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mycelia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1초

신규의 Aminopeptidase M 저해제 MR-387A와 B를 생산하는 균주의 동정 및 저해제의 생산 (Taxonobic Characteristics of Strain Producing MR-387A and B,New Inhibitors of Aminopeptidase M,and their Production)

  • 정명철;전효곤;이호재;고영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47-452
    • /
    • 1994
  • The strain SL-387 which produces new inhibitors of aminopeptidase M, MR-387A and B, was isolated from a soil sample. The strain has branched substrate mycelia, from which aerial hyphae develop in the form of open spirals. Spore surface is smooth. Melanoid and soluble pigme- nts were observed. The isolate contains LL-diaminopimelic acid in its cell wall hydrolysate, and has no pectinolytic activity. The strain SL-387 is closely related to Streptomyces griseoruber and S. naganishii, but is different from these strains in some cultu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rain was, therefore, designated as Streptomyces sp. SL-387. The effects of several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n the production of the inhibitor were examined. Among them, glucose, galactose, mannose, and xylose were effective as a carbon source and soybean meal, soytone, fish meal, and gluten meal were effective as a nitrogen source. The maximum peak of the inhibitor production in jar fermentor was obtained on the fifth day of culture.

  • PDF

Growth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Ophiocordyceps longissima Collected in Korea

  • Sung, Gi-Ho;Shrestha, Bhushan;Han, Sang-Kuk;Sung, Jae-Mo
    • Mycobiology
    • /
    • 제39권2호
    • /
    • pp.85-91
    • /
    • 2011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nutri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Ophiocordyceps longissima mycelial growth. The longest colony diameter was observed on Schizophyllum (mushroom) genetics complete medium plus yeast extract, Schizophyllum (mushroom) genetics minimal medium, and Sabouraud dextrose agar (SDA); however, malt-extract yeast-extract agar, SDA plus yeast extract, yeast-extract malt-extract peptone dextrose agar, SDA, oatmeal agar, and potato dextrose agar showed higher mycelia density. A temperature of $25^{\circ}C$ was optimum and 7.0 was the optimum pH for mycelial growth. Colony diameter was similar under light and dark conditions. Maltose and yeast extract showed the highest mycelial growth among carbon and nitrogen sources respectively. The effect of mineral salts was less obvious; however, $K_3PO_4$ showed slightly better growth than that of the other mineral salts tested. Among all nutrition sources tested, complex organic nitrogen sources such as yeast extract, peptone, and tryptone were best for mycelial growth of O. longissima. Ophiocordyceps longissima composite medium, formulated by adding maltose (2% w/v), yeast extract (1% w/v), and $K_3PO_4$ (0.05% w/v) resulted in slightly longer colony diameter. In vitro mycelial O. longissima growth was sustainable and the production of fruiting bodies could b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in the future.

한국(韓國)에서의 Curvularia에 의한 잔디의 입고병(立枯病)에 관(關)한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he Taxonomical Studies of Curvularia Blight of Turf (Arostis canina L.) in Korea)

  • 김종희;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1-33
    • /
    • 1973
  • On September 1972, a blight disease of turf (Arostis canina L.)was found in a golf link in Seoul Country Club at Seoul, Korea. Yellow circular patches of 15-20cm in diameter were observed and spreaded irregulary to collapse of themselves. The roots of the diseased plants were dark in color and were in a final state of decay. We isolated Curvularia sp. from the diseased plants and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s. Its characters as follows: Mycelia septate, branched, hyaline or yellowish brown colored. Conidiophores septate, thin brown, unbranched. $65-270{\times}3.5-5{\mu}$. Conidia clustered at the tips of conidiophores, boat form or slightly curved with 1-5 septa, brown; both end cells hyaline; the third cell much larger than the others. $26.1-33.3{\times}9.5-10.1{\mu}$ (4 cell's conidium). The pathogenicity of the fungus to host plant was confirmed by soil inoculation method. We classified the fungus according to Gilman's method as a species Curvularia geniculata (Tracy and Earle) Boedjin.

  • PDF

A New Report of Biscogniauxia petrensis Isolated from Mosquitoes in Korea

  • Das, Kallol;Kim, Joung-Ho;Choi, Kwang-Shik;Lee, Seung-Yeol;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7-93
    • /
    • 2020
  • A fungal strain designated KNU-WDM2A2 was isolated from mosquitoes in Gimcheon, Korea. The pure culture was transferred to potato dextrose agar (PDA) and synthetic nutrient agar (SNA) media and attained a diameter of 90 mm after 10 days of incubation at 25℃. The colonies were whitish to light pink and cottony to wooly, with an abundant production of aerial mycelia. The strain produced hyaline to slightly yellowish conidiophores that were rough-walled and branched, with conidiogenous cells arising terminally or laterally. Conidia were unicellular, hyaline to light brown, smooth, and oval or ovoid to clavate, with a size of 4.1-6.9×2.5-3.3 ㎛ (n=65). A phylogenet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and 28S rDNA of large subunit (LSU) sequences, to support the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KNU-WDM2A2 strain was identified here as Biscogniauxia petrensis, new to Korea.

