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er management

검색결과 5,064건 처리시간 0.037초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이 신뢰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staurant Factors on Trust and Revisit Intention)

  • 송인암;신창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161-168
    • /
    • 2017
  • 본 연구는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이 신뢰도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한 결과 첫째,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은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외식업 점포선택요인인 물리적 환경, 서비스, 가격, 위치, 명성, 청결도, 친절, 맛 등을 고려하여 일반 소비자는 선택함으로 이에 대한 만족이 높으면 재방문 의도도 높아지는 확인 되었다. 둘째, 신뢰는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점포에 대한 믿음은 소비자의 신념을 통해 재방문을 적극적으로 고려 하는 것으로 판단해볼 수 있다. 셋째,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은 신뢰에 따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외식업 점포 기준에 따라 소비자는 선택하게 되고 만족을 하게 되면 신뢰가 생성되어 재방문 의도를 높인 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업 점포 선택요인과 신뢰는 재방문 의도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외식업 점포 선택 요인은 신뢰에 따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여 이론과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인터넷 전문은행의 성공 요건, 금융 소비자의 전환의도에 영향 주는 요인 분석: 카카오뱅크를 중심으로 (Study on Factors Affecting Financial Customer's Switching Intention to Internet only bank: Focus on Kakao bank)

  • 곽나연;유혜인;이중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157-167
    • /
    • 2018
  • 인터넷 전문은행은 2017년 국내에 처음 도입된 이후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그 한계점에 대한 이슈 역시 계속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점차 경쟁이 심화되는 핀테크 시장에서 인터넷 전문은행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금융소비자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전문은행에 대한 소비자 태도 실증을 위해 서비스 전환의도 분석에 다수 활용된 PPM 이론을 적용하여 금융소비자의 서비스 전환의도를 확인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카카오뱅크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수거한 총 132부의 데이터를 Smart PLS 3.0을 통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푸시효과와 풀효과가 주거래은행 전환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무어링효과가 주거래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사용자의 카카오 뱅크 사용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서비스 전환 연구에 활용되던 PPM이론의 활용 범위를 핀테크 서비스로 확장 하였으며, 실무적으로 인터넷 전문은행 확산 전략 수립에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향후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 전문은행의 다양한 소비자 태도를 설명하는 연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치과의료기관 방문시 불만처리서비스에 대한 의료소비자의 평가 (Client Services Evaluation in Dentistry Sector)

  • 한지형;김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09-2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lients who visited dental institutions perceived client services, what sorts of client services were provided to them and to what exten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m. It's ultimately meant to seek ways to enhance and enlarge client services. A survey was conducted on 379 residents who used dent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64.6 percent of the people investigated weren't aware of client services, and 33.0 percent viewed them as part of medical services. 77.5 percent had grievances about dental institutions they'd ever used. 2. The biggest complaint was that the dental treatments they received weren't covered by the dental insurance. As for how to solve their grievances, the largest group of them told the employees of the dental institutions about their complaints or didn't use them again. When asked whether the dental institutions took any steps to get rid of their grievances, the greatest group replied they had no idea. and the second largest group answered they took no measure. 3.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those who were in their 60s and up and stopped at elementary school were best cognizant of client services. Among client service variables,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how the employees handled their complaints, and as to overall satisfaction, their willingness to revisit ranked highest. 4. Concerning connections among client service awareness, service variables and overall satisfaction level, their awareness of client services had a posi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 with every service variable and satisfaction level. Among the service variables, prompt client services and employee attitud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overall satisfaction level, but service procedure, facilities and information services exercised little impact on that. 5. As for what factors affected their content with client services, their client service awareness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influence their use of dental institutions, the outcome of their visit and their willingness to revisi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dental institutions should strengthen publicity activities to inform people of client services, and encourage them to express their grievances. In addition, they should take an immediate action to remove their complaints, and try to get a successful feedback to offer higher-quality medical services and customer-oriented services.

