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riculum Change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27초

초.중학교 수학 교수학습 연계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he Actual Status about the Conn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Junior High School)

  • 고정화;김태은;노원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1호
    • /
    • pp.135-156
    • /
    • 2015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는 시기는 단순한 학년 변화와는 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이 시기는 상당수 학생들이 수학 교과를 포기하게 되는 결정적인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 수학 교과학습과 관련하여 경험하게 되는 변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수학 교과 관련 발달 전망에 희비가 그려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환기에 학생들이 수학 교수학습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는지, 그러한 변화가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러한 변화가 필연적인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인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수학 교실 수업장면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전환기에 놓인 학생들이 겪게 되는 교수학습의 어려움을 규명하고 그 연계를 강화하여 중학교에 수월하게 연착륙하도록 돕기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Byrne의 'Euclid 원론'에 기초한 증명 지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eaching of Proofs based on Byrne's Elements of Euclid)

  • 장혜원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73-192
    • /
    • 2013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기하영역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 중 하나는 엄밀한 형식적인 증명대신 도형의 성질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활동으로의 대치이다. 이는 수학교육의 꾸준한 논쟁거리였던 증명 교육과 관련한 학습자의 이해 수준 및 어려움을 고려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기하 증명시 경험하는 어려움 중 도형을 지칭하는 문자 및 형식적 기호를 사용한 증명 작성, 기호로 길게 제시된 증명 이해에서 비롯되는 형식적 특성의 것에 주목한다. 증명의 아이디어와는 별개로 문자 및 기호 사용에서 비롯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문자 대신 채색된 그림이라는 시각적 표현을 이용함으로써 독자의 학습을 쉽게 하려고 했던 Byrne의 'Euclid 원론'에 사용된 증명 방법을 이용하여 지도해봄으로써 오늘날 기하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기하 단원의 세 개 정리에 대한 증명을 원문, 역동적 표현, 교사의 판서 등 세 개의 매체를 활용한 Byrne의 방법으로 지도하고, 학생들의 활동결과 및 학생과 교사의 설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의 장단점을 토대로 적용 가능성을 논의한다.

  • PDF

정보영재의 정보과목과 융합과목의 상관관계 분석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Analysis of Information Subject and Convergence Subject for the Gifted Children in IT)

  • 전우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84-990
    • /
    • 2015
  • 현대 지식정보사회에서 IT 소양과 활용은 개인의 경쟁력 차원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국가적으로 IT 산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커짐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IT 산업의 육성에 힘쓰고 있다. 특히 IT산업은 소수의 인재가 전체 산업을 이끌고 있어, 정보영재의 발굴과 육성은 국가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현재 영재교육은 정부방침에 따라 융합형태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영재아동에 있어서 정보과목과 융합과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내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정보영재아동을 대상으로 재학기간의 성적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정보과목과 융합과목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즉 정보과목을 잘하면 융합과목도 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융합과목의 비중, 교육내용의 구성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애도상담자 전문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탐색 (A Study on Curriculum to Improve Grief Counselor's Competency)

  • 전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02-615
    • /
    • 2018
  • 상실은 죽음 뿐 아니라 인생 전환기의 변화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이와 더불어 자연재해, 예기치 않은 사고 등으로 주변의 죽음을 직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비율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애도 상담에 대한 수요 증가와 전문 애도 상담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애도 상담자의 전문역량 향상을 위해 애도 상담 역량 요인을 조사하고, 무엇을 학습하고 훈련해야 하는지 문헌을 검토하고 조사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애도 상담 이론 및 모델, 애도의 평가, 죽음 교육, 상담자 자기-관리로 나누었고 각 교육 내용을 기존 상담교육과정에 통합시키고 경험적 실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애도 상담자 교육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키고 애도 상담자 역량 모형 및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약물감시 실습 교육이 한의과대학 학부생의 지식, 태도 및 자가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 Pharmacovigilance Practice Training Course for Future Doctors of Korean Medicine on Knowledge, Attitudes and Self Efficacy)

  • 김미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1-44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pharmacovigilance practice training course for future doctors of Korean medicine, the graduate students of a college of Korean medicine, and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curriculum. Methods: Fifty-six students were given a training course designed as follows: 1) pre-class homework (basic theory self-study, online course, causality assessment, and adverse event reporting simulation); 2) in-class: homework submission and case discussion; 3) after-class: homework revision and resubmission. An online survey to assess the change of the level of basic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pharmacovigilance, the willingness to report adverse events, and self-efficacy for the causality assessment and adverse event reporting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Results: The survey participation rate was 96.5% in pre-education and 64.3% in the post-education survey. After education, knowledge level was improved (mean score from 4.3±2.11 to 6.7±1.96 points, modal value from 3 to 8 points) and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almost all questions on attitudes. In the post-education survey, more students felt that they could do causality assessment (from 13% to 80.5%), could report adverse events to the agency in charge (from 7.4% to 96.2%), and expressed their strong willingness to report adverse events in the future (from 77.8% to 88.9%) than in the pre-education survey. Conclusions: More schools of Korean medicine need to adopt pharmacovigilance training courses in their curriculum to foster future doctors of Korean medicine with pharmacovigilance capabilities. Such efforts will be the basis for achieving an evidence-based, safe use of herbal medicine.

