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operation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27초

경영정보 관련 학과의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방안: K대학 e-비즈니스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sign and Operation of MIS Oriented Curriculum)

  • 오창규;이홍걸;김성후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4권4호
    • /
    • pp.117-138
    • /
    • 2015
  • Purpose To meet changing social demands and fulfill the needs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dustry, the curriculum of MIS related department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new conceptual frameworks. In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Business at Kyungnam Univers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conducted a demands analysis of educational demanders,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curricular analysis, and benchmarking from oth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lated departments. The expert panel committee consisting of e-Business department faculty members was held to examine and discuss the student-oriented curriculum developed during this study. Findings Results show that the contents and types of curriculum should be organized so that students can maximize their professional job competency to apply to their core professional tasks. Given these findings, we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with both basic and advanced courses, all systematically organized according to the job requirements they offer toward meeting the industry's needs. We also implemented the web-based JSSS(Job Searching Support System) with which educational demanders can search among 13 job types, estimate their performances, and obtain the information about course registration. In all this study presents specific, practical evidence of the job-related curriculum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Business at Kyungnam University.

2015개정 초등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요소분석 (Analysis of Multicultural Elements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 강현주;정세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403-41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multicultural elements and propose measures to strengthen them in the 2009and the 2015 school curriculum. Based on Kim Cheong-ha (2015), the multi-cultural guidance elements and Bennett (2003:32-35) the target system and Choi Moo-sung and Kim Soon-ja (2009) were reconstructed and analyzed. Multicultural elements show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or cultural diversity, recognition and tolerance, community awareness, and self-identity. The analysis targets analyzed multicultural elements of 'seeking human beings', 'core competences' and 'school organization and operation' during the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 in 2009.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ulticultural elements of the former primary education process, 'cultural diversity' is 1,Recognition and tolerance'0, community spirit'3, and 'self-reliant'2 total6. In the new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18 were analyzed as 'cultural diversity'1, 'Recognition and tolerance'1, 'community spirit'8, and 'self-identity'8. The first analysis of multi-cultural factors appearing in the new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hould include the addition of multicultural elements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area' and 'education and tolerance' to the following: Second, to grow into a balanced multicultural society member, it proposes an enhanced multicultural curriculum in four areas: cultural diversity, recognition and tolerance, ccommunity spirit, and self-identity.

A Curriculum for Mobile Programming Education that Includes A Project Completion and It's Implementation Results

  • Ha, Seok-Wun;Huh, Kwang-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39-147
    • /
    • 2016
  • In recent, android application developments have been done widely that intensify smart phone utiliz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urriculum that undergraduate students can improve their mobile programming abilities as well as integrate experiences of application development based on android. And also a series of practices to advance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are added by offering an opportunity to carry out a real project to use a variety of sensors embedded in smart phone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e project is composed of a series of modules for implementing a trekking App that helpful to people who enjoy spending time in outdoors through their favorite activities such as trekking, cycling, and climbing with their own smart phones. Through practical curriculum operation and project implement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curriculum is appropriate to a mobile programming education that combine learning and practice.

제 7-단계 수학에서 양.음수의 지도에 관한 연구 (On Teaching of Positive Numbers and Negative Numbers in the 7-th Grade Mathematics)

  • 김흥기;김응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1호
    • /
    • pp.1-25
    • /
    • 2006
  • 양수와 음수의 취급이 처음으로 시작되는 제 7-단계 교과서들을 살펴본 결과 양의 부호, 음의 부호가 붙은 수를 읽는 방법과 유리수에 대한 일부 교과서의 정의는 재고해야 하며, 반대의 수 곧 반수를 정의하여 활용하는 것과 양수와 음수의 도입은 대소 관계를 다루는 곳에서 그 정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연산에서는 양의 부호와 음의 부호가 붙은 수에 대한 가시적인 표현을 충분히 익히게 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연산 도입을 구체적이고 가시적으로 처리한 것과 같이 양수, 음수의 연산에도 그 방법을 연계하여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화살표(유향선분)를 사용하여 양수 음수를 가시적으로 도입한 후에 이들을 사용하여 초등학교에서의 계산 방법을 양수 음수까지 확장된 수에까지 그대로 적용한 학습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제시한 학습 내용으로 지도를 하여본 결과 이와 같이 연계된 학습내용이 보다 바람직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국의 외국대학 합작운영정책 특성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Cooperative Operation Policy of Foreign Universities in China)

