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ber-violenc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5초

사회적 이슈 관점에서 바라 본 사이버 테러 유형에 대한 위험 대응방안 (The Countermeasure for Threat of Cyber Terror in Sociological Perspective)

  • 최희식;김현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59-67
    • /
    • 2017
  • In recent years, cyber terror that break into major institution's information system and destroy and paralyzed important information occurs frequently. Some countries do dangerous acts such as train hackers and order hackers to hack important industrial confidential documents which are cor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o redu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and cause social confusion. In this thesis, it will study problems of cyber terror to help people to use Internet in web environment that safe from cyber terror and to avoid the risk from cyber terror such as malware and DDos. This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ing. In second chapter, it will look thorough the research that are related to cyber terror. In third chapter, it will study attack types of cyber terror. In fourth chapter, to defend from cyber violence, it will suggest safe solution. In fifth chapter, it will end with conclusion. Finally, to prevent urgent incidents like North Korean Cyber-attack, every Internet user must indicate their recognition on Internet security and it is significant to make a quick response treatment to create the safe online environment.

디지털시대 패션에 나타난 사이버페미니즘 연구(제1보) -사이버하위문화 스타일을 중심으로- (A Study of Cyberfeminism in fashion in the digital era -Focused on cybersubculture style (Part I)-)

  • 김현수;양숙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29-124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uch results of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s women's changed status, sexual identity and their views of physique in the cyber space based on cyber feminists' theories, and thereby, examine the concept of space during the medieval age, and then, the fundamental spiritual concept involving the fetishism of women's body as sexual objects in the materialistic space of the digital age in terms of the consciousness of trend or supra-sensual perceptions, and thereby, review the effect of the cyber terrorism and violence on the fashion in sub-cultural terms. Some researchers distinguish psychedelic styles from cyberdelic ones to assume such psychiatric visions as psychedelic fashion characterized by resistance and delinquency-cyber punk fashion, cyber hippie fashion, cyborg fashion- and then, define them all as cyber resistant culture fashion or as a sub-cultural style of the cyber cul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human bodies are being encoded with the networks, various cyber characters or avatars are emerging, while human bodies are being distorted or exaggerated with human beings and machines being imploded.

컴퓨터 게임에서의 언어 표현변화를 통한 인터넷 윤리 확립에 관한 연구 (Study on Establishment of Internet ethics expressed through Language convert in computer games)

  • 박구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7-52
    • /
    • 2012
  • 오늘날 인터넷은 모든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상생활의 일부분이 된 인터넷 상에서 인터넷 윤리 의식은 부족한 상태에 놓여있다. 특히 성장기에 있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익명성이 보장되는 점을 악용하여, 악플이나 무분별한 욕의 사용 등 사이버폭력으로 이어져 여러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즐기는 fps온라인 게임에서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고, 사이버 폭력의 피해도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 폭력의 피해유형을 보면 욕설과 비속어로 조사되었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피해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예방하기 위해 많은 홍보와 공익광고 등이 진행되고 있으나, 그 기대 효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욕설과 비속어 단어를 사용하면 삭제되거나 블라인드 처리를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볼 수 없다. 본 논문은 fps온라인 게임에 적용할 수 있는 언어 변환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언어 변환 프로세스를 게임에 적용한다면, 욕설 및 비속어를 다른 언어로 순화시켜주므로, 욕설과 비속어로 인한 사이버 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능정보사회의 사이버 역기능 분류와 사회적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Cyber Dysfunction and the Social Cognition Analysis in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임규건;안재익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9
    • /
    • 2020
  • The Internet cyber space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it enters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eyond the information age through the development of ICT, the expansion of personalized services through mobile and SNS, the development of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Internet has formed a new paradigm in human civilization, but it has focused only on the efficiency of its functions. Therefore,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information divide, cyber terrorism, cyber violence, hacking, and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re emerging. In this situation, facing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can lead to an uncontrollable chao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s the cyber dysfunction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analyzes social cognition, suggests cyber dysfunction standard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examines the seriousness of dysfunction, and suggests technical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technologies and services. The dysfunctional classification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was classified into five areas of cyber crime and terrorism, infringement of rights, intelligent information usage culture, intelligent information reliability, and social problems by FGI methodolog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e social perception of current and future cyber dysfunction severity was surveyed and it showed female is more sensitive than male about the dysfunction. A GAP analysis confirmed social awareness that the future society would be more serious about AI and cyber crime

SNS 사용자의 사이버불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yberbullying Behaviors among SNS Users)

  • 문창배;수아이니 수라;안종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75-194
    • /
    • 2015
  • As the explosive growth of SNS users, SNS affects every aspect of our lives. Beyond the individual's scope there is a powerful influence in society. Now cyber bullying is a big problem of this societ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NS user features and cyber bullying phenomenon, various SNS user's pers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were set to variables affecting the cyber bullying phenomenon on the SNS. For the research,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otal 200 subjects among 10~60 age band in each region across the country. We set a research model including the items that are found to be affected in cyber bullying through the prior researches. To analyze interrelation of cyber bullying phenomenon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NS us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analyses were conducted. As a statistical result, we found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the suggestion points for a SNS platform development direction.