물리치료학 교육의 변화에 부응하는 문제중심학습방법(Problem Based Learning) (Implementing PBL in Physical Therapy Education)

  • 황현숙;이우숙;임종수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9-186
    • /
    • 2002
  •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to adopt teaching-learning approaches in physical therapy education that develop links between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in a meaningful way.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presented as a useful way to educate physical therapy for the futur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roblem-based learning include: curricular organization around problems rather than disciplines; an integrated curriculum rather than one separated into clinical and theoretical components; and an inherent emphasis on cognitive skills as well as on knowledge. PBL as implemented in the health sciences, is an educational method in which the focus of learning is a small-group tutorial in which students work through health care scenarios. The goals of the health care scenarios are to provide a context for learning, to activate prior knowledge, to motivate students, and to stimulate discussion. Learning is student-centered rather than faculty-centered, and self-directed learning is emphasized. Whereas the former focuses on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judgement, the latter's emphasis is on clinical competency. The physical therapist (PT) program at Cheju Halla college is a partial integrated problem-based curriculum. The history and process of PBL in general and in the PT program are reviewed. Long-term advocates of PBL stress that it is the only known method for preparing future professionals to be able to adapt to change, learning how to reason critically, enabling a holistic approach to health.

  • PDF

간호전문대학생의 재학중 간호전문직관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views on nursing profession of the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영란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9-181
    • /
    • 1995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perceptions and learning needs related to nursing profession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curriculum.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includes 103 items categorized as the fellowing 8 areas : the perception of nursing profession, competency as a nurse, the perception about clients, priorities in nursing activity, the knowledge required for, an ideology about nursing.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ame students through their first grade in 1993 to third grade in 1995.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terms of the views on nursing profession,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it as helping treatment of disease. Higher the grade, more significant with regard to health counseling, utilization of nursing and skills, nursing for community people. 2) Asked about competency as a nurse, sufficient professional knowledge on the nursing was responded as the highest. 3) Asked about the clients of nursing, 'patients' was the highest and as the grade was high, the items on 'family', 'community people', 'community' were high. 4) With regard to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performance of nursing, while 'physical respect', 'psychological respect' were commonly responded, 'spiritual respect' highly responded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5) Asked about what nursing activity is, 'to relieve the pain' was high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he promotion of health' was high in the third grade. 6) With regard to the ideology on nursing, the humanity and belief and faith were commonly responded. These results suggest, even though the expanded role of nursing was recognized, there is the tendency of illness oriented, to be need of reinforcement on the curriculum management in nursing education.

  • PDF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의 수학적 모델링 관련 제시 방법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al Modeling in the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정승요;박만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03-122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서 초등학교 3,4학년 수학교과서의 수학적 모델링 관련 제시 방법을 분석하고,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교과서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의 틀은 김민경(2010)이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제시한 Mathematics in Context[MiC]와 우리나라 초등수학교과서의 분석 기준을 예비조사를 통해 적용한 후, 수정 보완하여 우리나라 교과서에 대한 분석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7차 교육과정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수학교과서로 변화하면서 수학적 모델링의 관점에서 볼 때, 실세계 맥락의 상황 제시는 ${\ll}$확률과통계${\gg}$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증가하였고, 수학적 모델의 표현 방법은 ${\ll}$규칙성${\gg}$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표현 방법이 다양해졌으며, 의사소통에 있어서는 ${\ll}$규칙성${\gg}$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형이 다양화되고 빈도가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과서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래밍 교육과 필요성의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Recognition Changes Regarding Programming Education and Necessity)

  • 차승은;김정아;김종혜;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3
    • /
    • 2009
  • 국가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정보 교과 교육과정이 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정보 교육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기 위해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를 자발적으로 인식하고 의식변화를 얻을 수 있다는 가설을 중심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비전공 예비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사전설문조사, 12차시에 걸친 프로그래밍 수업, 사후설문조사 총 3단계를 거쳐 예비교사들의 인식이 변화됨을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은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서 대다수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참가자들의 프로그래밍의 개념과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학교 수학교과서 7-가의 집합 단원 기술에 관한 언어학적 고찰 (A Linguistic Study on the Writing of Section 'Set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7-ga)

  • 정광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2호
    • /
    • pp.177-213
    • /
    • 2006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수학은 제2차 교육과정 개정 시부터 도입된 집합 단원으로 시작하고 있다. 현대수학에서 집합론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중학교에 처음으로 진학한 학생들에게 집합에 대한 내용을 가르쳐야 한다는 당위성은 있지만 용어의 기술 방법이나 내용의 전개 등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면 이후의 후속학습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집합 단원의 내용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보다 세심한 용어의 설명과 주의 깊은 내용의 전개 등을 통하여 중학교에 갓 진학한 학생들이 쉽게 접하도록 하여 수학이라는 과목에 흥미를 느끼게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합 단원에 수록되어있는 용어와 내용의 기술에 대하여 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각 교과서별 내용을 분석하고, 집합단원에서 다루었던 용어와 내용 등이 7-가 교과서 전반에 걸쳐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 등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집합단원의 기술과 구성 등에 관한 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