  • PDF

최적화된 노인여가시설 구축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기초연구 (A Basic study of Service Design for Optimization of the Public Elderly Recreational Place)

  • 임백빈;김형찬;이성필
    • 감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753-76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시대를 대비하고 노인들이 행복한 여가시설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인식하고 이에 물리적으로 행복한 노인 여가시설을 구축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재 노인들이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여가 시설에 대하여 활용성이 떨어지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 및 내용으로 첫째, 국내에서 가장 성공적인 공공 노인 여가시설의 모텔로 선정된 대구의 시니어스타워를 방문하여 단순설문 및 관찰을 통하여 장단점에 대한 요소들을 정리 및 KJ기법 및 그라프기법 (Graph Theory)을 적용하여 물리적 공간에 대한 한계성의 요소에 대한 우선순위 그리고 상호관계성을 발췌하여 우선순위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였다. 둘째, 실제 노인들이 여가시설에서 느끼는 만족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산시 사상구 노인여가 시설에 방문 및 현지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발췌한 우선순위법(Priority Method) 결과와 비교한 내용을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개선 할 사항을 정리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첫째, 물품 및 기기를 노인의 여가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노력과 이를 실질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성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물리적 기기 및 프로그램을 활용한 노인여가 시설도 중요하지만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참여 형 공간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경호경비산업의 발전을 위한 사회연결망서비스 활용전략 (Th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curity Industry Utilzing Social Network Services)

  • 김두한;김은정
    • 시큐리티연구
    • /
    • 제46호
    • /
    • pp.7-30
    • /
    • 2016
  • 이 연구는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에 기반을 둔 사회연결망서비스를 활용하여 경호경비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조사에서 심층면담과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규명된 전략의 방향성과 실제 구체화 할 수 있는 전략적 내용 및 개선과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하여 규명된 경호경비산업의 미래에 필요한 전략적 개선과제는 모두 11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개선과제는 3가지의 영역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3영역 11개 항목을 IPA 분석을 통하여 중요도 및 실행가능성을 설명하였다. 첫째, 우선적으로 실행이 필요한 영역은 민간 중심 지역사회 치안관련 포털 사이트 개발 및 운영, 보편적 사회연결망서비스(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활용 확대, IT기반의 보안콘텐츠 관리 및 운용 전문인력 양성, IT기반의 경호경비산업 종사자 교육 콘텐츠 개발, 온라인 경호경비산업 종사자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확충 등 5개의 항목이었다. 둘째, 역량 재고를 통해 효과성을 높여야하는 영역은 공개형 경비보안 공공 종합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1개의 항목이었다. 셋째, 재검토가 필요한 영역은 개별 경호경비산업 종사자 전문인력 정보 채널 운영, 사설 경호경비 서비스업체의 고객전용 서비스 및 이벤트 확충 등 2개의 항목이었다. 넷째, 효과성이 미흡한 영역은 사회연결망서비스의 활용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지역사회 치안용 폐쇄형 카메라 정보의 공유 방안 논의, 사설기업 사회연결망서비스(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개발 등 3개의 항목이었다. 규명된 전략적 과제들의 특성에 따른 분류 및 실행의 정도는 향후 경호경비산업의 환경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PDF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에서의 리빙랩 적용 사례 분석 (Analysis of Living Lab Cases in R&D Initiatives for Solving Societal Problems and Challenges)

