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ized Service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24초

응용 맞춤형 그래픽 분할 실행 라이브러리에 기반한 효율적인 온라인 소프트웨어 서비스 (An Efficient On-line Software Service based on Application Customized Graphic Offloading Library)

  • 최원혁;김원영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49-5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응용 맞춤형 그래픽 분할 실행 라이브러리에 기반한 효율적인 온라인 소프트웨어 서비스에 대하여 소개한다. 그래픽 분할 실행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서비스는 클라이언트 렌더링을 통하여 3D 그래픽 소프트웨어와 같은 고사양의 소프트웨어를 서버 기반의 온라인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그래픽 분할 실행은 서버에서 소프트웨어가 실행될 때, 그래픽 관련된 작업은 클라이언트의 GPU를 이용하여 처리하고, 데이터 관련 작업은 서버의 CPU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그래픽 분할 실행 소프트웨어 서비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동기 전송 채널을 추가하고, 최적화 된 소프트웨어 공통 모듈과 소프트웨어 맞춤형 모듈을 기존의 그래픽 분할 실행 엔진에 추가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 관련 API와 메시지들을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맞춤형 모듈을 구현하고, 서버 사이드 캐싱 방법을 통하여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공통 모듈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성능 비교 실험을 통하여 개선된 분할 실행 엔진이 더 나은 성능을 가짐을 보여준다.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주문제작 프로토콜 (Privacy-preserving Customized Order Service Protocol based on Smart Contract in Smart Factory)

  • 이용주;우성희;이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15-222
    • /
    • 2019
  • 4차 산업에 대한 꾸준한 투자와 기술 개발로 스마트 팩토리 기술이 더욱 안정화되고 3D 프린팅을 포함한 관련 기술개발이 더욱 활발해진다면, 스마트 팩토리 도입비용이 낮아지고 현재의 고가의 상품 제조에 집중되는 현상에서 벗어나 소량 맞춤형 주문 제작을 위한 서비스로 변화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소량의 주문제작을 위해 제3자에게 개인정보를 제공해야 하고 복잡한 결제시스템을 거쳐야 한다면 발전되는 기술에 비해 활용도는 그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사물인터넷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는 블록체인 기술 융합의 스마트 팩토리 환경에서 프라이버시와 익명성을 제공하는 고객 맞춤형 제문제작을 위한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작자의 평판을 반영하여 고객 주문에 활용하고 주문 내용이 제작자 외에는 공개되지 않도록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고객 맞춤형 주문제작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프로토콜의 요구사항을 검증하였고 관련연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독창성을 확인하였다.

고령자의 식생활 관리 콘텐츠 제공형 U-Healthcare 서비스 요구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Requirement for U-healthcare Service Providing Contents for Dietary Life of the Old People)

  • 길가영;김춘순;정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26-635
    • /
    • 2015
  • 건강에 대한 사회적인 욕구와 관심에 따라 만성질환 예방 및 식생활관리 서비스의 새로운 모델로 U-Healthcare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는 50세 이상의 남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U-Healthcare 서비스 관련 요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의 U-Healthcare 서비스에 기대하는 부분으로 개인 맞춤형 진료 및 관리 부분(37.7%), 개인의 건강상태의 체계적인 파악(21.4%)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리 이용 분야에서는 식이요법 관리(43.9%)가 가장 높게 나타나 U-Healthcare 서비스에서 개인 맞춤형 식이요법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건강 정보 검색 관심분야는 질병관리(35.6%), 식재료(28.6%), 건강음식 조리법(22.7%) 순으로 나타나 조사대상의 50% 이상이 식품에 관심이 있었다. 식단 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은 영양성분, 건강상태별(질환별) 맞춤형 식단 등을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모든 항목이 3.9 이상의 필요성이 있다고 답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현재의 중장년층은 U-Healthcare 서비스를 통해 질병관리와 더불어 식생활 관리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남녀 중장년층 집단의 요구 특성을 반영하여 원격 진료를 통해 매일매일 개인의 건강상태 및 질환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식재료, 식단, 조리법에 대한 처방을 U-Healthcare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식생활 관리 콘텐츠의 활용도를 높이고 미래의 고령자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Users' Response to Privacy Issues in Customized Services

  • Park, Sunwoo;Baek, Jeongyun;Yoo, Yeajoo;Kim, Dongwhan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3호
    • /
    • pp.201-208
    • /
    • 2022
  • Customized service is a vital and mandatory element for apps in improving their technical performance and app customer analysis. While apps require users' consent for their data extraction and usage, many of the terms and agreement forms are written intricately, making it harder for users to fully understand the whole concept of users' data collection for customized services. Ever since the Facebook-Cambridge Analytica scandal, personal data privacy has been re-examined, forcing many app companies to reinforce a reliable solution to data privacy issues.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secured solution, which worries many people about the future advanced issues when metaverse platforms are actively used in daily apps. The research aims to collect the reactions and behaviors of everyday app users who utilize apps with customized service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privacy data issues and the users' opinions about the future implementation of metaverse platforms. The method of the research was an online questionnaire that targeted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revealed many fearful and anxious reactions about personal data and further metaverse issues where most app users were uneducated about how current apps collect and utilize users' private data.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 관련특허동향 및 향후 대응전략 (A Patent Analysis and Strategies for Customized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ies)

  • 김은형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8-32
    • /
    • 2009
  • 차세대 유비쿼터스 웹 환경에서 공공 및 민간의 공간정보를 통합하여 맞춤형 국토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로서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이 국가 R&D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되고 있다. 맞춤형 국토정보 플랫폼 기술을 비롯하여 시각화기술과 모바일 응용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기술개발과 관련하여, 관련기술의 특허동향을 살피는 특허분석은 기술 개발의 방향과 전략수립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우선적인 과제이다. 이에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의 효과적인 기술개발전략 수립을 위해, 맞춤형 국토정보 제공기술과 관련한 최신의 국내외 관련특허동향을 조사, 분석,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모색하였다.

