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stine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34초

Exceptionally stable green-synthesized gold nanoparticles for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colorimetric detection of trace metal ions and volatile aromatic compounds

  • Singh, Karanveer;Kukkar, Deepak;Singh, Ravinder;Kukkar, Preeti;Kim, Ki-Hyun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8권
    • /
    • pp.33-41
    • /
    • 2018
  • The manuscript reports synthesis of exceptionally stable gold nanoparticles (GNPs) using Momordica charantia fruit extract. The synthesis approach was optimized by refining three experimental variables including source of the fruit extract (peel, seed, and seed coat), pH of the solution, and temperature of the reaction medium. As synthesized GNPs showed excellent stability against various thiolated compounds (e.g., thioglycolic acid, thiourea, ${\text\tiny{L}}-cystine$, 1-dodecanethiol, and cysteamine hydrochloride). Moreover, these nanoparticles showed distinctive colorimetric responses against $Cd^{2+}$ and thiophenol (TP) from their potential interferences. The limit of detection (LOD) values for $Cd^{2+}$ and TP were determined as 0.186 and $0.154{\mu}M$, respectively.

곶감의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과 저장성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and Storage Property in Dried Persimmons)

  • 문광덕;김종국;김준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0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chemical compositions of dried persimmons stored with plastic film at low temperature and the effect of film packaging on dried persimmons during storage. The moisture contents of dried persimmons were 30 to 36% and alcohol contents were 264 to 318 mg/100g and acetaldehyde contents were 25 to 40mg/100g. Total lipid contents of dried persimmon were 626 to 869mg/100g and oleic, palmitic, linolenic, and palmitoleic acid were major fatty acids in total lipids.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rginine, cystine and aspartic acid. From the result of storage experiment, non-packed group was that hardness was high as decreased in moisture content. In case of film packed groups stored at 5$^{\circ}C$, self life was longer than non-packed and packed groups stored at room temperature. But, it need to develop available packing material and storage method.

  • PDF

Metabolite Profiling of Serum from Patients with Tuberculosis

  • Park, Hee-Bin;Yoo, Min-Gyu;Choi, Sangho;Kim, Seong-Han;Chu, Hyu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64-268
    • /
    • 2021
  • Tuberculosis (TB) is a major infectious disease that threatens the life and health of people globally. Here, we performed a metabolomic analysis of serum samples from patients with intractable TB to identify biomarkers that might shorten the TB treatment period. Serum samples collected at the commencement of patients' treatment and healthy controls were analyzed using the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etabolome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identified the metabolites cystine, kynurenine, glyceric acid, and cystathionine, which might be useful markers for monitoring the TB treatment course. Furthermore, our research may provide experimental data to develop potential biomarkers in the TB treatment course.

벼 잎집무늬마름병균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에 미치는 질소원의 효과 (Effect of Nitrogen Sources on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l Formation of Rhizoctonia solani Causing Rice Sheath Blight)

  • 박경석;정봉구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4-50
    • /
    • 1985
  • 벼 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Kuhn)의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채집 분리한 60여 Rhizoctonia 균중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에 특징이 있는 3개 균주를 선발하여 그들의 배양적 특성, 병원성 및 균핵형성에 미치는 질소원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이들 분리균주에서 PSA 배지상의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 등의 배양적 특성에 따라 선발한 3개 분리균주의 병원성은 균주간에 달랐다. 질소원으로서 Arginine, Alanine, Urea, Ammonium sulfate 및 Sodium nitrate 등은 균사생장 및 균사형성에 효과적이었으나 Cystine, Methionine, Lysine, Histidine, Tryptophan 및 Tyrosine 등은 뚜렷한 효과가 없었다. Urea, Sodium nitrate, Agrinine, Ammonium sulfate 및 Lysine 등은 질소원의 농도가 낮게 첨가된 배지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으나 Proline, Histidine, Alanine은 높은 농도 수준에서 양호하였으며 균핵형성은 모든 공시 질소원의 높은 농도 수준에서 양호하였다. 균사생장 및 균핵형성에 양호한 질소원인 Arginine, Alanine, Urea, Ammonium sulfate는 병원성도 증가시켰다. Proline 첨가 배지에서는 각 균주 공히 큰 균핵이 형성되었으며 Tryptophan을 함유한 배지에서 각 균주 모두 생육이 저조하였고, 배지의 갈변화가 가장 심하였다.