잣버섯(Neolentinus lepideus) 재배를 위한 액체 및 톱밥종균의 배양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by Sawdust and Liquid Spawn for the Cultivation of Neolentinus lepideus)

  • 장명준;이윤혜;주영철;구한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5-129
    • /
    • 2010
  • 잣버섯에 적합한 액체종균용 주배지 재료는 대두분, 배양 기간은 12일, 통기량은 0.9 vvm이 적합하였다. 또한, 잣버섯 재배용 톱밥종균용 배지는 미송과 옥분을 부피비로 95 : 5로 혼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액체종균 및 톱밥종균을 사용하였을 경우 잣버섯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액체종균으로 재배한 경우 재배일수 43일로 톱밥종균으로 재배할 때보다 재배기간 보다 2일 단축되었고, 유효경수 11.3개, 수량 111.9 g로 우수하였다.

A new record of Scleroconidioma sphagnicola isolated from soil in Korea

  • Ayim, Benjamin Yaw;Sung, Gihwan;Kang, In-Kyu;Lee, Seung-Yeol;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5-130
    • /
    • 2019
  • A fungal isolate, designated KNU-JJ-1824, was isolated from a soil sample collected from a field on Jeju, Korea. Colonies of the isolates cultured on PDA, MEA and CMAD for 14 days grew to diameters of 49~51 mm, 60~63 mm, and 47~50 mm, respectively. The colonies of this fungal isolate were dark green in color on both sides, and had irregular margins on the PDA media. Mycelia submerged and exhibited clear line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on MEA media. On CMAD media, they were dark brown to greenish-brown, with narrow white margins. The shape of the conidia was guttulate, fusiform or clavate, and $1.9{\sim}3.4{\times}6.5{\sim}10.2{\mu}m$ in size. A molecular phylogenetic tree was constructed using dataset from small subunit (SSU) rDNA and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and the isolate was found to cluster with Scleroconidioma sphagnicola UAMH 973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hylogenetic tree analysis and the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Scleroconidioma sphagnicola. We report S. sphagnicola for the first time in Korea.

표고 수집균주의 재배적 특성 및 갈변과의 상관관계 (Cultural characteristics on collected strains of Lentinula edodes and correlation with mycelial browning)

  • 김영호;전창성;박수철;유창현;성재모;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45-154
    • /
    • 2011
  • 표고 수집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고 재배적 특성과 갈변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표고 톱밥재배를 안정적으로 실시하고 재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천배지에서의 균사생장은 균주와 배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MEA와 PDA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균사생장 최적온도는 $20{\sim}25^{\circ}C$ 이었다. 200lux의 광조건에서 갈변패턴에 따라 균주를 분류할 수 있었다. 갈변기간은 한천배지에서는 30-40일, 톱밥봉지에서는 70~100일이 소요되었다. 자실체 특성을 관찰한 결과 300g 이상 수량을 보이는 균주가 12균주였으며, 자실체 수량 및 재배특성을 고려할 때 ASI 3046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균사생장과 갈변 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PDA배지와 톱밥 균사생장과는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한천배지에서 갈변되는 기간과 톱밥배지에서 갈변되는 기간과의 관계는 고도 유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균이 갈변되는 성질은 영양분의 차이보다는 균의 고유한 성질이라고 생각되며 갈변이 빠른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한천배지를 이용하여 균을 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톱밥재배에 필수적인 갈변에 대한 이해를 실제 재배에 접목시켜 톱밥재배 기간을 단축시키거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증대시키는 등 톱밥재배를 활성화시킨다면 품질이 높은 생표고를 낮은 가격으로 생산해 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Rhizoctonia soiani에 의한 결구상추 밑둥썩음병(Bottom rot)의 발생과 병원성 (Occurrence of Bottom Rot of Crisphead Lettuc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nd Its Pathogenicity)

