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CM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6초

Reed-Solomon 복호기를 위한 새로운 E-DCME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 구조 (New Enhanced Degree Computationless Modified Euclid's Algorithm and its Architecture for Reed-Solomon decoders)

  • 백재현;선우명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8A호
    • /
    • pp.820-82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리드-솔로몬(Reed-Solomon) 복호기를 위한 새로운 E-DCME(enhanced degree computationless modified Euclid's) 알고리즘 및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E-DCME 알고리즘은 새로운 초기 조건을 사용하여 기존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 및 DCME 알고리즘에 비해 $T_{mult}+T_{add}+T_{mux}$의 짧은 최대 전달 지연(critical path delay)를 갖는다. 시스톨릭 에레이(systolic array)를 이용한 제안하는 구조는 키 방정식(key equation) 연산을 위해서 초기 지연 없이 2t-1 클록 사이클만을 필요로 하여 고속의 키 방정식 연산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DCME 알고리즘에 비해 사용하는 기본 셀의 개수가 적어 하드웨어 복잡도가 낮다. 전체 3t 개의 기본 셀(basic cell)을 사용하는 E-DCME 구조는 오직 하나의 PE(processing element)를 사용하므로 규칙성(regularity) 및 비례성(scalability)을 갖는다. $0.18{\mu}m$ 삼성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논리합성을 수행한 결과 E-DCME 구조는 18,000개의 게이트로 구성된다.

고속 Reed-Solomon 복호기를 위한 면적 효율적인 DCME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an Area-efficient DCME Algorithm for High-speed Reed-Solomon Decoder)

  • 강성진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13
    • /
    • 2014
  • In this paper, an area-efficient degree-computationless modified Euclidean (DCME) algorithm is presented and implemented for high-speed Reed-Solomon (RS) decoder. The DCME algorithm can be used to solve the key equation in Reed-Solomon decoder to get the error location polynomial and the error value polynomial. A pipelined recursive structure is adopted for reducing the area of key equation solver (KES) block with sacrifice of an amount of decoding latency. For comparisons, KES block for RS(255,239,8) decoder with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implemented using Verilog HDL and synthesized using Synopsys design tool and 65nm CMOS technology. The synthesis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rchitecture can be implemented with less gate counts than other existing DCME architectures.

RS(23,17) 복호기를 위한 PS-DCME 알고리즘 (Pipeline Structured-Degree Computationless Modified Euclidean Algorithm for RS(23,17) Decoder)

  • 강성진;홍대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MB-OFD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RS(23,17)부호의 복호기에 사용될 수 있는 PS-DCME(Pipeline Structured-Degree Computationless Modified Euclidea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PS-DCME 알고리즘은 다항식의 차수 계산과 차수 비교를 하지 않고 상태(state) 변화만을 이용하여 ME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때문에, 복호기의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고속의 RS(Reed-Solomon) 복호기를 구현할 수 있다. Verilog HDL을 사용하여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고, 삼성 65nm library를 이용하여 합성한 결과, 400MHz(2.5nsec)에서 timing closure되었기 때문에, 실제 ASIC을 제작했을 경우에 250MHz정도까지는 동작이 보장된다고 볼 수 있으며, gate count는 19,827이다.

  • PDF

새로운 DCME 알고리즘을 사용한 고속 Reed-Solomon 복호기 (High-Speed Reed-Solomon Decoder Using New Degree Computationless Modified Euclid´s Algorithm)

  • 백재현;선우명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0권6호
    • /
    • pp.459-4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차수 연산이 필요 없는 새로운 DCME 알고리즘 (Degree Computationless Modified Euclid´s Algorithm)을 사용한 저비용 고속 RS (Reed-Solomon) 복호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구조는 차수 연산 및 비교 회로가 필요 없어 기존 수정 유클리드 구조들에 비해 매우 낮은 하드웨어 복잡도를 갖는다. 시스톨릭 에레이 (systolic array)를 이용한 제안하는 구조는 키 방정식 (key equation) 연산을 위해서 초기 지연 없이 2t 클록 사이클만을 필요로 한다. 또한, 3t+2개의 기본 셀 (basic cell)을 사용하는 DCME 구조는 오직 하나의 PE (processing element)를 사용하므로 규칙성 (regularity) 및 비례성(scalability)을 갖는다. 0.25㎛ Faraday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논리합성을 수행한 RS 복호기는 200㎒의 동작 주파수 및 1.6Gbps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다. (255, 239, 8) RS 코드 복호를 수행하는 DCME 구조와 전체 RS 복호기의 게이트 수는 각각 21,760개와 42,213개이다. 제안하는 RS 복호기는 기존 RS 복호기들에 비해 23%의 게이트 수 절감 및 전체 지연 시간의 10%가 향상되었다.