  • PDF

콩나물의 유통과정중(流通過程中) Chlorophyll, Amino산(酸) 및 Vitamin C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in Chlorophyll, Free Amino Acid and Vitamin C Content of Soybean Sprouts during Circulation Periods)

  • 김순동;장봉희;김혜숙;하귀현;강경순;김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57-62
    • /
    • 1982
  • 콩나물의 유통과정(流通過程)동안 $20^{\circ}C$의 암소(暗所)와 명소(明所)(109 lux)에서의 chlorophyll, 역리(逆離) amino 산(酸) 및 vitamin C의 함량변화(含量變化), 상태변화(狀態變化)를 측정조사(測定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유통(流通)동안의 길이, 함량(重量) 및 변색정도(變色程度)를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암소하(暗所下)에서는 7$\sim$24 시간(時間) 경과(經過)되는 동안에 약 1cm 가까이 신장(伸長)되었으나 명소(明所)에서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명소(明所), 암소(暗所) 다같이 콩나물 중량(重量)은 감소(減少)되었으며, 명소(明所)에서의 감소율(減少率)이 높았다. 암소하(暗所下)에서는 변색(變色)되지 않았으나 명소(明所)에서는 7$\sim$24시간(時間)에 변화(變色)되었다. (2) 콩나물의 자엽(子葉)은 광(光)의 노출(露出)에 의하여 빠르게 녹변(綠變)되었으며 녹변(綠變)은 porphyrin과 같은 전구체(前驅體)뿐만 아니라 amino산(酸)의 손실(損失)은 초래(招來)하였다. 그러나 배축(胚軸)에서는 amino산(酸)의 손실(損失)이 없었다. (3) 명소(明所)에서 손실(損失)되는 amino산(酸)은 cystine, aspartic acid, seine, histidine, glycine 등(等)이었다. (4) 유통기간(流通期間)동안 암소(暗所)에서는 vitamin C의 손실(損失)이 없었으나 광(光)에 노출(露出)은 자엽(子葉)은 7일간(時間), 배축(胚軸)은 5시간(時間)만에 22$\sim$27%의 손실(損失)을 초래(招來)하였다.

  • PDF

저장방법에 따른 절임 가지(시키부품종)의 성분 변화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Salted Eggplants during Storage)

  • 남학식;김남우;엄영철;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3-298
    • /
    • 2004
  • 본 연구는 일본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시키부 품종의가지에 대하여 반응표면 분석을 통하여 최적조건으로 염절임 한 후 저장기간 및 저장방법에 따른 품질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연구하였다. 시키부 품종의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침지저장한 것에 비해 진공포장한 것의 변화가 적었다. 유기산은 acet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저장기간이길어질수록 acet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는데 반해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주요한 구성아미노산은 valine, leucine,aspartic acid, glutamic acid 이었으며 진공포장한 것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나 침지한 것은 저장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여 저장 20일째에는 진공포장한 방법보다 100 mg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acid, alanine, cystine과 Uol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방법에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침지 저장한 가지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는phosphoserine, taurine, Y-aminoisobufric acid 및 hydroxypmline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 중에 phosphoser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반해 Y-aminoisobutric acid는 진공포장하여 20일 동안 저장하였더니 생가지에 비해 5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간장 발효에 관여하는 효모에 관한 연구 (제8보) - Saccharomyces rouxii T-9의 영양 요구성 (3) Vitamin 및 Amino acid의 영향에 대하여 - (Studies on the Yeasts for the Brewing of Soy sauce(Part 8) - Nutritional requirements of Saccharomyces rouxii T-9 (3) Influence of addition of vitamins and amino acids -)

  • 이택수;이석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59-63
    • /
    • 1972
  • Saccharomyces rouxii T9의 생육에 있어서 vitamin및 amino acid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nositol, pyridoxine, riboflavin, niacin, para amino benzoic acid등은 생육인자로서 요구되지 않았다. (2) biotin, thiamin, Ca-pantothenate 등은 적응적으로 요구되었으며 이들 vitamin중 절대적으로 요구되는것은 없었다. (3) biotin, thiamin, pyridoxine, riboflavin, Ca-phantothenate등의 결핍배지에서는 배양초기 에는 식 염 26%배지에서 무염배지에 비하여 생육율이 다소 낮았으나 배양 16일 후에는 반대로 무염배지에 비하여 생육율이 높았다. (4) 유안을 질소원으로 하는 합성배지에 첨가효과가 인정되는 amino acid로서는 대략 methionine, tryptophan, serine, threonine, cystine, glycine, leucine, alanine, valine등의 순이였다. (5) histidine, 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proline, tyrosine등은 배양초기에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생육도가 다소 저하되었으나 배양 16일경에는 무첨가구와 거의 비슷하거나 다소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축양품종 염절임 가지의 저장중의 성분 변화 (Changes in Components of Salted Eggplants (Chukyang) during Storage)

