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tidine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7초

산두근 추출물의 세포주기 정지를 통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억제 (Inhibi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through G1 Arrest by Extract of Sophora tonkinensis Gapnep in 3T3-L1 Preadipocytes)

  • 정현영;현숙경;최영현;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346-1353
    • /
    • 2011
  • 산두근(Sophora tonkinensis Gapnep)은 예로부터 동양지역에서 전통적인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성숙지방세포로의 분화와 세포 내 지방생성에 대한 산두근 메탄올 추출물(STME)의 효과와 메커니즘에 대해 조사하였다. STME를 0-200 ${\mu}g$/ml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Oil Red O 염색으로 세포 내축적되는 지방구와 지질의 양을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크게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며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지방세포의 특이적 marker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cytidine-cytidine-adenosine-adenosine-thymine (CCAAT)/enhancer-binding proteins ${\alpha}$, ${\beta}$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SREBP)의 발현이 STME를 처리하였을 때 현저하게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세포주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STME는 지방세포 분화초기 단계인 mitotic clonal expansion 단계에서 G1기로 세포주기를 정지시켰다. 더불어 G1 arrest와 관련된 단백질의 변화를 조사 한 결과, 3T3-L1 세포에 STME를 처리하였을 때 p21의 발현량이 확연하게 증가하였으며, Cdk2, E2F-1 그리고 phosphor-Rb의 발현량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에 의하여 STME은 메탄올 추출물임에도 불구하고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성숙지방세포로 분화할 때 G1 arrest를 통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며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도 확연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항 비만 천연물 소재 탐구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사료된다.

Phospholipids from Bombycis corpus and Their Neurotrophic Effects

  • Yeon Jung;Kwon, Hak-Cheol;Cho, Se-Yeon;Cho, Ock-Ryun;Yang, Min-Cheol;Kim, Sun-Yeou;Lee, Kang-Ro
    • 한국잠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잠사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f Silkworm/Insect Biotechnology and Annual Meeting of Korea S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 /
    • pp.58-65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ctive constituents of Bombysis corpus on the neurite outgrowth from PCl2 cells led to isolate three phospholipids (4 6) and three aromatic amines (13) were obtain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Bombycis corpus. Based on spectral data, their structures have been elucidated as nicotiamide (1), cytidine (2), adenine (3), 1-O-(9Z-octadecenoyl)-2-O-(8Z, 11Z-octadecadien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4), 1, 2-di-O-hexadecan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5) and 1, 2-di-O-9Z-octadecenoyl-sn-glycero-3-phosphorylcholine(6). (omitted)

  • PDF

세포외 Cytosine Deaminase 생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terium Producing Extracellular Cytosine deaminase)

  • 유대식;김대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4
    • /
    • 1997
  • A bacterium, strain YK 391 producing extracellular cytosine deaminase, has been isolated from soil sample collected near Taegu City and identified. The strain YK 391 was observed to be a motile Gram-negative rod, and did not produced capsule nor spore. The bacterium produced acid from glucose and trehalose, not from arabinose. Esculine was nto hydrolyzed. The isolate could grow anaerobically at 37$\circ $C, but not at 4$\circ $C. Palmitoleic and palmitic acids comprised over 80%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strain. The strain. The strain YK 391 was identified as Chromobacterium violaceum YK 391 based on its morphological and physiolohical characteristics, and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The extracellular cytosine deaminase produced by Chromobacterium violaceum YK 391 is believed to be unique because it was active not only on cytosine and 5-fluorocytosine but also on cytidine.

  • PDF

Allosteric Properties of Hafnia alvei Aspartase by Nucleotide Effectors

  • Noh, Hak-Joon;Kwon, Si-Joong;Kim, Ki-Tae;Lee, Chang-Hyun;Yoon, Moon-Young
    • BMB Reports
    • /
    • 제33권5호
    • /
    • pp.366-369
    • /
    • 2000
  • The nucleotide effects of Hafnia alvei aspartase were investigated. Purine nucleosides, such as adenosine and guanosine, increased the aspartase activities; whereas, purine nucleotides, such as AMP, ATP, GTP and IMP, caused little change in the aspartase activities. However, pyrimidine derivatives, such as cytidine and CTP, decreased the aspartase activity. The nucleotide and nucleoside effects by the limited trypsin-treated aspartase were similar to those of a native enzy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OH-terminal region and an allosteric site might be located away from each other. The initial velocity study in the presence of adenosine showed that $K_m$ for aspartate was decreased to one-sixth of that in the absence of adenosine, but $V_{max}$ was unchanged. The significance of the distinct allosteric effect for the enzyme-nucleotide interaction is discussed.

  • PDF

The Oxidative Iodination of Pyrimidine Bases and their Nucleosides using Iodine/Dimethylformamide/m-Chloroperbenzoic Acid

  • Hwang, Chang-Ho;Park, Jung-Sup;Won, Jeong-Hee;Kim, Jae-Nyoung;Ryu, Eung 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69-72
    • /
    • 1992
  • Pyrimidine bases and their mucleosides were oxidatively iodinated at C-5 position by the reaction of iodine in DMF (dimethylformamide) with MCPBA (m-chloroperbenzoic acid) under mild conditions. For uracil derivatives such as uracil 1a. 1, 3-dimethyluracil 1b, uridine 1c, and 2'-deoxyuridine 1d, the corresponding 5-iodo derivatives were obtained in high yields (71-95%). The iodination of cytidine 3a and 2'-deoxycytidine 3b was achieved in moderate yields (41-56%).