  • 이수진;김한나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45-71
    • /
    • 2017
  • 본 연구는 중국 고등교육 중외합작운영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대학과의 교육과정 공동운영의 도입 및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중외합작운영과 관련된 문헌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문헌자료로는 정책 문건, 연구논문 및 언론기사 등이 포함되었다. 중외합작운영에 대한 분석을 위해 운영목적, 합작방식, 심사 평가 및 질 관리 등을 분석 준거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중외합작운영의 특징은 선진교육자원의 도입과 경험의 흡수를 통한 중국 고등교육의 발전 촉진, 국가발전을 위해 필요한 학문의 충족, 다양한 운영방식과 질 높은 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한 출국 없는 유학의 실현, 심사 및 운영과정에 대한 엄격한 평가를 통한 질 확보, 충분한 관련 정책수립을 통한 법적 근거 마련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외국교육과정 도입 및 운영과 관련하여 외국교육 도입을 통한 국내 대학 경쟁력 제고 노력 및 글로벌 인재양성, 현재 운영 중인 외국대학과의 협력 프로그램 및 기관에 대한 평가 관리 강화, 외국대학 교육과정 도입단계의 엄정한 심사 진행, 관련정책 마련을 통한 교육과정 운영의 규범화 실현 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실천공학자 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선연구 (A Curriculum Enhancement Research for Practical Engineers)

  • 장윤상;오창헌;하준홍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2-3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설계교과과정 및 HRD교과과정의 체계 및 운영, 실험 실습의 운영의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개선", "현장성 향상을 위한 교과과정 및 교육방법 개선", '실험 실습 교과과정 운영체계 개선"에 대한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경험학습에 기초한 설계교과과정과 HRD교과과정과의 통합적인 운영 가능성을 제안한다.

  • PDF

미국 조지아주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연구 - 수와 연산 및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State of Georgia and Korea)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629-654
    • /
    • 2008
  • 최근 들어 새롭게 개정된 미국 조지아주 수학과 교육과정을 소개하고, 이의 이해를 보다 심도 있게 도모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 수정안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국 조지아주 수학과 교육과정 전체를 한 번에 다루기에는 그 양이 너무나 방대하여, 본 고에서는 '수와 연산' 및 '대수' 영역(우리나라의 '수와 연산', '문자와 식', '규칙성' 또는 '함수'에 해당)을 중심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두 나라간의 교육과정 내용의 양질에 관한 우위를 가리거나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 내지 개선책을 마련하기 보다는 수학 교육 관련 전문가인 독자들로 하여금 대수 영역 관련의 내용에 관하여 두 나라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음미해 볼 수 있는 근간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고에 제시된 연구 결과를 비롯하여 향후 여러 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고, 앞으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H사이버대학 부동산도시미래학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 Focus on the Case of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Urban Future at Hanyang Cyber University)

  • 함남혁;김재준;여옥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694-711
    • /
    • 2016
  •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좋은 자원이다. 최근 4년제 대학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계 수요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전문대학, 폴리텍대학 등 직업교육훈련기관에서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4년제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활용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NCS는 기존 교육과정을 보완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NCS 기반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과정, NCS 기반 교과목 운영, 학습자 피드백.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NCS 도입을 고려하는 4년제 대학 및 사이버대학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이버교육을 통한 희소선택과목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방안 (Development and Operation Methods for Minority Optional Curriculum through Cyber Education)

  • 정영식;안성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444-455
    • /
    • 2009
  • 고등학교 2$\sim$3학년에게 적용되는 선택중심교육과정은 교사 수급 부족으로 운영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교육을 통해 희소선택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 필요한 콘텐츠에 대한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개발하고 시범 운영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진도율은 높으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 분량을 줄이고, 난이도를 낮추어야 하며, 학습 플래너와 학습 튜터와 같은 온라인 교사를 투입하여 체계적인 학습 관리와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학생들이 원하는 과목을 수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선택 과목을 개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 수준에서의 희소선택교과 운영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 자율과목 편성을 통한 정보교육 독립 운영 방안 (A Study on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through Autonomous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 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43-5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의 변천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정보 교과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자율활동의 자율과목을 편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율활동이란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나 학교 특성을 반영해 자율과목이나 다양한 교육활동을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는 교육활동 시간을 의미하며, 자율과목은 의무 선택의 부담 없이 자유롭게 선택해 운영하거나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과목을 의미한다. 자율활동과 같이 학교장 재량 시간을 이용하여 독립된 교육과정을 운영한 사례로는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1~2학년군의 '안전한 생활'편성과 7차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 재량활동에서 선택과목을 운영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자율과목으로 편성해 운영할 수 있다면 최소한 인공지능, 코딩, 빅데이터 등을 배우고 싶어 하는 학생들만이라도 공교육 속에서 배움의 기회를 얻게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