  • 성지은;정서화;한규영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77-217
    • /
    • 2018
  •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에서 진행된 리빙랩 활동을 검토하고 그 의의와 과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사례는 2014년에서 2015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한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 중 대표 사례인 '안저카메라 기술개발'과 '보행자 자동감지 시스템 개발'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두 사례 모두 리빙랩 방법론을 활용하여 기술개발부터 실용화 단계까지 사용자 참여형 연구개발 구조로 설계되었다. 즉 리빙랩은 최종 사용자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최종 수요를 구체화하고,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 실증할 수 있는 있는 하부구조로 기술-제품-서비스를 진화시키는 시스템으로 작동하였다. 1차 시도된 단계이나, 그 과정에서 최종 수혜자인 국민의 관점을 반영하면서 R&D 성과를 확산시키고 새롭게 일하는 방식을 만드는 계기를 만들어내고 있다. 향후 리빙랩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명확한 문제 인식과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최종사용자, 매개사용자, 기업, 시민사회 등 관련 주체의 적극적인 참여 및 조직화를 필요로 한다. 현재 리빙랩 활동은 소수의 전문가가 의제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리빙랩 실험과 함께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 체계의 구축이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현장지향성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일반시민 담당 공무원을 포함한 과학기술자, 정책 전문가, 현장 활동가 등을 포함하는 다학제 초학제 연구팀의 구성과 운영이 필수적이다.

전자의무기록을 활용한 건강검진 솔루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Screening Solution by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 이효승;오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25-830
    • /
    • 2015
  • EMR(전자의무기록)이란 일반적으로 진료정보를 서면이 아닌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EMR은 서면작성 시 문제점이던 서류보관, 배열, 공간확보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고객에 대한 다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진료를 가능하게 하여 병원측에는 관리비용의 감소 및 업무 효율성 증대를 가져온다. 또한 고객의 입장에서는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1990년대 이후 각 병원 및 의원에서 EMR이 급속도로 도입되며 현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용중인 건강검진 시스템의 경우 EMR과 별도로 건강검진에 사용되는 서식지를 서면으로 작성하여 보관하고 있다. 서면으로 보관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병원에서 사용중인 EMR은 진료기록만을, 건강검진 시스템은 건강검진과 관련된 로직만을 수행하는 각각의 단위프로그램(unit prog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건강검진 시스템에서 서면보관이 불가피 하였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건강검진시스템에 EMR 기능을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건강검진 솔루션 운영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Korean consumers' attitudes towards organic labels and country-of-origin of organic foods

  • Lee, Hye-Kyoung;Cho, Young-S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49-59
    • /
    • 2011
  • Although the South Korean organic food market is in the infancy compared to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Korean consumers'interest in organic food and retail stores devoting space to organic products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Despite the fact of organic food popularity, the term "organic" is interpreted differently by individuals. As opposed to the US, Japan and the EU where have operated an integrated organic food labelling system, Korea has adopted complex organic labelling systems regulated by several different government bodies. As a result, complicated food labelling standards make consumers confused when purchasing organic foods. Furthermore, in terms of country of origin (COO), it is argued by a lot of researchers that COO effects vary from product to product and from country to country; moreover, other informational cues such as brand and price can influence COO effects. In modern society, COO labelling has been complicated, due to the sourcing, manufacturing and market locations of merchandise spread over the world. Accordingly, the evaluation of COO effects has become complex. In order to examine these issues, a quantitative research was selected to classify the commonfeatures of organic food consumers and construct statistics such as the extent to which people are aware of organic food and COO labellingvia a questionnaire which took place in two cities in Korea with a cluster sample of 161 organic food purchasers. As for the data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tests, bivariate crosstatulations with Cramer's V were conducted,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and the assumptions the research data need to fit. It has been concluded that in general, Korean organic consumers comprehend the term "organic"in a closer way to the general concept rather than technical term, thus people do not appreciate environmentally labels which include organic food labels, although marital status influence the degree of label awareness, regardless of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so on. Regarding COO effects on organic food, home organic products were Korean consumers'first choice over those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developing nations. Specifically, in processed organic product category, domestically cultivated and processed organic products were absolutely preferred to leading national brands produced with imported ingredients and international brands. However, due to a lack of checks of ingredients' COO, consumers tend to purchase a leading national organic food brand, believing that it is a pure organic food sourced domestically. As a consequence, this research has suggested some important manageri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order to prevent consumer confusion when buying organic foods, it should be noted that consumers do not comprehend the organic food certifications, due to complicated labelling systems for organic produce and processed organic foods. Therefore, government bodies related to organic food distribution have to know consumers' perception of organic food labels and the significance of customer-oriented labels and reestablish labelling standards. Similarly, public advertising should be followed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the labelling to enable customers to have the correct information. In addition, not only international marketers but also domestic marketers need to understand COO images and also the influence COO of ingredients has on the image of an organic product.

