즉, 현재 프레임의 DCT 계수 제거 왜곡과 이전 프레임에서 전파되어 오는 왜곡간에 상관성이 없음을 보이고 각 프레임의 DCT 제거로 발생되는 전파 왜곡의 누적과 현 프레임의 DCT 계수 제거 왜곡의 합으로 전체 왜곡을 근사할 수 있음을 보인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수식적으로 제시한 통계적 특성이 실제 비디오 시퀀스에서 유효함을 실험적으로 증명한다.

DMB 서비스를 위한 DCT 기반 MPEG-2/H.264 비디오 트랜스코더 시스템 구조 (DCT-domain MPEG-2/H.264 Video Transcoder System Architecture for DMB Services)

  • 이주경;권순영;박성호;김영주;정기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6호
    • /
    • pp.637-646
    • /
    • 2005
  • DMB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대부분의 비디오 컨텐츠는 MPEG-2 규격으로 압축된 채 제공되므로 실제 서비스를 위해서 H.264 규격으로 트랜스코딩을 수행해야 한다. 현재 사용되는 트랜스코딩 방식은 MPEG-2 비트열(bit-stream)의 디코딩과 H.264 규격으로의 인코딩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픽셀 기반 직렬 구조형 (CPDT, Cascaded Pixel-Domain Transcoding Architecture)이다. 이 방식은 두 표준의 소스 코드를 수정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현이 용이하지만 변환을 위한 처리 시간이 길고 디코딩과 인코딩을 반복하므로 화질의 열화가 발생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PEG-2로 압축된 비디오 비트열을 H.264로 트랜스크딩 할 때 변환 시간을 향상할 수 있는 DCT 기반의 열린 회로형 트랜스코더 구조(DCT-OPEN)와 변환시간은 CPDT와 유사하지만 화질면에서 우수한 DCT 기반 닫힌 회로형 트랜스코더(DCT-CLOSED)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에서는 CPDT 방식과 달리 압축 과정의 중간 단계인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하여 변환을 수행한다. 이때, MPEG-2와 H.264의 DCT 단위와 방법이 상이하므로 [l, 2]에서 제안된 방식을 이용하여 DCT 간의 변환을 수행한다. 제안된 구조의 성능 평가를 위해 MPEG-2 TM5하 H.264 JM8 코덱을 수정하여 다양한 구조를 구현하였으며 실험 결과 DCT-OPEN의 경우 CPDT에 비하여 계산 복잡도에서 우수하지만 PSNR 성능은 낮게 나타났으며 DCT-CLOSED의 경우 계산 복잡도는 높으나 화질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