가정폭력의 실태 및 피해 가정 문제와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Situa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the Problems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Preventive Measures)

  • 배나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87-193
    • /
    • 2022
  • 우리 사회에서 가정폭력은 학대 행위자와 학대 피해자가 한 공간에 공존하며, 학대가 재생산되는 가정 내에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대가족 중심적인 친족의 사회관계가 소원한 오늘날, 핵가족이라는 소외되고 고립된 환경 속에서 발생하는 가정폭력은 인권을 침해하고 짓밟는 범죄로 볼 수 있다. 가정폭력의 해결책도 가족적 지원망에만 해결하고 의존하기에는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겪어야 할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고통과 상처가 너무 깊다. 가정폭력 피해자들을 위해 이웃이나 지역사회에서 장기적이고 세심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례관리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은 예방과 치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할것이며 지역사회의 관심과 역할도 뒤따라야 한다.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데이트폭력 인식의 차이 (The Differences in Harassment Behavior and Perception of Dating Violence According to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 김래은;구상미;최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44-25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데이트폭력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도구로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은 CTS2를 김정란(1999)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데이트폭력 인식은 정하윤(2013)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 및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체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정서적 폭력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난 반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적 폭력은 더 높게 나타났다. 보건계열 전공 학생이 인문사회계열 전공 학생보다 전체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 및 정서적 폭력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성경험 유무에 따라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정서적 폭력에서만 성별과 성 경험 유무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데이트폭력 인식 및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보건계열 전공학생이 인문사회계열 전공 학생보다 데이트폭력 인식 및 하위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성경험이 없는 학생이 있는 학생보다 전체 데이트폭력 인식, 성적 폭력, 신체적 폭력 및 사이버 폭력에서 유의한 차이로 더 높게 나타났다.

공군장병의 거부민감성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irmen's Rejection Sensitivity, Depression, and Anxiety)

  • 박원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53-36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군 장병들의 거부민감성이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과거 중 고등학교 시절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이 조절 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군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에 있어 위험 요소들을 찾고 이들의 심리적 적응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S시에 소재하는 공군 장병 126명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 우울, 불안,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거부민감성, 학교 폭력 피해 경험, 이들 간의 상호 작용 항을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학교폭력 피해 경험의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며, 거부민감성과 불안의 관계에서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의 조절 효과도 역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은 거부민감성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의 상호작용 패턴에 대해 단순 주효과 기울기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통해 학교폭력피해 경험이 군생활 적응의 고위험 요소이며 이들을 위한 상담적 개입의 중요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불법 촬영물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중심으로- (Digital forensic framework for illegal footage -Focused On Android Smartphone-)

  • 김종만;이상진
    • 디지털포렌식연구
    • /
    • 제12권3호
    • /
    • pp.39-54
    • /
    • 2018
  • 최근 불법촬영 사건 근절을 위한 논의가 사회 각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수사기관과 정부 관계부처에서도 불법촬영과 같은 사이버 성폭력 범죄 근절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핵심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계에서도 사이버 성폭력 처벌법을 정비해서라도 범죄자들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연구를 발표하고 있다. 이렇듯 불법촬영 사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현장수사관과 전문분석관은 불법촬영물 은닉 어플리케이션(앱)들이 마켓과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유포되고 있어 증거 수집과 분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불법촬영 사건 수사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불법촬영 사건의 증거 수집 및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증거 수집 및 분석에 있어, 주요 방해 요인 중 하나인 무음 및 은닉앱을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탐지 시스템의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탐지 도구를 함께 개발하였으며, 상용 은닉앱을 사용해 탐지 시스템의 실효성과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웹기반 사이버강의 콘텐츠 개발 및 효과검증 (The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yber Class Contents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 Education)

  • 한미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2호
    • /
    • pp.225-238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yber class contents on website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reinforce a care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are from Namseoul University who took the cyber class 'Self management and creation of vision.' of the second semester in 2015. They took the class fifty-sixty minutes a week. The control group also includes the students who took the classes 'Theory and practic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Youth Education theo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areer education, the data processing in performing this study utilized t-test for homogeneity with the effective variable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and the result was proved by using paired t-test.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experiment group significantly shows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view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refore we recognize that the web based cyber course has its effect on content development and career education and we anticipa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effective cyber education on website for university students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