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perus rotundu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9초

향부자 괴경의 출아특성과 제초제에 대한 반응 (Sprouting Characteristics and Herbicidal Responses of Purple Nutsedge)

  • 김진석;신욱균;김태준;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0-127
    • /
    • 1994
  • 향부자 괴경의 저장조건, 환경조건 및 취급방법에 따른 출아력과 기존제초제들에 대한 반응차이를 조사하여 괴경을 제초활성검정의 실험재료로써 이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찾고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확당시에도 높은 출아력을 보여 휴면이 없었으며, 괴경을 수세하여 스포탁(prochloraz 25%) 2000배액에 소독한 후, 저온조건에 자체 저장했을 때가 가장 높은 출아력을 보여 저장 3, 6개월째에 각각 90, 80%였다. 2. 괴경은 생체중의 54.3%가 수분이었으며 수분함량이 낮아질수록 출아력이 떨어져 생체 중 감소율이 48% 이상에서는 사멸되었다. 그러나 괴경을 $4^{\circ}C$ 물속에 6개월간 보관하여도 88% 이상의 출아력을 가졌다. 3. $35^{\circ}C/25^{\circ}C$ 조건에서 출아 및 초기생육속도가 가장 빠르며, 괴경당 출아눈수도 $25^{\circ}C/15^{\circ}C$ 조건에서 3.8개, $30^{\circ}C/20^{\circ}C$ 조건에서는 4.8개로써 온도가 높을수록 많았다. 4. 전반적으로 괴경무게가 큰 것일수록 생장력이 좋았지만 중간크기 이상의 것 간에는 생육면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이를 1/2 절단하여도 괴경당 출현 눈수 또는 생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1/4 절단했을 경우만 괴경당 출현 눈수가 적었다. 따라서 중간크기 이상의 괴경(약 1. 2g 이상)을 1/2 정도도 절단하여 실험 재료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리라 생각되었다. 5. 실제 $56{\times}35{\times}16cm$ 크기의 폿트에 원예용 부농상토를 담고 괴경 10개를 섬은 다음 3개월간(4월-7월) 재배한 경우 약 1000개의 괴경을 수확할 수 있었다. 6. 처리한 제초제들 중 향부자에 대해 가장 낮은 농도에서 양호한 방제력을 보인 것은 Chlorimuron이었고, 처리농도는 높지만 토양 및 경엽처리에서 모두 확실한 방제력을 가지는 것은 Bentazon, Norflurazon이었다.

  • PDF

산후 우울증 치료에 대한 중의학의 최근 임상연구 동향 (A Review Study on the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김문정;이종남;홍진만;임정화;성우용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9-190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 treatment of Postpartum Depression (P.P.D) in th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in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from 2004 to 2013. Search key words were "产后抑郁症", "Postpartum Depression", and we selected 27 studies except for non-clinical studies, insufficient number of studies, unrelated studies and tests on animals. Results: We selected 27 articles with following results: 1) One study of Jadad Quality Assessment Scale score showed 3 points, 4 studies showed 2 points and 22 studies showed less than 1 point. Overall,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low. 2) DSM - IV was frequently used as a diagnostic criteria and HAMD was mostly used as evaluation criteria. Diagnostic criteria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the same in HAMD and EPDS. 3) In TCM, there are various ways, such as herbal medicine, acupuncture, electro acupuncture, auricular acupuncture and/or massage to treat the postpartum depression. 4) The roots of Bupleurum falcatum Linn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Angelica gigas Nakai and Paeonia lactiflora Pall, the rhizome of Atractylodis macrocephala Koidz, the semen of Zizyphus jujuba Mill, the radix of Curcuma aromatica Salisb, the sclerotium of Poria cocos Wolf and the rhizomas of Cyperus rotundus L and of Cnidium officinale Makino are mainly used in the herbal medicine. BaekHoi (GV20) and Yindang (Ex-HN3) are mainly used in acupuncture points. 5) Most of the studies showed effective results. Some of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s which were cured by western medicine. Other results were bett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s. Conclusions: Research on postpartum depress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CM and all studies showed effective results in the study group patients. Therefore, with this study, we hope to activate more clinical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patient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간접변이원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on the Mutagenicity of Indirect Mutagens)