  • PDF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교육 공급자 관점 농식품 분야 창업교육 현상의 탐색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Phenomena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Food and Agriculture Sectors Focused on Educational Provide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 김영락;설병문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5호
    • /
    • pp.73-86
    • /
    • 2018
  • 6차산업이 활성화되고 농촌의 정주여건이 개선되면서 귀농 귀촌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젊은 승계농의 농촌유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공식품 분야와 체험농장 등의 분야에 신규 창업자 혹은 기존 1차 농업에서 사업을 확장하려고 하는 기존 농업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농업교육은 정부 주도하에 농작물과 가공식품의 생산 가공 기술교육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급변하는 고객의 요구와 트랜드, FTA 등에 의한 수입시장 개방 등의 농식품 분야 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술교육 이전에 실시되어야 하는 체계적인 창업교육과 경영교육 등이 필요하다. 고객과 경쟁자 관점의 상품기획과 생산,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의 경영 마인드 제고 그리고, 수입상품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창업자 및 경영자의 기업가 정신을 함양하고, 창업자의 인식전환과 역량강화를 담보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는 농식품산업 분야의 창업자와 경영자들의 기업가 정신 함양, 인식전환과 역량강화를 위해 창업교육의 확장과 강화를 제언한다. 아직 체계적으로 연구되어 있지 않은 농식품산업 분야의 창업교육 현상부터 근원적으로 탐색하고 이와 관련된 이론들을 기초적인 것부터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존 농민, 귀농 귀촌인, 젊은 승계농 등 농식품 분야 창업자와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교육 및 관련 교육을 제공하였던 교육기관 담당자 및 강사 5명을 대상으로 창업교육의 현상과 교육내용,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인터뷰하고 현상분석을 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회사의 SI(Store Identity)가 소비자의 브랜드 이미지 정보전달에 관한 연구(한국통신회사 SI와 해외의 유명 통신회사SI 비교를 통하여) (A Study on the delivery of brand image information to consumers by telecom companies' SI(Store Identity) (through comparing SI between Korea telecom companies and foreign famous telecom companies))

  • 김종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639-2644
    • /
    • 2013
  • 휴대폰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와 제품의 빠른 교체주기로 인하여 이동통신사 간의 마케팅 경쟁이 매장으로 확산되면서 매장을 새롭게 단장하는 리뉴얼 주기가 짧아지고 있다, 주요 이동통신사가 간판을 포함한 매장 리뉴얼은 소비자에게 자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하게 심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매장이 단순히 값싸고 질 좋은 제품을 판매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매장, 제품, 서비스에 대해 느끼고 수용할 수 있도록 고객 체험을 제공할 것을 바라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사 대리점의 경쟁이 치열해 매장수가 많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최근에는 리뉴얼 시 단순 CI(Corporate Identity) 교체에 의미를 두기보다 매장의 인테리어에서 익스테리어까지 통합된 이미지로 바꾸는 SI(Store Identity) 개념을 적용해 매장들을 바꾸고 있다. 인테리어,Sign 등의 비주얼 요소를 일관성 있게 설계 및 디자인하여 매장 내, 외부에 적용하여 소비자에게 호의적인 매장 이미지를 심어주고 궁극적으로 매출액 증대에 큰 영향을 미치게 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기업이 Identity관리를 통해 이미지를 컨트롤 할 수 있으며 마케팅 측면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이동통신사와 해외 이동통신사의 SI를 비교분석하고 효과적인 SI의 방향을 제언하는데 목적을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