D. candidum has in vitro anticancer effects in HCT-116 cancer cells and exerts in vivo anti-metastatic effects in mice

  • Zhao, Xin;Sun, Peng;Qian, Yu;Suo, Huay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5호
    • /
    • pp.487-493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D. candidum is a traditional Chinese food or medicine widely used in Asia.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into the anticancer effects of D. candidum, particularly the effects in colon cancer cel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D. candidum in vitro and in vivo. MATERIALS/METHODS: The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n HCT-116 colon cancer cells and in vivo anti-metastatic effects of DCME (Dendrobium canidum methanolic extract) were examined using the experimental methods of MTT assay, DAPI staining, flow cytometry analysis,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At a concentration of 1.0 mg/mL, DCME inhibited the growth of HCT-116 cells by 84%, which was higher than at concentrations of 0.5 and 0.25 mg/mL. Chromatin condensation and formation of apoptotic bodies were observed in cancer cells cultured with DCME as well. In addition, DCME induced significant apoptosis in cancer cells by upregulation of Bax, caspase 9, and caspase 3, and downregulation of Bcl-2. Expression of genes commonly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NF-${\kappa}B$, iNOS, and COX-2,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y DCME. DCME also exerted an anti-metastasis effect on cancer cells as demonstrated by decreased expression of MMP genes and increased expression of TIMPs, which was confirmed by the inhibition of induced tumor metastasis in colon 26-M3.1 cells in BALB/c mice. CONCLUSION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D. candidum had a potent in vitro anti-cancer effect, induced apoptosis, exhibite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exerted in vivo anti-metastatic effects.

새로운 저전력 및 저면적 리드-솔로몬 복호기 (New Low-Power and Small-Area Reed-Solomon Decoder)

  • 백재현;선우명훈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6호
    • /
    • pp.96-10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저전력 및 저면적 리드-솔로몬 (Reed-Solomon) 복호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리드-솔로몬 복호기는 새로운 단순화된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낮은 하드웨어 복잡도 및 저전력 리드-솔로몬 복호가 가능하다. 새로운 단순화된 수정 유클리드 알고리즘은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서 새로운 초기 조건 및 다항식 연산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3t개의 기본 셀로 구성된 새로운 단순화된 수정 유클리드 구조는 기존 수정 유클리드 구조는 물론 베르캠프-메세이 구조들에 비해 가장 낮은 하드웨어 복잡도를 갖는다. $0.18{\mu}m$ 삼성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논리합성을 수행한 리드-솔로몬 복호기는 370MHz의 동작 주파수 및 2.9Gbps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다. (255, 239, 8) 리드-솔로몬 코드 복호를 수행하는 단순화된 수정 유클리드 구조와 전체 리드-솔로몬 복호기의 게이트 수는 각각 20,166개와 40,136개이다. 따라서 구현한 리드-솔로몬 복호기는 기존 DCME 복호기에 비해 5%의 게이트 수 절감 효과를 갖는다.

다항식 표현을 이용한 DCME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Degree-Computationless Modified Euclidean Algorithm using Polynomial Expression)

  • 강성진;김남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0A호
    • /
    • pp.809-81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고속 RS(Reed-Solomon) 복호기의 KES(Key Equation Solver) 블록 구현에 ME(Modified Euclidean) 알고리즘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제안된 구조에서는 각 PE(Processing Element) 블록을 제어하기 위해 새로운 상대변수를 정의하고 다항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입출력 신호가 간단해지고, 차수계산회로가 필요 없기 때문에 회로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PE 회로가 오류 정정 능력 t와 무관하기 때문에, t가 증가함에 따라 KES 블록의 하드웨어 복잡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장점을 가진다. 제안된 구조와 기존의 구조를 비교하기 위해, RS(255,239,8) 복호기에 대한 KES 블록을 구현하고, 0.13um CMOS cell library를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된 구조를 이용하여 적은 gate count로 고속 RS 복호기 구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광통신 시스템을 위한 40Gb/s Forward Error Correction 구조 설계 (40Gb/s Foward Error Correction Architecture for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 이승범;이한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2호
    • /
    • pp.101-111
    • /
    • 2008
  • 본 논문은 40Gb/s급 광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고속 리드-솔로몬(RS) 복호기의 하드웨어 면적을 줄인 새로운 구조를 소개하고 RS 복호기 기반의 고속 FEC구조를 제안한다. 특히 높은 데이터처리율과 적은 하드웨어 복잡도를 가지고 있는 차수 연산 블록이 제거된 pDCME 알고리즘 구조를 소개한다. 제안된 16채널 RS FEC구조는 8개의 신드롬 계산 블록이 1개의 KES 블록을 공유하는 8 채널 RS FEC구조 2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4개의 신드롬 계산 블록에 1개의 KES블록을 공유하는 기존의 16채널 3-병렬 FEC 구조와 비교하여 하드웨어 복잡도를 약 30%정도 줄일 수 있다. 제안된 FEC 구조는 1.8V의 공급전압과 $0.18-{\mu}m$ CMOS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하였고 총 250K개의 게이트수와 5.1Gbit/s의 데이터 처리율을 가지고 400MHz의 클럭 주파수에서 동작함을 보여준다. 제안된 면적 효율적인 FEC 구조는 초고속 광통신뿐만 아니라 무선통신을 위한 차세대 FEC 구조 등에 바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