  • 송근섭;안병용;이갑상;맹일경;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88-1294
    • /
    • 1997
  • 항돌연변이원성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AFB_1$, B(a)P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95종 생약재 열수 추출물의 효과를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AFB_1$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억제시킨 생약재는 익모초와 지실이었으며, B(a)P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억제시킨 생약재는 건부자 외 7종이었다. 두 종류의 변이원 모두에 대하여 억제활성을 나타낸 생약재는 시호, 현호색, 천마, 강활, 반하, 지실, 행인 및 숙지황이었다. $AFB_1$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상승시킨 생약재는 계피 외 45종이었으며, B(a)P의 변이원성을 26%이상 상승시킨 생약재는 연자육과 감국이었다. 생약재의 열수 추출물은 $AFB_1$으로 유도된 변이원성을 대부분 증가시켰으나 B(a)P의 변이원성은 증가시키지 않았다. 두 종류의 변이원성을 모두 뚜렷하게 증가시킨 생약재(감국, 계피, 향부자, 삼백피, 패장, 관동화, 적하수오, 측백옆)의 열수 추출물 그 자체는 변이원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변이원성 유발을 도와주는 보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다. Ames test에서도 강활, 정향, 황금을 제외한 생약제에서 SOS Chromotest와 유사한 결과가 얻어졌다.

  • PDF

Yeosin-san Increases Female Fertility through Inducing Uterine Receptivity and Ovarian Function

  • Choi, Hee Jung;Joo, Bo Sun;Park, Mi Ju;Park, Min Jung;Bae, Boram;Kim, Bo Sung;Park, Hye Rin;Kim, Keuk Jun;Yang, Hee Jin;Yoo, Jeong Eun;Chung, Tae Wook;Joo, Jongkil;Ha, Ki Tae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1-150
    • /
    • 2019
  • Despite the development of 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ies (ART) including in vitro fertilization (IVF), the poor ovarian response and endometrial receptivity remains clinically a major unmet need. Although these problems are difficulties to solve in infertility treatment, there are no good therapeutic option yet. Traditional herbal remedies and acupuncture, therefore are being proposed as alternative treatment. Our group found that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such as Paeonia lactiflora L.(PL, 芍藥), Cyperus rotundus L.(CR, 香附子), and Perilla frutescens (PF, 紫蘇葉) could improve endometrial receptivity. In this study, we found out Yeosin-san (如神散) as an optimal herbal formula via combination of the previously established herbal medicines. Yeosin-san is a traditional Korean medical formula which was established by Ziming Jin (陳自明) and recorded in Furendaiquanliangfang (婦人大全良方) at first. The formula traditionally used for treating abnormal uterine bleeding and leukorrhea. It showed a highest effect on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expression and on the adhesion between trophoblastic cells and endometrial cells.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Yeosin-san not only increases the endometrial receptivity to improve the embryo implantation but also enhances the ovary function by expressing the angiogenesis-related genes. Here we suggest that Yeosin-san could be a novel and effective candidate for treating female infertility.

만성 스트레스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의 항우울 효과 (The Anti-depressive Effect of Samul-tanggahyangbuja on Chronic Mild Stress in Ovariectomized Rats)

  • 정지혜;최창민;서윤정;조한백;김송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0-47
    • /
    • 2013
  • 목 적: 본 연구는 만성 스트레스로 인한 갱년기 우울증 모델에서 사물탕가향부자(SGH)의 항우울 효과를 검증하여 실험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난소적출 흰쥐에 4주간 만성 스트레스를 가하고 SGH(100 and 400 mg/kg/day)를 투여한 후 행동검사인 sucrose intake test(SIT), elevated plus maze(EPM), forced swimming test(FST) 및 Morris water maze test(MWMT) 등을 통한 우울행동 변화와 혈청 corticosterone(CORT), IL-$1{\beta}$ 및 IL-4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또한 뇌 내 hippocampus와 hypothalamus에서 5-HT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1. SIT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자당 섭취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2. EPM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open arms에 머무는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1), open arms와 closed arms를 교차하는 횟수도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3. FST에서 SGH 100 mg/kg/day, 400 mg/kg/day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immobility시간이 유의하게 줄어들었다(SGH 100 p<0.05, SGH 400 p<0.01). 4. MWMT에서 SGH 100 mg/kg/day, 400 mg/kg/day 투여군은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실험 4일째에서 acquisition trials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단축되었고(p<0.05),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retention trials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CORT와 IL-4 측정에서 대조군과 SGH 투여군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IL-$1{\beta}$ 측정에서 대조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SGH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6. Hippocampus에서의 5-HT 측정에서 SGH 400 mg/kg/day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Hypothalamus에서의 5-HT수준은 SGH 투여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SGH 100 p<0.05, SGH 400 p<0.01). 결 론: 이상의 결과로 SGH는 만성 스트레스를 가한 난소적출 흰쥐에서 항우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HPA axis, immune system 보다 5-HT system에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의 고체발효 및 메탄올 추출물의 트롬빈 저해 활성과 항산화 활성 (Solid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 Using Phellinus baumii Mycelium and Anti-thrombin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its Methanol Extract)

