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otoxic effect

검색결과 1,303건 처리시간 0.029초

소리쟁이 잎과 뿌리 성분 분석 및 사람 조골 유사 MG-63 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and Roots of Rumex crispus and their Effects on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s)

  • 박혜진;정재훈;현한빛;김지혜;김해성;오현일;황혜성;김하형
    • 약학회지
    • /
    • 제58권5호
    • /
    • pp.307-313
    • /
    • 2014
  • Rumex crispus (curled dock), which is a perennial wild plant, has long been used as a laxative, astringent, and medicine to treat blood and skin diseases. We recently reported that the roots of R. crispus are an effective nutraceutical for bone. This study prepared ethanol extracts of the leaves and roots of R. crispus, and analyzed the major constituents using liquid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In addition, their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s, such as cell viability,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collagen content, and mineralization, were compared. The chromatograms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two extracts exhibited quite different profiles: quercetin and quercitrin were identified as major peaks in the leaf extract, whereas cinnamtannin B1 and procyanidin isomers were the major peaks for the root extract. Neither extract was cytotoxic at concentrations of < $25{\mu}g/ml$. ALP activity and collagen synthesis-which are markers of the early stage of osteogenesis-in MG-63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the addition of the root extract compared with the addition of the leaf extract. In contrast, the leaf extract had a more stimulatory effect on mineralization-which is marker of the late stage of osteogenesis-in MG-63 cells than did the root extract. In conclusion, extracts of both leaves and roots of R. crispus stimulated the bone-forming activity of osteoblasts; in particular, the root extract was more effective in the early stage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while the leaf extract was more effective in the late stage. This difference in anabolic activity may be due to differences in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and roots. The leaves and roots of R. crispus appear to complement each other as stimulators of bone formation.

자생 Tuber himalayense 자실체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indigenous Tuber himalayense in Korea)

  • 김민경;홍혜현;김정환;김승영;김창무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6-183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참나무 생육지에서 채집된 송로버섯의 일종인 T. himalayense 자실체 추출물(TH)의 항염증 활성을 확인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한 염증 억제 실험에서 TH는 100 ㎍/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LPS에 의해 증가된 NO와 PGE2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Western blot 분석 결과로 볼 때, TH의 항염증 활성은 iNOS와 COX-2 유전자의 발현억제에 의해 NO와 PGE2의 생성이 감소된 것으로부터 유발된 것임을 입증한다. 또한, TH가 대식세포에 의해 생산 및 분비되는 cytokine IL-1β와 IL-6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T. himalayense는 다양한 염증 매개체들의 과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염증 관련 식품 및 의약품에 다양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염증 예방 물질로 적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염증성 작용 기전에 대한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through inhibition of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of ethanol extract from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Root)

  • 김성옥;정지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27-133
    • /
    • 2019
  • 본 연구는 3T3-L1 세포로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뿌리 에탄올 추출물(TKM)의 항비만 활성을 조사하였다. TKM 처리 한 3T3-L1 지방세포의 분화억제를 통한 지방생성 억제에 초점을 두었다.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100ug/ml 농도에서 TG 함량을 현저히 억제하고, 세포 초기분화 전사인자 $PPAR{\gamma}$, $C/EBP{\alpha}$, SREBP-1c의 발현 억제, 세포내 에너지 향상성 조절인자 pAMPK, 중성지방산의 합성분해 조절인자 pACC, CPT-1, 지방산 합성 효소(FAS) 발현 억제, 호르몬자극지방분해 효소(HSL) 활성화 등 지방합성 관련인자들의 발현 조절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TKM은 지방세포 분화와 지방대사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지방 생성과 축적 저해 효능을 보여 항비만 융합치료제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분갈화 추출물과 분갈화 유래 Tectorigenin류 3종의 미백 효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s of Pueraria thomsonii Extract and its Three Tectorigenin Derivatives)

  • 안영제;장윤희;이소영;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9-56
    • /
    • 2019
  • 분갈(Pueraria thomsonii Benth)은 전통적으로 중국 의학에서 발열, 급성 이질, 설사,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치료를 위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분갈의 꽃인 분갈화의 피부 효능은 아직까지 밝혀진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멜라닌세포인 B16F1 세포주와 섬유아세포인 HS68 세포주를 이용하여 분갈화의 피부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갈화의 에탄올 추출물이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고, 분갈화 추출물의 효능 성분을 추적하고자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갈화에 함유된 이소플라본류 화합물인 tectorigenin,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 3종 성분을 확인하였다. 3종 성분 모두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멜라닌 생합성 감소는 tyrosinase와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에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멜라닌 합성저해의 또 다른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에서 유래되는 멜라닌 합성억제 인자인 DKK-1의 발현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 분갈화 추출물, tectoridin, tectorigenin 7-O-xylosylglucoside는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킨 반면, tectorigenin은 DKK-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분갈화 성분 중 tectorigenin은 멜라닌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 억제와 섬유아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억제 인자 분비를 촉진하는 효과적인 미백 개선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lycosyl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h2 into two novel ginsenosides using recombinant glycosyltransferase from Lactobacillus rhamnosus and its in vitro applications

