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STT-C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Formation)

  • 유지연;강훈식;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4-10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DASTT-C(Drawing-A-Science-Teacher-Test Checklist)를 이용하여 국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했다. 3개 교육대학을 선정한 후, 과학 심화전공과 비과학 심화전공의 2학년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1학기 초에, 4학년 학생 183명들을 대상으로 2학기 초에 DASST-C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과학 심화전공의 경우 2학년 보다 4학년 학생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가 더 학생 중심에 가까웠다. 그러나 비과학 심화전공의 경우에는 2학년과 4학년 학생들의 DASTT-C 점수 차이가 전체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심화전공과 관계없이 2학년 학생들은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의 교수 학습 경험을 제시했으나, 4학년 학생들의 경우에는 과학교육 관련 과목의 내용이나 교수 방식, 교육실습에서의 실제 수업이나 참관 경험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현행 예비 화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p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f-Images as Science Teachers)

  • 강훈식;신석진;차정호;한재영;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01-21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DASTT-C)를 이용하여 국내의 현행 예비 과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3개 사범대학을 선정한 후, 화학 교육과(과학교육학부 화학 전공) 3학년 72명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과목 이수 직전에, 4학년 53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직전과 직후에 DASTT-C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국내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는 ‘학생 중심'보다 ‘교사 중심'인 경향이 강했다.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교과교육 과목을 이수한 후에도 예비 과학교사들이 ‘학생 중심' 이미지를 지닌 경우가 매우 적었다. 심지어 교육실습 직후에 ‘학생 중심' 이미지를 지닌 일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사 중심' 이미지로 변하기도했다.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비 과학교사들은 사전 교수-학습 경험, 현실적 제약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조사 (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 강훈식;김명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64-470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DASTT-C)를 이용하여 국내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의 특징을 조사했다.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지역의 초등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국내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는 4개의 과학 과목(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에서 모두 '학생 중심'보다는 '교사중심'인 경향이 강했다. 이는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수관이 구성주의보다는 전통주의적인 경향이 강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구성주의에 기초한 예비 및 현직 교사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교육실습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s up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 강훈식;김은경;최숙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1-27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이 국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1개 교육대학 3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에 DASTT-C를 실시했다. 또한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도 실시했으며, 이 학생들 중 일부 학생들이 실습 기간 동안 실시했던 수업도 관찰했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는 교육실습 전에는 '학생 중심' 이미지에 근접했으나, 실습 후에는 '교사 중심' 이미지에 근접하게 변했다. 그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학생들은 교육실습 전에는 초 중등 교육과정이나 교육대학에서의 교수-학습 경험을 제시했다. 그러나 실습 후에는 실습에서의 교수-학습 경험을 제시했으며, 이는 크게 3가지 유형, 즉 실제 수업 경험의 영향, 동료 예비교사의 영향, 지도교사의 영향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미래 과학교육에 대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인식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ience Education of Future)

  • 나지연;장병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85-9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n science education of future by using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and open-end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the physical environment reflecting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for science education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However, few respondents indicated that student-centered equipment or a free and creative classroom environment would be provided. Second, they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changes in teacher's activiti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facilities and equipment, but most of the other teachers' activities were thought to be similar to those of current teachers. Third,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ought that a variety of new technologies would be used in science education and science teachers would mainly teach high-technology, IT technology, science knowledge, and newly discovered science concepts. In addition, we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mages were more 'teacher-centered' than 'student-centered'. These results show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re expected to utilize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actively in science education in 2030 and that it will lead to chang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teachers' activities,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they viewed acquisition of science concept as an important goal of science education in the future and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from the current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and scholars' emphasis on educational research for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