  • 신용규;장한수;김종식;류희영;김종국;권인숙;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1-208
    • /
    • 2008
  •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의 고체발효를 통한 기능성 강화 한약재 생산을 목적으로, 항산화 활성 또는 혈류 개선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36종의 한약재를 멸균 후, 장수상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고체발효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circ}C$, 상대습도 90% 배양기에서 20일간 발효시킨 결과, 감국, 대추, 백부자, 신이 및 황정을 제외한 31종에서 양호한 발효가 진행되었으며, 발효 가능여부는 한약재 식물체의 사용부위의 구조적 견고성, 영양조건 및 항진균 활성 등과 연관되리라 판단된다. 한약재의 고체발효 이후, 발효전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수분함량은 $30.84{\pm}15.67%$에서 $67.21{\pm}11.43%$로 2.2배 증대되었으며, 평균 메탄올 추출효율과 평균 pH는 $13.91{\pm}12.22%$$5.06{\pm}0.87$에서 각각 $11.16{\pm}7.06%$$4.83{\pm}0.73$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항혈전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골쇄보, 천련자, 도엽, 와송의 경우에는 트롬빈 저해 활성이 각각 발효전에 비하여 31.38, 23.63, 22.57, 13.85% 증가되었으며, 원지, 현삼, 백지, 향부자, 골쇄보 및 육종용에서는 DPPH 소거능이 발효전에 비해 각각 58.9, 49.8, 48.1, 32.8, 24.1, 20.7% 증가되어 장수상황버섯 균사체 발효 한약재의 긍정적 생리활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상황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한약재의 고체발효를 통해, 특정 기능성의 강화 원재료를 생산할 수 있으며, 골쇄보의 경우와 같이 항혈전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동시에 증대된 한약재 생산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약용식물 추출물이 In vitro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 (Extracts of Korean Medicinal Plant Extracts Alter Lipogenesis of Pig Adipose Tissue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In vitro)

  • 최영숙;최강덕;김성도;필립 오웬즈;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383-388
    • /
    • 2010
  • In vivo 실험에 의해서 지방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내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본 연구는 돼지 지방조직을 이용한 in vitro system을 이용해서 한국의 약용식물 중에서 지방축적 억제 작용을 가지는 것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183종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이들이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조사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은 72종, 물 추출물은 111종, 이 중에서 65종은 물과 에탄올 모두 이용해서 추출하였다.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은 13종류의 약용식물이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 11종은 대조구에 비하여 지방합성을 40% 이상 억제하였고, 4종은 지방합성을 70% 이상 억제하였다. 가장 강력한 지방합성 억제작용을 나타낸 것은 붓꽃과와 고삼(에탄올 추출) 그리고 좁쌀풀(물과 에탄올 추출)이었다. 그러나 소목과 황백은 지방합성을 촉진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결과는 총 28종의 약용식물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 중 16종의 약용식물은 증가시켰고, 12종은 억제시켰다. 목단피와 강활(에탄올 추출) 그리고 당귀, 목향 및 신이(물 추출)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두 배 정도 증가시켰다. 10종의 약용식물 즉 감초, 형개 및 구월나무(에탄올 추출) 그리고 비름과, 천문동, 백출, 유자나무, 향부자, 구엽초 및 목단피(물 추출)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35% 이상 억제시켰다. 구월나무(에탄올 추출)만이 지방합성뿐만 아니라 세포분화도 억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약용식물로부터 가축과 사람의 지방축적 억제효능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