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ing lights, dental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Errors in light-emitting diodes positioning when curing bulk fill and incremental composites: impact on properties after aging

  • Abdulrahman A. Balhaddad;Isadora M. Garcia;Haifa Maktabi;Maria Salem Ibrahim;Qoot Alkhubaizi;Howard Strassler;Fabricio M. Collares;Mary Anne S. Mel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6권4호
    • /
    • pp.51.1-51.1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mproper positioning single-peak and multi-peak lights on color change, microhardness of bottom and top, and surface topography of bulk fill and incremental composites after artificial aging for 1 year. Materials and Methods: Bulk fill and incremental composites were cured using multi-peak and single-peak light-emitting diode (LED) following 4 clinical conditions: (1) optimal condition (no angulation or tip displacement), (2) tip-displacement (2 mm), (3) slight tip angulation (α = 20°) and (4) moderate tip angulation (α = 35°). After 1-year of water aging, the specimens were analyzed for color changes (ΔE), Vickers hardness, surface topography (Ra, Rt, and Rv),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For samples cured by single-peak LED, the improper positioning significantly increases the color change compared to the optimal posi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composite (p < 0.001). For multi-peak LED, the type of resin composite and the curing condition displayed a significant effect on ΔE (p < 0.001). For both LEDs, the Vickers hardness and bottom/top ratio of Vickers hardness were affected by the type of composite and the curing condition (p < 0.01). Conclusions: The bulk fill composite presented greater resistance to wear, higher color stability, and better microhardness than the incremental composite when subjected to improper curing. The multi-peak LED improves curing under improper conditions compared to single-peak LED. Prevention of errors when curing composites requires the attention of all personnel involved in the patient's care once the clinical relevance of the appropriate polymerization reflects on reliable long-term outcomes.

플라즈마 광중합기가 복합레진 중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sma arc curing lights on the surface hardness of the composite resins)

  • 이수원;양규호;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24-632
    • /
    • 2006
  •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할로겐 광중합기는 여러 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중합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 때문에 시술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는데, 최근에 개발된 플라즈마 광중합기는 매우 짧은 시간에 중합시킬 수 있다고 제조회사는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흔히 상용하고 있는 복합 레진을 광중합 할 때, 할로겐 광중합으로 얻을 수 있는 플라즈마 광중합기의 적절한 중합시간을 알아보고자 한다. 2mm 두께의 레진 샘플을 만들어 광중합 하고 24 시간 후 상, 하면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point $4^{(R)}$에서는 플라즈마 광중합기로 6초간 중합했을 때 할로겐과 유사한 경도를 얻었지만, $Z250^{(R)}$에서는 $Flipo^{(R)}$만 9초간 중합시 할로겐과 유사한 광중합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플라즈마 광중합기는 적어도 6초 혹은 9초정도 광중합 했을 때 할로겐과 유사한 중합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treptococcus mutans biofilm에 대한 광역동 치료의 최적조건에 관한 연구 (Optimum Treatment Parameters for Photodynamic Antimicrobial Chemotherapy on Streptococcus mutans Biofilms)

  • 최서정;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1-157
    • /
    • 2015
  • 할로겐 광중합기를 광원으로, 치면세균막 착색제인 erythrosine을 광감각제로 사용하여 S. mutans biofilm에 대한 광역동 치료를 시행할 때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해서 erythrosine의 농도와 광조사 시간 및 광감각제의 접촉시간에 따른 광역동 치료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erythrosine의 농도를 0, 10, 20, 40, $80{\mu}M$로 변화시킨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0{\mu}M$$80{\mu}M$의 두 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광 조사 시간을 0, 5, 15, 30, 60, 75초로 변화시킨 결과 조사 시간이 길어질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30초, 60초, 75초의 세 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erythrosine 처리시간을 0분, 1분, 2분30초, 5분으로 변화시킨 결과 erythrosine과의 접촉시간이 늘어날수록 항균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분30초 군과 5분 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광감각제로 사용한 erythrosine의 농도를 $20-40{\mu}M$, 광원으로 사용한 할로겐 광중합기의 광 조사시간을 30초 이상, 광감각제인 erythrosine을 2분30초 이상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광역동 치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effect of irradiation mode on degree of cure, shrinkage and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Park, Jong-Jin;Park, Jeong-Won;Kim, Sung-Ky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58.2-558
    • /
    • 2001
  • The aim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irradiation mode,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degree of cure of composite resin and(2) it effect on micorleakage of class V restorations. VIP(BISCO Dental Products, Schaumburg, IL, USA) and Optilux 501 (Demetron/Kerr, Danbury, CT, USA) curing lights were used for curing Z-250 composite resin following irradiation mode: VIP 200㎽d, VIP 400㎽, VIP 600㎽, pulse-delay(200㎽ 3sec, 5min wait, 600㎽ 30sec), Optilux R mode.(omitted)

  • PDF

The effect of irradiation mode on degree of cure, shrinkage and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roation.