  • PDF

An advertisement method using inaudible sound of speaker

  • Chung, Myoungbeo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7-13
    • /
    • 2015
  • Recently, there are serviced user customized advertisement of various type using smart device. Representative services are advertisement service using light of smart TV screen or audible sound of smart TV to transmit advertisement information. However, those services have to do a specific action of smart device user for advertisement information or need audible audio information of TV contents. To overcome those weakness, therefore, we propose an advertisement method using inaudible sound of speaker based on smart device. This method supports the transfer of advertising content to the smart device user with no additional action or TV audio signal required to access that content. The proposed method used two high frequencies among 18kHz ~ 22kHz of audible frequency range which smart TV can send out. And it generates those frequencies synthesized with audio of TV contents as trigger signal which can send advertisements to smart device. Next, smart device analysis the trigger signal and request advertisement contents related to the signal to server. After then, smart device can show the downloaded contents to user. Because the proposed method uses the high frequencies of sound signals via the inner speaker of the smart device, its main advantage is that it does not affect the audio signal of TV conten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method, we developed an application to implement it and subsequently carried out an advertisement transmission experiment. The success rate of the transmission experiment was approximately 97%. Based on this result, we believe the proposed method will be a useful technique in introducing a customized user advertising service.

마케팅 효과 극대화 및 비용절감 효과성에 대한 기업용 메시징서비스 효율화 연구 (Study on the Cost Savings and Maximize Marketing Effect to Efficiency of Enterprise Messaging Service)

  • 장문익;정재훈;최명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311-317
    • /
    • 2016
  • 스마트 커머스 시장에서 소비자는 개인 성향에 최적화된 개인화된 서비스와 소비자 취향을 고려한 맞춤형 쇼핑 경험을 원하고 있다. 즉, 소비자는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기업들은 메시징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지만, 각 개인에 맞춤형 서비스를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시징서비스에 개인화 서비스기술을 결합하여 기업용 메시징서비스의 통합 모형 및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하고 비용절감 효과를 분석한다. 제안된 통합 모형 작동방식은 고객 요구사항에 따라 개인화된 정보를 통해 개인화모형 적용하여 효과적인 개인화를 통한 메시징 전송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개인화 통합모형은 검색서비스와 결합되었을 경우 매우 높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용자 선호도를 반영한 FUZZY-AHP 기반 맞춤형 쿠폰 추천 모델 (Customized Coupon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Fuzzy AHP Reflecting User Preference)

  • 심원익;이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395-401
    • /
    • 2014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은 소셜 커머스를 통해 상품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할인 쿠폰서비스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현재 소셜 커머스에서 제공되는 쿠폰의 양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맞춤형 쿠폰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커머스를 위한 맞춤형 쿠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음식 쿠폰을 대상으로 사용자의 주관적 성향을 반영한 쿠폰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음식 종류, 가격, 할인율, 구매자수 등과 같은 쿠폰을 선택하는 기준이 되는 요소를 계층화하고, 주관적 성향을 반영한 의사결정 지원 방법인 Fuzzy-AHP를 이용하여 쿠폰을 분류하고 추출하여 제공하였다. 추출된 쿠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매우 만족은 45%, 만족 33%, 보통 22%로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웠으며 불만족하는 실험자는 없었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ustomized Shielded Cask Transport System

  • Lee, Jong Kwang;Jeon, Min Ku;Jung, Yunmock;Park, Wooshin;Hong, Sun Seok;Choi, Eun-Young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논문요약집
    • /
    • pp.157-158
    • /
    • 2018
  • In this work, we developed a customized shielded cask transport system which is equipped with a railguided travelling unit and a position adjustment unit for the cask without any crane service. The designed solid model was verified to have sufficient safety margin by using structural analysis. The developed system was introduced to a hot-cell and successfully tested and verified to have required target performance.

  • PDF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의 농업인 반응조사 (Research on Farmer's Response to the Farm-customized Early Warning Service for Weather Risk Management in Korea)

  • 김수진;서상택;심교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51-17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조기경보서비스의 전국적 사업 확대를 앞두고 처음으로 문자수신 농가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와 설문조사 내용을 교차분석하여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한 농가의 만족도뿐만 아니라 조기경보서비스의 농업기상재해 예방 효과에 대해 분석했으며 농가 사례조사를 병행하여 농가에서 실제로 조기경보서비스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했다. 336명이 설문에 참여했으며 설문 응답자 중 60% 이상이 조기경보서비스를 활용하여 작물재해를 예방하거나 경감한 사례가 있다고 응답했다. 교차분석 결과, 조기경보서비스의 필지 맞춤형 기상정보와 일기예보의 차이를 인지한 농가가 그렇지 않은 농가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작물재해를 더 많이 예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지 과수 작목을 재배하는 농가가 기상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했으며,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저온해 등을 대비하는데 방재시설과 더불어 조기경보서비스가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 사례조사를 통해 농작물재해 예방뿐만 아니라 영농작업에서도 기상정보의 활용성이 높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한 광범위한 설문조사와 사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처음으로 농장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조기경보서비스의 발전 방안으로서, 기상 및 재해 정보전달의 효과를 증대하고 조기경보서비스의 농가 활용을 증진하기 위해 농가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모바일 앱 이용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