  • 남학식;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0-125
    • /
    • 2005
  • 본 연구는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축양 품종의 가지에 대하여 반응표면 분석을 통하여 최적조건으로 염절임한 축양 품종의 가지를 저장기간 및 저장방법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당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고, 침지 저장한 것보다는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것이 변화가 적었다. 신선한 가지에서 분리 정량된 유기산은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그리고 succinic acid 총 5종이었으며 acet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 초기에 비해 acet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반해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가지의 주요한 구성아미노산은 val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등이었으며, 총아미노산 함량은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저장 20일째 1488.14 mg/100 g으로 생 가지보다도 증가하였는데 반해 침지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총 아미노산 함량이 745.42 mg/100 g으로서 저장 초기에 비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alanine, cystine과 prol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초기에 비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진공 포장하여 저장한 가지에 비해 침지 저장한 가지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주 phosphoserine, taurine, ${\gamma}$ -arnjnoisobutyric acid 및 hydroxyproline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중에 phosphoser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 반해 ${\gamma}$ -arnjnoisobutyric acid는 증가하였다.

프로폴리스 및 알콜 추출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thanolic Extracts)

  • 정창호;배영일;이호재;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1-505
    • /
    • 2003
  •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프로폴리스 원괴와 그 추출물의 화학성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조지방 86.41%, 가용성 무질소물 7.32%, 조단백질 2.71%, 회분 1.05% 및 조섬유 0.20%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은 Na(120.40 mg%), Ca(115.40 mg%) 및 K(105.87 mg%) 순으로 나타났으며, Ca 함량은 알콜 추출물보다 물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총 3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sucrose가 152 mg%로 높게 나타났고, glucose 114 mg% 및 fructose 6 mg%로 함유되어 있었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lysine, cystine 및 glutamic acid로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각각 395.29 mg%, 267.66 mg% 및 248.14 mg%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총 8종이 분리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으로는 oleic acid (51.89%), myristic acid (20.86%) 및 palmitic acid (20.28%)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의 flavonol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myricetin, quercetin, apigenin 및 kaempferol이 주요 flavonol화합물로 나타났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다른 추출물보다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polyphenol 성분들은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epicatechin 및 epicatechin gallate로 확인되었다.

Re-evaluation of Dietary Methionine Requirement by Plasma Methionine and Ammonia Concentrations in Surgically Modified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Bae, Jun-Young;Ok, Im-Ho;Lee, Seung-Hyung;Hung, Silas S.O.;Min, Tae-Sun;Bai, Sung-Chul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974-981
    • /
    • 201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evaluate the dietary methionine requirement by means of the plasma methionine and ammonia concentrations in surgically modified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 total of 35 rainbow trout averaging $505{\pm}6.5$ g (initial body weight, 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seven groups with five fish in each group. After 48 h of feed deprivation, each group of fish was fed one of seven L-amino acid based diets containing 0.5% cystine and graded levels of methionine (0.25, 0.40, 0.50, 0.60, 0.70, 0.80 or 0.95% of diet, dry matter bases) by intubation at 1% body weight on dry matter basis. Blood samples were taken at 0, 5 and 24 h after intubation. Post-prandial plasma free methionine concentrations (PPmet, 5 h after intubation) and post-absorptive plasma free methionine concentrations (PAmet, 24 h after intubation) of fish fed diets containing 0.60% or higher methionin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diets containing 0.50% or lower methionine. PPmet and PAmet in fish fed diets containing 0.60% or higher methionin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PPmet of fish fed diet containing 0.95% methionine. Post-prandial plasma ammonia concentrations (PPA, 5 h after intubation) of fish fed diets containing 0.70% or higher methionin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diets containing 0.60% or lower methionine, and PPA of fish fed diets containing 0.25 and up to 0.60% methionin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roken-line model analyses on PPmet, PAmet, and PPA indicated that the dietary methionine requirement of rainbow trout was between 0.59 (1.69) and 0.67 (1.91) % of diets (% dietary protein bases) when the diets contained 0.5% cyst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