  • Park, Jong-Jin;Park, Jeong-Won;Kim, Sung-Kyo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55-555
    • /
    • 2001
  • The aim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irradiation mode, polymerzition shrinkage and degree of cure of composite resin and (2) it effect on microliakage of calss V restorations. VIP(BISCO Dental Products, Schaumburg, IL, USA) and Optilux 501(Demetron/Kerr, Danbury, CT, USA) curing lights were used for curing Z-250 composite resin following irradiation mode: VIP 200㎽, VIP 400㎽, VIP 600㎽, pulse-delay(200㎽ 3sec, 5min wait, 600㎽ 30sec), Optilux C mode, Optilux R mode.(omitted)

  • PDF

복합레진 중합용 가시광선 광중합기의 적정 광강도 유지를 위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MAINTENANCE OF LIGHT INTENSITY OF VISIBLE-LIGHT CURING MACHINES FOR THE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S)

  • 이동수;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3-368
    • /
    • 2001
  • 광중합형 복합레진은 일부 성분들이 강한 광학-전자기선에 노출됨으로써 경화된다. 최초의 제품들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중합되었다. 초기의 이러한 제품들은 작업시간의 조절가능 기포 형성 감소, 색 안정성 향상으로 각광받았지만, 자외선의 위해 성과 얕은 중합깊이를 극복하지 못해 결국 가시광선 중합형으로 대체되었다. 가시광선 중합형 복합레진의 중합완성도는 단량체(monomer)에서 복합체(polymer)로의 변환율에 의해 결정된다. 결국 수복물의 성공여부는 조사된 가시광선의 중합능력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이번 조사의 목적은 현재 임상(치과 병 의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광중합기의 광도를 여러 연구를 통하여 그 신뢰성이 입증된 digital radiometer를 이용해 평가하고, 3가지 기본부품의 결함을 검증해서 임상가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주기 위함이다. 조사 결과, 조사 대상 광중합기 중 17.8%가 적절한 중합에 부적절한 상태에 있으며, 46.6%가 광 조사시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광조사기의 절반 이상이 수복물의 성공적인 중합을 위해서는, 중합시간의 연장을 필요로 하거나, 기계적 결함으로 점검을 필요로 하는 상태에 있었다. 이번 조사로, 현재 치과 병, 의원에서 사용중인 광조사기의 부품성능과 그 관리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에 이루어진 외국의 조사에서와 유사하였다. 광조사기를 이용한 수복치료의 성공과, 구입당시 수준의 적절한 품질(quality)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광조사기 관리와 부품 교체에 대한 임상가들의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N IN VITRO STUDY OF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S)

  • 이선영;양연미;백병주;전철완;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3-599
    • /
    • 2003
  • 치과의 수복재로 널리 쓰이는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에 대한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의 영향을 비교하고, 유동성 복합레진과 할로겐광으로도 중합시간이 20초로 단축된 복합레진 $Filtek^{TM}$ Z250이 미세누출면에서 기존에 널리 쓰이던 복합레진인 Z100을 대체할 수 있을지를 평가하며, 미세누출에 미치는 adhesive resin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발거된 치아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레진의 충전은 각 군에 따라 시행하였다. 유동성복합레진 $Filtek^{TM}Flow$와 Z100, $Filtek^{TM}Z250$을 이용하였고, 할로겐광과 플라즈마광을 이용하여 중합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시편은 보관, 연마, 열순환을 시행하고, 1% methylene blue를 침투시킨 후 협설로 절단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Filtek^{TM}Flow$$Filtek^{TM}Z250$ 모두 광원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었다(p>0.05). 2. 유동성 복합레진인 $Filtek^{TM}Flow$는 복합레진 $Filtek^{TM}Z250$과 Z100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큰 미세누출을 보여(p<0.05) 유동성 복합레진만으로 수복한다면 미세누출의 위험이 커질 것이다. 3. Adhesive resin을 도포한 것이 할로겐광을 이용한 경우와 플라즈마광을 이용한 경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미세누출을 감소시켰다.(p<0.05)

  • PDF

직접수복용 레진과 기공용 레진으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투과한 광중합기의 광강도 (Power density of light curing units through resin inlays fabricated with direct and indirect composites)