  • 김현주;박종영;백정우;이진우;정순재;문병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89-695
    • /
    • 2004
  • 2003년 11월 경상남도 부림면 신반리의 결구상추 재배 플라스틱 하우스내에서 늦가을부터 밑둥썩음병이 발생하여 수확기인 11월에 평균 5.3%의 발병율이 조사되었다. 이는 비교적 낮은 수치이나, 2차적으로 균핵병과 잿빛곰팡이병이 유발되어 큰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였다. 이때의 병징은 아랫잎의 밑둥 부위에 수침상의 원형 내지 타원형의 담갈색 또는 갈색점무늬가 나타나고 진전되면 윗잎쪽으로 병반이 부정형으로 크게 확대되어 결국 잎이 무르게 썩고 누렇게 변하며 종이처럼 말라죽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이에, 밑둥썩음병이 발생한 지역의 병든 식물체와 토양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였으며 이 중 병원성이 가장 강한 PY-1 균주가 Rhizoctonia solani AG1 (IB)로 동정되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30$^{\circ}C였으며, 병원성 검정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접종원으로 검정 방법이 용이하면서도 효율적인 균사조각 부유액 접종원을 생육상내 폿트 검정용으로 선발하였고, 토양내 부생적 착생을 위한 플라스틱 하우스내 토경 재배 검정용으로는 WRSP배지 접종원을 선발하였다. 또한, 선발된 각 접종원의 최적 처리농도 및 처리량에서는 각각 균사조각 부유액 접종원의 경우, 평균 주당 51.1%의 발병도를 보인 $A_{550}$=1.0농도를 가장 적합한 처리 농도로 선발하였으며, WRSP 배지 접종원의 처리량 비교에서는 평균 주당 61.6%의 발병도를 보인 40 $m\ell$를 최적 처리량으로 선발하였다.

불로초버섯 노랑썩음병의 발생과 병원균의 분류 동정 (Occurrence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us Causing Yellow Rot on Ganoderma lucidum)

  • 오세종;전창성;이종규;김희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31-38
    • /
    • 1998
  • 1990년을 전후하여 불로초버섯 재배원목에 노랑 얼룩무늬를 형성하며 버섯균을 심하게 썩히는 토양 전염성 곰팡이에 의한 병이 발생되었다. 불로초버섯 재배기간이 10년 이상인 철원과 강화 지역의 발병율은 각각 61%와 94%로 매우 높았으며 재배 년수가 비교적 짧은 문경과 홍성에서는 아직 병발생이 없었다. 피해원목을 절개하여보면 감염 초기에는 원목내부에 연한노랑 얼룩무늬를 형성하면서 영지버섯균사와 대치된 부분에서 갈색의 띠를 형성하였는데, 병이 많이 진전된 경우에는 원목의 내부 전체가 약간 푸르스름한 색깔을 띄면서 병원균의 자낭각이 다량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심하게 이병된 원목에서는 불로초버섯의 자실체가 전혀 생산되지 못하였으며 자실체가 형성된 경우라도 매우 불량하고 거의 죽어있었다. 단포자로 분리에 의해 배양된 병원균은 배양기상에서나 재배원목에서 불로초버섯 균사체를 심하게 용해시키는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병원균이 분비한 항균물질에 의하여 불로초버섯 균사체는 전혀 생장하지 못하였다. 본 병원균은 Arthrographis cuboidea로 동정되었는데 이들은 일반 배양기에서 비교적 빠르게 자라며 노란 색소를 형성하고 무성세대인 분절포자를 형성하였으며 포자낭병은 분지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포자를 형성하였다. 무성포자의 폭이 길이보다 넓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A. cuboidea에 의한 불로초버섯 노랑썩음병에 대한 병원성 및 분류 동정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합니다.

  • PDF

Sclerotium sp.에 의한 프리지아 균핵병 발생 (Occurrence of Freesia Basal Rot Caused by Sclerotium sp.)

  • 이상엽;류재기;김용기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69-74
    • /
    • 2006
  • 프리지아 균핵병이 Sclerotium sp.에 의한 인천의 프리지아 재배포장에서 최고 45%, 평균 17.0% 발생하였다. 전형적인 병징은 지제부의 잎이 썩음에 의한 잎마름증상이 나타났다. 이병식물체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여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Sclerotium sp.로 동정되였다. 이 균핵병균은 PDA 배지와 식물체상에서 쉽게 균핵을 형성하였으나 무성포자를 관찰할 수 없었다. PDA 배지에서 기중균사는 배양기간이 늘어남에 따라서 흰색에서 흙색으로 변하였고, 곰팡이냄새가 났다. PDA 배지에서 $25^{\circ}C$ 에서 5 일 배양 후에 수많은 불규칙 타원형 흑색 소립균 핵은 형성되었고, 그 크기는 $115{\sim}200{\times}95{\sim}150 (평균 145{\sim}126.5){\mu}m$ 이었다. 이 병원균의 균사 생장온도범위는 $10{\sim}32^{\circ}C$, 최적균사생장온도는 $24^{\circ}C$이며, 균사생장에 대한 최적 pH는 5.5 이었으나, $pH 4.0{\sim}8.5$에서 균사가 생장하였다. 병원성 검정에서 프리지아와 글라디올러스에 대하여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병징은 포장에서 발생한 병징과 유사하였다. Sclerotium sp.에 의한 프리지아 균핵병 발생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