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gital forensic framework for illegal footage -Focused On Android Smartphone-

불법 촬영물에 대한 디지털 포렌식 프레임워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중심으로-

  • Kim, Jongman (Institute of Cyber Security & Privacy (ICSP), Korea University) ;
  • Lee, Sangjin (Institute of Cyber Security & Privacy (ICSP), Korea University)
  • 김종만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 이상진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Received : 2018.11.09
  • Accepted : 2018.12.28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Recently, discussions for the eradication of illegal shooting have been carried out in a socially-oriented way.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comprehensive measures to eradicate cyber sexual violence crimes such as illegal shooting. Although the social interest in illegal shooting has increased, the illegal film shooting case is evolving more and more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that can hide confused videos are constantly circulating around the market and community sites. As a result, field investigators and professional analyst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collecting and analyzing evid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idence collection and analysis framework for illegal shooting cases in order to give practical help to illegal shooting investigation. We also proposed a system that can detect hidden applications, which is one of the main obstacles in evidence collection and analysis. We developed a detection too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and confirmed the feasibility and scalability of the system through experiments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concealed apps.

최근 불법촬영 사건 근절을 위한 논의가 사회 각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수사기관과 정부 관계부처에서도 불법촬영과 같은 사이버 성폭력 범죄 근절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핵심과제를 선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학계에서도 사이버 성폭력 처벌법을 정비해서라도 범죄자들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연구를 발표하고 있다. 이렇듯 불법촬영 사건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현장수사관과 전문분석관은 불법촬영물 은닉 어플리케이션(앱)들이 마켓과 커뮤니티 사이트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유포되고 있어 증거 수집과 분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불법촬영 사건 수사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 불법촬영 사건의 증거 수집 및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증거 수집 및 분석에 있어, 주요 방해 요인 중 하나인 무음 및 은닉앱을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탐지 시스템의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탐지 도구를 함께 개발하였으며, 상용 은닉앱을 사용해 탐지 시스템의 실효성과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무조정실, "관계부처 합동 디지털 성범죄 피해방지 종합대책", 2017.
  2. 방송통신위원회,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KOBACO), 전국 16개 시도별 스마트폰 이용자의 운영체제(OS) 현황 조사결과 http://news1.kr/articles/?2958089, 2017.
  3. 경찰청 http://www.police.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93495&fileSn=1&bbsId=B0000136, 2017.
  4. 한국일보, 범죄 해결사 된 디지털포렌식... 밀려드는 업무에 수사 '하세월',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469&aid=0000339421, 2018.
  5. WIKITREE, '몰카범죄' 구속자 지난해 155명...5년만에 '5배' 급증,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15496, 2017.10.
  6. 이미지, "Identification of source of JPEG file from Smartphone According to The Multiple step of Verification", Seoul University 석사학위, pp.1-88, 2017.
  7. Daeho Yun, Sang Jin Lee, "Study for Android Smartphone's Gallery Thumnail Forensic Analysis", KIPS Tr. Comp. and Comm. Sys., Vol.6, No.1 pp.31-42, 2017.
  8. 오정훈, 이상진.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ology of Smartphone for Android Forensics" 디지털포렌식연구, .9 (2012.12): 47-75.
  9. 홍일영, 이상진. "안드로이드 로그 시스템을 이용한 효율적인 사용자 행위기반 라이브 증거수집 및 분석 시스템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2.1 (2012.2): 5
  10. 조재형, 이재형, 김소람, 이재형, 양승재, 이창훈, 김종성.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비휘발성 시스템 로그에 대한 분석." 디지털포렌식연구, 11.2 (2017.9): 19-42.
  11. 심원태, 김종명, 류재철, 노봉남. "안드로이드 앱 악성행위 탐지를 위한 분석 기법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1.1 (2011.2): 213-219.
  12. 연합뉴스, 시민이 빼앗은 몰카범의 휴대전화 …법원 "증거능력 없다", https://www.yna.co.kr/view/AKR20170807153100004, 2017.
  13. 3GPP TS 31.102 V10.13.0 (2016-03)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and Terminals,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pplication (Release 10), pp.33, 2016.
  14. H.264 - NAL Unit, http://dg087.tistory.com/28
  15. 서승희, "사이버성폭력 피해의 특성과 근절을 위한 대응방안" Ewha Journal of Gender and Law, pp.68,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