  • PDF

Adsorption of Nucleotides on ${\beta}$-Cyclodextrin Derivative Grafted Chitosan

  • Xiao Jian-Bo;Yu Hong-Zhu;Xu Ming;Chen Xiao-Qing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443-448
    • /
    • 2006
  • A novel ${\beta}$-cyclodextrin derivative (CCD-C) was synthesized with chitosan and carboxymethyl-${\beta}$-cyclodextrin. Its structure was characterized by elemental analysis, infrared spectra analysis, and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adsorption properties for guanosine 5'-monophosphate, cytidine 5'-monophosphate and uridine 5'-monophosphate were studied.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at CCD-C had higher adsorption capability for guanosine 5'-monophosphate, and that the adsorption capacity for guanosine 5'-monophosphate was 74.20mg/g. The adsorption capacity was greatly influenced by pH, time and temperature. The introduction of chitosan enhanced the adsorption ability and adsorption selectivity of ${\beta}$-cyclodextrin for guanosine 5'-monophosphate. This novel derivative of chitosan is expected to have wide applications in the separation, concentration and analysis of nucleotides in biological samples.

Thymidine Production by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Mutants

  • Song, Kyung-Hwa;Kwon, Do-Young;Kim, Sang-Yong;Lee, Jung-Kul;Hyun, Hyu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477-483
    • /
    • 2005
  • Corynebacterium ammoniagenes ATCC 6872, which does not accumulate pyrimidine nucleoside or nucleotide, was metabolically engineered to secrete a large amount of thymidine. Characteristics of 5-fluorouracil resistance ($FU^r$), hydroxyurea resistance ($HU^r$), trimethoprim resistance ($TM^r$), thymidylate phosphorylase deficiency ($deoA^-$), inosine auxotrophy ($ino^-$), 5-fluorocytosine resistance ($FC^r$), thymidine kinase deficiency, and thymidine resistance ($thym^r$) were successively introduced into mutant strains KR3 and DY5T9-5, and shake-flask cultures were able to accumulate 408.1 mg/l and 428.2 mg/l of thymidine, respectively, as a major product. The mutant strains did not accumulate thymine at all and accumulated less than 10 mg/l of other pyrimidine nucleosides, such as cytosine, cytidine, and deoxycytidine, as byproducts.

솔장다리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Salsola collina Ethanol Extract)

  • 진경숙;이수현;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8호
    • /
    • pp.888-895
    • /
    • 2017
  • 솔장다리(S. collina)는 건조한 대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한해살이 식물로 한방에서는 고혈압의 치료에 사용되어왔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솔장다리가 보유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밝힌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솔장다리 에탄올 추출물(SCE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세포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E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 생성된 지방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고,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을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솔장다리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솔장다리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 내 지방 분해능, 지방분화관련 인자 신호전달기전 조절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통초.희렴 추출물의 항산화.항비만 활성 및 혼합물의 항비만 시너지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Tetrapanax papyriferus and Siegesbeckia pubescens Extracts and their Synergistic Anti-Obesity Effects)

  • 박정애;진경숙;이지영;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41-34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통초(Tetrapanax papyriferus)와 희렴(Siegesbeckia pubescens)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DPPH radical 소거능과 세포실험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초와 희렴의 DPPH radical 소거능의 50% 저해능($IC_{50}$)은 각각 65.23과 47.79 ${\mu}g/ml$로 나타났다. 또한 두 시료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초와 희렴 모두 지방 세포 분화,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함을 보였다. 이러한 통초와 희렴의 지방세포분화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alpha}$, $C/EBP{\beta}$, 그리고 $PPAR{\gamma}$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통초와 희렴 간의 항비만 시너지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각 시료의 단독 처리시보다 병용 처리시 더 높은 지방세포분화억제능을 보여 두 시료간에 시너지 효과를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통초 및 희렴의 항비만 활성 및 그 작용 기전을 밝힌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절초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Antiobesity Activity of Chrysanthemum zawadskii Methanol Extract)

  • 박정애;진경숙;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06
    • /
    • 2015
  •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항산 화, 항염증, 항균 등의 생리활성이 알려져 있으나 항비만 활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구절초 메탄올 추출물(CZME)의 항비만 활성을 췌장 lipase 효소 활성 억제능과 지방세포분화 및 지방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ZME는 농도 의존적으로 lipase 효소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insulin, dexamethasone, 3-isobutyl-1-methylxanthine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세포 내 지방 축적, TG 함량 등을 독성 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 하였다. 이러한 구절초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은 핵심 작용 인자인 C/EBPα, C/EBPβ, 그리고 PPARγ의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조절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MDI로 분화를 유도한 3T3-L1 preadipocyte에서 생성된 지방의 분해능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 억제뿐만 아니라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 또한 유의적으로 분해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가 보유한 췌장 lipase 활성 저해능, 지방세포 분화 억제능, 지방세포내 지방 분해능을 통한 항비만 활성을 처음으로 밝혀낸 것이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 활성 물질의 규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