  • Wang, Dan-Dan;Kim, Yeon-Ju;Baek, Nam In;Mathiyalagan, Ramya;Wang, Chao;Jin, Yan;Xu, Xing Yue;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1호
    • /
    • pp.48-57
    • /
    • 2021
  • Background: Ginsenoside Rh2 is well known for many pharmac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cancer, antidiabetes,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properties. Glycosyltransferases (GTs) are ubiquitous enzymes present in nature and are widely used for the synthesis of oligosaccharides, polysaccharides, glycoconjugates, and novel derivatives. We aimed to synthesize new ginsenosides from Rh2 using the recombinant GT enzyme and investigate its cytotoxicity with diverse cell lines. Methods: We have used a GT gene with 1,224-bp gene sequence cloned from Lactobacillus rhamnosus (LRGT) and then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 (DE3). The recombinant GT protein was purified and demonstrated to transform Rh2 into two novel ginsenosides, and they were characteriz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techniques and evaluated by 3-(4, 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Results: Two novel ginsenosides with an additional glucopyranosyl (6→1) and two additional glucopyranosyl (6→1) linked with the C-3 position of the substrate Rh2 were synthesized, respectively. Cell viability assay in the lung cancer (A549) cell line showed that glucosyl ginsenoside Rh2 inhibited cell viability more potently than ginsenoside Rg3 and Rh2 at a concentration of 10 μM. Furthermore, glucosyl ginsenoside Rh2 did not exhibit any cytotoxic effect in murine macrophage cells (RAW264.7), mouse embryo fibroblasts cells (3T3-L1), and skin cells (B16BL6) at a concentration of 10 μM compared with ginsenoside Rh2 and Rg3.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ynthesis of two novel ginsenosides, namely, glucosyl ginsenoside Rh2 and diglucosyl ginsenoside Rh2 from Rh2 by using recombinant GT isolated from L. rhamnosus. Moreover, diglucosyl ginsenoside Rh2 might be a new candidate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obesity, and skin whiting, and especially for anticancer.

파킨슨씨병 유발물질인 황산철로 손상된 배양 신경아교세포에 대한 물매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arnassia palustris L. Extract on Ferrous Sulfate-Induced Cellular Injury of Cultured C6 Glioma Cells)

  • 서영미;양승범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98-306
    • /
    • 2022
  • 본 연구는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파킨슨병의 유발 물질인 황산철(FeSO4)의 신경독성과 이에 대한 물매화(Parnassia palustria L., PP)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생존율을 비롯한 슈퍼뮤타제(SOD)-유사능 및 과산소음이온 라디칼(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FeSO4는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XTT50값이 63.3 μM로 나타나 Borenfreund and Puerner의 독성판정기준에 따라 고독성 (highly-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의 일종인 quercetin은 FeSO4의 독성으로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편, PP 추출물은 FeSO4만을 처리한 것에 비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동시에 SOD-유사 능과 SAR-소거능과 같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eSO4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PP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에 의하여 FeSO4에 의한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결론적으로, 물매화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은 FeSO4와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질환을 유발시키는 중금속화합물에 의한 독성을 개선 내지는 치료하는데 유용한 소재라고 생각된다.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마늘 유래 황 함유 화합물에 의한 요산 유도 inflammasome 활성화의 억제는 ROS 생성 차단과 연관성이 있음 (Suppression of Monosodium Urate-induce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by Garlic-derived Sulfur-containing Phytochemicals is Associated with Blocking ROS Gener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 김민영;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49-356
    • /
    • 2023
  • 만성 염증성 관절염 질환인 통풍은 고요산혈증을 특징으로 하며 NLRP3 inflammasome의 활성화에 따른 IL-1β와 같은 염증성 cytokine 방출과 연관된 MSU에 대한 염증 반응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마늘에 함유된 황 함유 화합물은 다양한 질병에 대한 잠재적인 유익한 약리학적 효능을 가지지만, NLRP3 inflammasome 활성화와 연관된 통풍 억제에 대한 효능은 현재까지 입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마늘 유래 황화합물인 DADS와 DATS가 MSU에 의한 NLRP3 inflammasome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비세포 독성 조건에서 DADS와 DATS는 LPS가 전처리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MSU에 대한 반응으로 증가된 NO의 생성과 IL-1β 유리를 유의적으로 차단하였다. DADS와 DATS는 또한 증가된 NLRP3, ASC, caspase-1 p20 및 IL-1β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이는 MSU로 유도된 LRP3 inflammasome 활성화가 DADS와 DATS에 의해 억제되었음을 의미한다. 아울러, DADS와 DATS는 NLRP3 inflammasome 활성화에 상위 신호로 작용하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차단했으며 ROS 생성을 제거한다는 사실에서 입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DADS와 DATS가 ROS/NLRP3 경로를 억제하여 inflammasome 활성화를 차단함으로서 NLRP3 의존성 통풍성 관절염 치료를 위한 잠재력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Scavenging Capacities of DPPH and ABTS Free Radical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from Sophora tonkinensis