  • 장훈상;임영준;김정미;홍성옥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5호
    • /
    • pp.353-358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접수복용 레진 (Filtek Z350, Supreme XT)과 기공용 레진 (Sinfony)으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투과하는 광중합기의 광강도를 측정하고 레진 인레이를 구성하는 색조에 따라 투과되는 광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A3 색조의 레진 인레이를 Z350 A3 한 가지 색조로 제작한 것과 Supreme XT A3B와 A3E 두 가지 색조로 제작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Sinfony는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A3, E3, T1 세 가지 색조로 제작하였고 두께는 1.5 mm로 통일하였다. 할로겐 광중합기 (Optilux 360)와 LED 광중합기 (Elipar S10)를 이용하여 레진 인레이를 투과하는 광강도를 휴대용 광강도 측정기 (Cure Rite)로 측정하였다. 각 레진의 색조가 광강도의 투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0.5mm 두께로 레진 시편을 제작하여 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Z350 A3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를 투과한 광강도가 가장 낮았으며, 다음으로 Supreme XT A3B와 A3E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 그리고 Sinfony A3, E3, T1으로 제작한 레진 인레이 순으로 광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5). 0.5mm의 레진 시편을 투과한 광강도를 측정한 결과 dentin shade인 Sinfony A3, Z350 A3, Supreme XT A3B가 가장 낮았으며, enamel shade인 Supreme XT A3E, Sinfony E3, 그리고 translucent shade인 Sinfony T1 순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 < 0.05). 결론: 레진 인레이를 제작할 경우 단색의 직접 수복용 레진을 사용하기 보다는 기공용 레진의 dentin shade, enamel shade, translucent shade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레진 인레이 하방으로 더 많은 중합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광중합기 종류에 따른 복합레진과 콤포머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RESIN AND COMPOMER RESTORATIONS CURED WITH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 박창후;양규호;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38-446
    • /
    • 2006
  • 광중합 수복재의 중합시 발생되는 틈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 여러 가지 광중합기와 중합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할로겐 광과 플라즈마광, LED광으로 광조사를 했을 때 미세누출을 비교하는 실험을 통해 임상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치아의 협설면에 5급와동을 형성하고, 광중합레진을 수복하여 광중합한 뒤 24시간 후 2% 메틸렌블루 용액에 담근 다음 치아를 협설로 절단하여 미세누출도를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Kruskal-Wallis test와 Man-Whitney test를 사용하여 각 군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법랑질에서 Dyract AP로 충전한 경우 광원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었으나, $Z250^{(R)}$으로 충전한 경우에서는 $Flipo^{(R)}$가 FreeLight $2^{(R)}$혹은 $TriLight^{(R)}$보다 미세누출이 컸다. 충전재에 따른 법랑질 변연에서의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LED광 혹은 할로겐 광중합시 복합레진이 컴포머에 비해 작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나, $Flipo^{(R)}$에서는 두 재료간의 차이가 없었다. 상아질변에서는 $Flipo^{(R)}$와 FreeLight $2^{(R)}$로 중합시 $Z250^{(R)}$이 Dyract AP보다 미세누출이 작았으나, $TriLight^{(R)}$에서는 두 재료간의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 $Z250^{(R)}$이 Dyract AP보다는 미세누출이 작았으며, $Z250^{(R)}$으로 충전한 경우 에나멜변연에서 $Flipo^{(R)}$가 FreeLight $2^{(R)}$$TriLight^{(R)}$보다 미세누출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Light transmittance of CAD/CAM ceramics with different shades and thicknesses and microhardness of the underlying light-cured resin cement

  • Jafari, Zahra;Alaghehmand, Homayoon;Samani, Yasaman;Mahdian, Mina;Khafri, Soray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3권3호
    • /
    • pp.27.1-27.9
    • /
    • 2018
  • Objectives: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thickness and shade of 3 types of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0 specimens of 2 shades (A1 and A3) and 2 thicknesses (1 and 2 mm) were fabricated using VITA Mark II (VM; VITA Zahnfabrik), IPS e.max CAD (IE; IvoclarVivadent), and VITA Suprinity (VS; VITA Zahnfabrik) (n = 10 per subgroup). The amount of light transmission through the ceramic specimens was measured by a radiometer (Optilux, Kerr). Light-cured resin cement samples (Choice 2, Bisco) were fabricated in a Teflon mold and activated through the various ceramics with different shades and thicknesses using an LED unit (Bluephase, IvoclarVivadent). In the control group, the resin cement sample was directly light-cured without any ceramic. Vickers microhardness indentations were made on the resin surfaces (KoopaPazhoohesh) after 24 hours of dark storage in a $37^{\circ}C$ incubator.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by the Tukey post hoc test (${\alpha}=0.05$). Results: Ceramic thickness and shade had significant effects on light transmission and the microhardness of all specimens (p < 0.05). The mean values of light transmittance and microhardness of the resin cement in the VM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bserved in the IE and VS groups. The lowest microhardness was observed in the VS group, due to the lowest level of light transmission (p < 0.05). Conclusion: Greater thickness and darker shades of the 3 types of CAD/CAM ceramic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icrohardness of the underlying resin 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