  • Eun Sun Moon;Ji Yoon Lee;Seongdae Kim;Chang Won Choi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46
    • /
    • 2021
  •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cavenging capacity (SC) of DPPH and ABTS free radicals for ethanol extract (STR-E) and its active fractions from Sophora tonkinensis root (STR). Four different fractions from STR-E were prepared by using different types of solvents such as chloroform (STR-E-C), ethyl acetate (STR-E-EA), n-butanol (STR-E-B), and water (STR-E-W). STR-E-C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otal phenolic content, while STR-E showed the highest value of total flavonoid and terpenoid content. In STR-E and its four fractions, STR-E-EA showed the strongest SC with the lowest SC50 values of the DPPH radicals and ABTS radicals.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treated with STR-E, STR-E-C, and STR-E-EA, respectively. No cytotoxic effect to RAW 264.7 cells was observed at 20 ~ 25 ㎍/ml of STR-E, 10 ㎍/ml of STR-E-C, and 5 ㎍/ml of the STR-E-EA, presenting cell viability values close to that of the untreated control (100%). STR-E, STR-E-C, and STR-E-EA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LPS-induced nitric oxide (NO) in a dose-dependent manner. Results of reverse-transcription (RT)-qPCR analysis showed that the peak mRNA levels of IL-1β, TNF-α, iNOS, IL-6, and IL-10 were observed i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at 4 h, 2 h, 12 h, 12 h, and 12 h, respectively. The peak mRNA levels of IL-1β, TNF-α, iNOS, and IL-6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co-treated with 20 ㎍/ml and 25 ㎍/ml of STR-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IL-10, its peak mRNA level slightly increased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with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the peak mRNA levels of IL-1β, TNF-α, iNOS, and IL-6 reduced i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co-treated with 10 ㎍/ml and 20 ㎍/ml of STR-E-C,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peak mRNA level of IL-10 significantly increased at 8 h. Compared with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the peak mRNA levels of IL-1β, TNF-α, iNOS, and IL-6 reduced in the LPS-stimulated macrophages co-treated with 5 ㎍/ml and 10 ㎍/ml of STR-E-EA,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peak mRNA level of IL-10 increased at 4 h. Taken together, our data indicated that STR-E, STR-E-C, and STR-E-EA activate macrophages to secrete both pro-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 PDF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청가시덩굴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Anti-adipogenic activity of Smilax sieboldii extracts in 3T3-L1 adipocytes)

  • 박서현;이정아;홍성수;안은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369-378
    • /
    • 2023
  • 본 연구는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세포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및 지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를 유도하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지방세포 분화 및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 수준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지방형성 억제 효과가 어떠한 작용기전에 의해 유도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청가시덩굴 추출물과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인 acertannin을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조절인자들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형성 및 지방산 합성 관련 인자인 PPARγ, C/EBPα, ADD1/SREBP1c, FAS, aP2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청가시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축적 인자의 조절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산림자원의 항비만 및 고지혈증 개선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백서에서 Formalin의 방광점막하주사가 방광벽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bmucosal Formalin Injection on Bladder Wall in Rats)

  • 이동헌;박동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13-120
    • /
    • 1987
  • 백서에서 formalin의 방광점막하주사가 상피의 탈락을 일으키는지의 여부와 기타 방광벽에 나타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Sprague-Dawley 수컷 흰쥐(체중 350gm 내외) 36마리를 3군으로 나누어 Nembutal 복강내 마취하에 방광을 노출한 다음 생리적 식염수, 10% formalin과 4% formalin을 각각 0.01ml씩 각군 동물의 방광점막하에 주사한 후 1일, 2일, 3일, 1주, 2주 그리고 4주째에 방광을 적출하여 방광벽에 나타나는 육안적, 병리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0% formalin 주사군에서는 제 1주부터 4% formalin 주사군과 생리적 식염수 주사군에서는 제 2주부터 방광결석 형성을 볼 수 있었다. 2. 10% formalin 주사군과 4% formalin 주사군에 있어서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는 없었다. 3. Formalin 주사군에서는 점막궤양 또는 현저한 정막붕괴가 24시간째에 나타나고 점막재생은 제 2일부터 시작하여 제 3일에 현저하였고 제 1주에는 거의 정상적인 상피화를 보였다. 4. 상피하 부종, 혈판확장 및 염증반응은 24시간 째에 현저하였고, 상피하 부종은 제 1주까지, 혈판확장과 염증반응은 제4주까지 중등도로 지속되었다. 섬유아세포증식은 제2일부터 나타나 제4주까지 중등도로 지속되었다. 5. 본 실험중 동물이 죽거나 방광천공을 일으킨 예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formalin의 방광점막하 주사는 이로 인해 파괴되는 조직의 범위와 그 재생과의 관계가 보다 명백히 규명되면 재발성 표재성 방광암 환자의 선별적인 예의 치료에 응용해, 볼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